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항산화, tyrosinase 저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8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 향상 및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생리 활성 기능이 높다고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그 첨가량을 0, 2, 5, ...

      본 연구는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 향상 및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생리 활성 기능이 높다고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그 첨가량을 0, 2, 5, 8 및 10%로 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90일 숙성된 고추장에 대해 생리 활성 그리고 in vitro에서 A549, G361, HT-29 및 MDA-MB-231 등 4종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50배 희석 수준의 경우, SBC10 고추장이 85.5%로 SBC 0 고추장(68.4%)보다 약 1.2배 증가되었으며, SBC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Tyrosinase 저해 효과는 100배 희석 수준에서 SBC 10 고추장이 40.3%로 SBC 0 고추장(34.0%)보다 약 1.1배 증가되었다. 암세포주인 A549, G361, HT-29 및 MDA-MB-231에 대한 SBC 0, 2, 5, 8 및 10 고추장의 증식 억제 효과는 농도가 높을수록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A549폐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5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2.8배 높았다. G361 피부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2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1.1배 높았다. HT-29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10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8.9배 높았다. MDA-MB-231 유선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2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5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3.7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추장 제조 과정 중 작두콩 청국장의 첨가 효과는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의 생리 활성 증진과 인간 암세포주의 증식 억제 등 다양한 기능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549, G361, HT-29, and MDA-MB-231) of fermented gochujang (made from sword bean cheonggukjang powder (SBC) for 90 days. Gochujang was prepared by a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549, G361, HT-29, and MDA-MB-231) of fermented gochujang (made from sword bean cheonggukjang powder (SBC) for 90 days. Gochujang was prepared by adding 0 (SBC 0), 2 (SBC 2), 5 (SBC 5), 8 (SBC 8) and 10% (SBC 10) levels with SBC, and all experiments were measured at diluted levels of 20, 50 and 100 time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demonstrated that SBC 10 increased approximately 1.2 and 1.1 times compared with SBC 0, respectively, at diluted levels of 50 and 100 time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549, G361, and HT-29 presented that SBC 10 were 2.8, 1.1, and 8.9 times higher compared with SBC 0, respectively, at diluted levels of 50, 20, and 100 times. In the case of MDA-MB-231, SBC 10 was 3.7 times higher compared with SBC 5 at diluted level of 20 tim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SBC gochujang was improved for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승시,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 첨가 고추장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10-415, 2008

      2 박건영, "푸코이단 및 푸코이단 첨가 고추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대한암예방학회 10 (10): 264-269, 2005

      3 한영환, "치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 및 Melanogenesis 억제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19 (19): 437-440, 2004

      4 안봉전,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추출물의항산화, 항암 효과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280-284, 2005

      5 장문익,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92-1299, 2011

      6 김운성, "작두콩 첨가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력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4-181, 2012

      7 서권일, "양파고추장 메탄올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73-178, 2005

      8 성기천, "솔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및 분석" 한국유화학회 22 (22): 71-76, 2005

      9 함승시, "솔잎 열수 증류액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79-183, 2005

      10 박돈희, "목초액의 항균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81-384, 2004

      1 함승시,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 첨가 고추장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10-415, 2008

      2 박건영, "푸코이단 및 푸코이단 첨가 고추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대한암예방학회 10 (10): 264-269, 2005

      3 한영환, "치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 및 Melanogenesis 억제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19 (19): 437-440, 2004

      4 안봉전,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추출물의항산화, 항암 효과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280-284, 2005

      5 장문익,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92-1299, 2011

      6 김운성, "작두콩 첨가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력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4-181, 2012

      7 서권일, "양파고추장 메탄올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73-178, 2005

      8 성기천, "솔잎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및 분석" 한국유화학회 22 (22): 71-76, 2005

      9 함승시, "솔잎 열수 증류액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79-183, 2005

      10 박돈희, "목초액의 항균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81-384, 2004

      11 장규섭, "메밀가루 첨가 공장산 고추장의 발효과정 중 Rutin과 Quercetin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509-512, 2005

      12 김영숙, "매실과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성과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 한국식품과학회 35 (35): 893-897, 2003

      13 송호수, "마늘죽 첨가 고추장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8 (18): 1140-1146, 2008

      14 임성일,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8 (38): 779-784, 2006

      15 이숙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고추장의 체중 및 지방조직과 혈청내의 지질감소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882-886, 2003

      16 박건영, "건조마늘 첨가에 따른 고추장의 in vitro 항암증진 효과" 대한암예방학회 10 (10): 128-133, 2005

      17 Jang YM, "Research on Quality improvement of cheonggukjang (fermented soybean pastes) by Bacillus subtil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4

      18 Su Jeong Kim, "Quantification of Quercetin in Different Parts of Onion and Its DPPHRadical Scaveng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한국식품과학회 15 (15): 39-43, 2006

      19 Na SE, "Preparation of low salt and functional gochujang containing chitosan" 10 : 193-200, 1997

      20 Yagi K, "Lipid peroxide and human disease" 45 : 337-351, 1987

      21 Hwang HS,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and juice of the Korean cherry (Prunus tomentosa Thunberg) on tyrosinase activity in vivo" 33 : 760-763, 2001

      22 Chen JS, "Inhibition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39 : 1897-1901, 1991

      23 Kim SJ,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gochujang (Korean red pepper soybean paste) and its ingredients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9 : 42-48, 2004

      24 Kweon MH,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49 : 4646-4655, 2001

      25 Kim CM, "Great Dictionary of Chinese Medicinal Plant" Jungdam Press 1029-1032, 1997

      26 Tiisala S, "Genistein enhances the ICAM-1 and its counter-receptors" 203 : 443-449, 1994

      27 Charmichael J, "Evaluation of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47 : 963-, 1987

      28 Chung SH, "Enzym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of Monascus-koji for the gochujang production" 8 : 179-183, 1999

      29 Wiseman H,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ce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7 : 2-6, 1996

      30 Seon Woo Hwang, "Comparison of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the NaturalAntioxidants from Cedrela sinensis"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44-147, 2005

      31 Lee SJ, "Bonchogangmok" Eusungdang Press 585-, 1994

      32 Bell AA,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fungal melanin" 24 : 411-451, 1986

      33 Lerner AB, "Biochemistry of melanin formation" 30 : 91-126, 1950

      34 Natella F, "Benzoic acid and cinnamic acid derivatives as antioxida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 47 : 1453-1459, 1999

      35 김동한, "Bacillus sp. Koji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174-1181, 2003

      36 Moon GS, "Antioxidative effect of soybean sauce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18 : 313-318, 1986

      3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38 Kim SD,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browning products" 24 : 161-166, 1981

      39 Lee DJ,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assay" 12 : 187-194, 2004

      40 Park KY,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paste) and its active compounds" 523-524 : 43-53, 2003

      41 Cho Y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7 : 113-116, 2000

      42 Choo JJ, "Anti-obesity effects of gochujang in rats fed on a highfat diet" 33 : 787-793, 2000

      43 최정섭, "96-well plate를 이용한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그 응용" 한국농약과학회 7 (7): 3-9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