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 ‒ 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1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서 역사 속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온 일본인처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한 일본인 처의 ...

      본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서 역사 속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온 일본인처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한 일본인 처의 고령화로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남길 수 있는 시간은 한계가 있기에 현 시기에 일본인 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한일본인처가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주 나자레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한일본인처의 삶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한일본인처의 삶은 여성으로서 겪었던 이산의 경험, 현모양처로서의 삶의 유지, 경계인으로서의 삶, 그리고 고향지향성을 지난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제 식민지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일본인처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면 국제결혼이민자의 한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제대로 된 지원이나 대우를 못 받으면서 ‘잊혀진 국제 미아’로 살아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그녀들의 삶을 특성과 맞물려 한국에서 살고 있는 그녀들의 문제를 간과한 채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국사회에 들어와 있는 소수자인 이주민의 역사를 고려하지 않은 단기적이며 단편적인 정책 지원에 머루를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spora lives of Japanese wife lived in the minor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time to leave to hear their voices directly to the aging of Japanese wives is limited. Thus, the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spora lives of Japanese wife lived in the minor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time to leave to hear their voices directly to the aging of Japanese wives is limited. Thus, the study of the Japanese wives in the current period is historically meaningful work. As a result of having an oral history of the second raw data with the selected Japanese Wives in Gyengju Nazareth Center to determine their diasporic characteristics, its found that they could have a discrete experience, the maintenance of life as good wife and wise mother, boundary maintenance and homeland orientation. In addition, Japanese wives who were married to Korean 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looking at the moment a kind of marriage immigrants, while receiving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y are living as forgotten international missi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the Japanese wives,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short-term and fragmentary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기존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 2.1 재한일본인처에 대한 연구동향
      • 2.2 내선결혼과 일본인처의 존재기반
      • 2.3. 재한일본인처와 관련한 디아스포라 논의
      • 1. 서론
      • 2. 기존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 2.1 재한일본인처에 대한 연구동향
      • 2.2 내선결혼과 일본인처의 존재기반
      • 2.3. 재한일본인처와 관련한 디아스포라 논의
      • 3. 경주 나자레원 재한일본인처의 삶에 대한 특성 분석
      • 3.1 경주 나자레원의 설립과 역할
      • 3.2 나자레원 거주 일본인처의 삶과 디아스포라적 특성 분석
      • 4. 결론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