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성층현상 재현성 평가 =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Stratification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52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kdong River was recently dredged with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Therefore, the depth was deepened and the lag time also increased. As a result, stratification occurred in some sections with deep water depth, and it also caused the increas...

      Nakdong River was recently dredged with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Therefore, the depth was deepened and the lag time also increased. As a result, stratification occurred in some sections with deep water depth, and it also caused the increase of algal bloom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in the Nakdong River by applying the EFDC model, which is a three-dimensional hydraulic and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proving th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phenomena in reservoirs and estuaries. In order to reproduce the Nakdong river water temperature and DO stratification, EFDC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key parameters sensitive to stratifica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used to reproduce stratification by selecting optim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nalysis of various destratification scenari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녹조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구언에서 성층현상 재현성이 입증된 3차원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성층현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수온 및 DO 성층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낙동강 중․ 하류부에 EFDC 모형을 구축하고 성층화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성층화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성층교란 시나리오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승,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시화 해역의 해수특성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5 (25): 219-235, 2013

      2 김선주, "저수지 수온성층 해석능력 제고를 위한 적정 EFDC 매개변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 44 (44): 741-751, 2011

      3 안기홍, "용담호 수온성층해석을 위한 유입수온 회귀분석 모형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 (20): 435-442, 2011

      4 박형석, "안동호-임하호 연결에 따른 물 이동과 수온성층 변화" 한국물환경학회 30 (30): 31-43, 2014

      5 서승원,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대한토목학회 28 (28): 79-93, 2008

      6 안재순, "물순환장치 가동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3차원 이송확산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3275-3284, 2012

      7 강영승,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서 담수 유입으로 인한 밀도성층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126-137, 2011

      8 Kim, S. J., "Research on methodology of hydrodynamic-water quality and stratification modeling in reservoir using EFDC"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0

      9 Nazariha, M., "Predic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proposed bakhtyari reservoir with CE-QUAL-W2" 2009

      10 Xu, H., "Numerical study on salinity stratification in the Pamlico River estuary" 80 : 74-84, 2008

      1 강영승,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시화 해역의 해수특성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5 (25): 219-235, 2013

      2 김선주, "저수지 수온성층 해석능력 제고를 위한 적정 EFDC 매개변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 44 (44): 741-751, 2011

      3 안기홍, "용담호 수온성층해석을 위한 유입수온 회귀분석 모형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 (20): 435-442, 2011

      4 박형석, "안동호-임하호 연결에 따른 물 이동과 수온성층 변화" 한국물환경학회 30 (30): 31-43, 2014

      5 서승원,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대한토목학회 28 (28): 79-93, 2008

      6 안재순, "물순환장치 가동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3차원 이송확산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3275-3284, 2012

      7 강영승,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서 담수 유입으로 인한 밀도성층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126-137, 2011

      8 Kim, S. J., "Research on methodology of hydrodynamic-water quality and stratification modeling in reservoir using EFDC"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0

      9 Nazariha, M., "Predic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proposed bakhtyari reservoir with CE-QUAL-W2" 2009

      10 Xu, H., "Numerical study on salinity stratification in the Pamlico River estuary" 80 : 74-84, 2008

      11 Jiang, H. Z., "Numerical study on salinity stratification in the Oujang river estuary" 21 (21): 835-842, 2009

      12 O’Connor, D. J., "Mechanism of reaeration in natural streams" 123 (123): 641-684, 1958

      13 Elçi, Ş., "Influence of stratification and shoreline erosion on reservoir sedimentation patterns" 133 (133): 255-266, 2007

      14 Anderson, M. A., "Influence of pumped-storage hydroelectric plant operation on a shallow polymictic lake: Predictions from 3-D hydrodynamic modeling" 26 : 1-13, 2010

      15 이혜숙, "HSPF와 CE-QUAL-W2 모델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용담댐 저수지 탁수현상의 모델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30 (30): 69-78, 2008

      16 Wool, T. A.,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s to support total maximum daily load decision process for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129 (129): 295-306, 2003

      17 Genet, L. A., "Computer program documentation for the dynamic estuary model" US EPA 1974

      18 Cunanan, A. M.,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of Laguna lake using EFDC model" 3 (3): 68-76, 2014

      19 윤진호, "3차원 EFDC-WASP 연계모델을 이용한 경인아라뱃길 수질 예측" 대한환경공학회 35 (35): 101-108, 2013

      20 Seo, D. I., "3-D hydrodynamics and temperature modeling using EFDC" 2220-222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