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친의 식전변설에 대하여 = Concerning the theory of Vasubandhu's transfortation of concsiou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0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cerning the theory of Vasubandhu’s transfortation of concsiouness Byunghwan Lim

      Concerning the theory of Vasubandhu’s transfortation of concsiouness Byunghwan Li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유식교학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는 식론(識論)과 삼성설(三性說)이다. 일체가 식의 표상(表象)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식론은 유식사상의 기저를 이루는 주제로 세친은 그의 저서 유...

      문】유식교학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는 식론(識論)과 삼성설(三性說)이다. 일체가 식의 표상(表象)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식론은 유식사상의 기저를 이루는 주제로 세친은 그의 저서 유식삼십송에서 이전에 논의되어오던 식론을 보완하여 이른바 식전변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그의 완성된 사상을 보이고 있다. 식의 전변이란 삶의 시원이 되는 아뢰야식을 기반으로 하는 8식(八識)과 그에 부수하는 여러 심소들이 상호 인과관계를 이루는 연기적(緣起的)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삼성설이란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세 가지 속성으로 연기의 세계를 말하는 의타기자성과 범부의 전도된 세계를 말하는 변계소집자성과 진여의 세계를 말하는 원성실자성을 말한다. 세친은 30개의 짧은 게송에서 무려 19개의 송으로 식전변의 세계 곧 경험세계가 생멸하는 메커니즘을 자세히 보이고 이어서 그 세계가 의타기자성의 연기의 세계임을 말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범부들의 전도된 세계가 형성되고 동시에 그곳에서 진여의 원만한 세계가 실현된다는 것을 보여, 열반의 세계가 우리의 삶 속에서 별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교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安 慧, "유식삼십송석" 민족사 2000

      2 "雜阿含(大正新修大藏經 권2)"

      3 "解深密經(大正新修大藏經 권16)"

      4 "瑜伽師地論釋(大正新修大藏經 권30)"

      5 "攝大乘論本(大正新修大藏經 권31)"

      6 "攝大乘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7 "成唯識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8 橫傘紘一, "唯識哲學" 경서원 1989

      9 高崎直道, "唯識入門" 春秋社 1994

      10 高崎直道, "唯識入門" 春秋社 1994

      1 安 慧, "유식삼십송석" 민족사 2000

      2 "雜阿含(大正新修大藏經 권2)"

      3 "解深密經(大正新修大藏經 권16)"

      4 "瑜伽師地論釋(大正新修大藏經 권30)"

      5 "攝大乘論本(大正新修大藏經 권31)"

      6 "攝大乘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7 "成唯識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8 橫傘紘一, "唯識哲學" 경서원 1989

      9 高崎直道, "唯識入門" 春秋社 1994

      10 高崎直道, "唯識入門" 春秋社 1994

      11 "唯識二十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12 "唯識三十頌(大正新修大藏經 권31)"

      13 "中邊分別論(大正新修大藏經 권3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