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차 산업화 정책 발전을 위한 의사결정 우선순위 분석 : SWOT-AHP 방법론을 적용하여 = Analysis of Decision Making Prior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Policy : Applying the SWOT-AHP Methodolog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6차 산업화는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운용되고 있는 농정 패러다임이다. 그러나 2013년 처음 시작된 6차 산업화 정책은 4차 산업혁명이 진행중 ...

      6차 산업화는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운용되고 있는 농정 패러다임이다. 그러나 2013년 처음 시작된 6차 산업화 정책은 4차 산업혁명이 진행중 임에도 평면적인 운용으로 인해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6차 산업화 정책의 의사결정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SWOT 요인을 계층화하고 전문가 대상 AHP 분석을 실시하여 직관에 의존하던 SWOT 요인들을 계량화하여 개별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6차 산업화는 위협(T)요인이 0.396의 가중치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기회(O) 0.312, 약점(W) 0.217, 강점(S) 0.198 순으로 도출되었다. 전체 SWOT의 세부중요도 순위는 위협(T)요인인 ‘정보부족 및 비대칭’이 0.424로 가장 높았고, 동일요소 그룹의 ‘정책변동성’이 0.155로 나타났으며, 기회(O)요인의 ‘4차 산업혁명’과 ‘6차 산업화 인지도 증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2단계 AHP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 SO전략 >, < WO전략 >, < ST전략 >, < WT전략 >을 도출하고, 2단계 AHP 분석을 통해 각 부문별 최종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SWOT-AHP 분석결과 S<sub>2</sub>T<sub>3</sub> “농업정보 플랫폼 구축”이 가장 높은 가중치로 나타났고, 이어서 S<sub>2</sub>O<sub>3</sub> (기술확산형 정부지원 정책) > W<sub>1</sub>T<sub>3</sub> (스마트 농업 고도화) > W<sub>1</sub>O<sub>3</sub>(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용한 농업구조 문제해결) 순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선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농업부문의 현안문제를 계량화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밝힘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농업정책을 추진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is an agricultural paradigm that is being operated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agriculture and farming villages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the 6th industrialization policy what is b...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is an agricultural paradigm that is being operated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agriculture and farming villages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the 6th industrialization policy what is begun in 2013 is limited by formal and rough operation even th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underway. Therefore, this study stratified the SWOT factor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and conducted AHP analysis for experts to quantify the SWOT factors that depended on intuition so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dividual factors could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6th industrialization factor is the Threat(T) what it is the highest with a weight of 0.396, and Opportunity(O) 0.312, Weakness(W) 0.217, Strength(S) 0.198. The overall SWOT detail ranking is a Threat(T) factor “information shortage and asymmetry” was the highest at 0.424, the “policy volatility” of the same factor group was the second at 0.155, follow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Opportunity(O) factors and the 6th industrialization awareness increase. As a result of SWOT-AHP analysis to establish 6th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strate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SO Strategy derived < S<sub>2</sub>O<sub>3</sub> >: ‘Technology Diffusion Government Support Policy’, < W<sub>1</sub>O<sub>3</sub> >: ‘Problem Solving Agricultural Structure by Apply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 S<sub>2</sub>T<sub>3</sub> >: ‘Establishment Agricultural Information Platform’, < W<sub>1</sub>T<sub>3</sub> >: ‘Advancement of Smart Agriculture’. In this study, A two-stage AHP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inal prior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sub>2</sub>T<sub>3</sub>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information platform’ was the highest weight, followed by S<sub>2</sub>O<sub>3</sub>(Technology diffusion type government support policy) > W<sub>1</sub>T<sub>3</sub>(Smart agriculture advancement) > W<sub>1</sub>O<sub>3</sub> (Agricultural structure problem solution apply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as derived. The abov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effective implications for promoting agricultural policie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quantifying the pending issu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are recognized previous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