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 (A) Study on the Reform plan of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under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21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問題提起 정보화·세계화시대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계속적으로 그들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보다는 지역에 따라 다양화된 새...

      1. 問題提起
      정보화·세계화시대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계속적으로 그들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보다는 지역에 따라 다양화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운영되어야 한다. 앞으로 교육은 보다 다양하고 질 좋은 교육내용을 학교 현장에 제공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사회 각 분야가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개성 있고 참의성을 함양한 인재를 양성·관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적 식견과 전문가로서의 교육공무원의 자질과 능력이 더욱 증요히 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공무원으로서 교육자다운 품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책임감 있게 교육활동을 전개해 갈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현직교육은 지방교육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매우 중요히 되고 있다. 특히, 교육공무원들이 교직 생애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서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전문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러한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는 교육공무원의 전문적 자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 硏究內容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이론적 배경의 분석
      ② 주요국가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비교·분석하여 발전과제 추출
      ③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분석
      ④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 분석
      ⑤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 수립
      3. 硏究의 方法 및 節次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국내·외의 문헌을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물은 물론이고, 각종 연람, 법령, 전문잡지, 교육신문 등을 분석하였다.
      ② 지방교육자치가 활발한 주요국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문헌에 의존하여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나라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추출하여 분석·정리하였다.
      ③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현행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에 내포된 문제점을 추출하여 그 개선방향 내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④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함으로써 연구전개방식은 연역법 내지 귀납법을 적용하였다.
      4.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問題點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점을 추출·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교육공무원들은 현직교육을 전문성 신장이나 자질함양보다는 승진이나 승급 및 자격을 취득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많다.
      ② 현직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이 직전교육과 상당부분 중복되어 있으며,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의 실제문제와 연계성이 없어 교육활동의 문제 해결에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③ 계절적 요인에 의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려움은 물론 일방적인 강의가 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④ 각 연수기관은 연수요원의 역할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자체 또는 외래 연수요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었다. 또한, 성적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고 강사에 따라 평가결과의 차이가 심하다.
      ⑤ 자격획득에 필요한 법적 현직교육에 비하여 현재의 교육기회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자격획득까지 기간이 너무 길어 체계적인 현직교육을 받는 데 지장을 주고 있다. 또한 일반연수의 기회 마저 교과별로 균등하게 부여되지 않고 있다.
      ⑥ 현재 교육전문직의 특수성은 누구나 인정하면서도 교육전문직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현직교육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아직 없다.
      ⑦ 연수의 내용이 학교교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어야 하는데 교장의 일방적 결정에 의해 운영되는 사례가 많아 교육공무원들의 연수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
      ⑧ 학교 자체에서 시행하는 연수는 그 계획수립과 추진과정이 형식적이며 교직원의 전체 의사와 욕구가 반영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⑨ 현장연구에 필요한 여건이 현재의 학교현실로는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자 하는 현장 교육공무원들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⑩ 현실적으로 교육공무원의 연구생활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재정적 보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5.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의 도입 및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① 앞으로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제반여건 조성, 세부계획 수립,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및 수정·보완 등의 기능을 담당할 기구를 설치하고 여기서는 표준 교육과정의 작성, 연수과정의 타당성의 심의, 자격제도 및 승진제도와의 관련을 맺어 가면서 종합적으로 연수제도를 연구·검토하도록 한다.
      ② 통합 학점제의 도입과 자격연수과정의 이원화, 교원대학원의 설립 등을 통하여 교육공무원의 상위학위 취득에 관한 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③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확보와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 제7차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복수 및 부전공 교사 자격연수, 교과전담제의 확대방안에 대해 제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④ 학교중심 현직교육을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지도교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각종 연수의 강사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석교사제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⑤ 장기적 만목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며, 예비남교사들을 공익요원화하여 수습교사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⑥ 장학담당요원의 전문적 능력배양을 위한 국가체제의 양성기관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이 법·제도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⑦ 교육공무원들의 현직교육을 위하여 교원젠터를 설립하여 어느 때고 필요를 느낄 때 전문적인 활동을 하도록 장소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⑧ 개인중심 현직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진학을 통한 계속교육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⑨ 방송통신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연수형혀를 개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⑩ 앞으로 제시한 각종 개선방안이 조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관련 행정부처에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Statement of the Problem In order to bring up talented persons leading the future informationalized and globalized era, and cultivate their specialties, a diversified new education rather than a nationally standardized education should be introduc...

      1. Statement of the Problem
      In order to bring up talented persons leading the future informationalized and globalized era, and cultivate their specialties, a diversified new education rather than a nationally standardized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Future education should be an activity to provide more diverse and better contents to the school fields and activate individual personality. For training and managing the competent persons with voiles abilities which society requires, the highly specialized vision and qual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s an expert are even more valued. Thus, as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is activated, the re-training for pubic educational personnel is highly required to develop their specialities to perform responsible educ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at it can make them to fulfill their special responsibility as experts by acquiring new knowledge's and skills in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in servic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problems of training th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nd exploring the reform plan for it under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2. Conten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the , content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② The extract of developmental tas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training system of other leading countries
      ③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ystem of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④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⑤ The establishment of reform direction and plan for re-training
      3.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 are ;
      ① To formulate theoretical base and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and its problem, this research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abou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nuals, magazines, statutes, and research papers.
      ② To explore better direction for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and to extract the developmental tasks for i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re-training system of leading counties by analyzing American, English, French, German and Japanese literatures.
      ③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nd searches for direction and plan of its reform.
      ④ This study use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s research method.
      4. Current Major Problems
      Major problems blocking the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① Public educational personnel's in service are more likely' to view the re-training as a means of promotion rather than as a means of fostering specializes for qualified experts.
      ② Most of the curricula and subject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re overlapped, and the contents are not related with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refore they do not give much help in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ctivities.
      ③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gned effect due to the seasonal factor and the unilateral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④ Each training institution does not have its own or external trainers with specialty, ability and experience to take charge of their roles. Also, the evaluation standards are varied, so the outcomes of evaluation by each lecturer is different as well.
      ⑤ The re-training opportunity is generally less sufficient than legally guaranteed standards, and the larger period needed for qualification achievement hinders systematic re-training. Also, the opportunity of general training is not equally given to the subjects.
      ⑥ Despite everyone broad recognition for the particularity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there is still no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training system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specialities.
      ⑦ In spite that the contents of training should be selected based c the necessity of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not diverse because of school principal's arbitrary decision about the contents.
      ⑧ The training performed by school itself is fox mad in planning and process, without reflection the personnel's opinion and desire, so it causes the lack of their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ors.
      ⑨ Becaus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field study is not prepared in present school,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le can't perform field study.
      ⑩ Financial support to facilitate the research activ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generally insufficient.
      5.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 would suggests followings concerning c the introduction and practice of plans for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① It is needed to establish an institute to take charge of constituting all necessary conditions, deviling detailed plans, availability to the field and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re-training system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institute would study and review the train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up of standard curricula, deliberation of validity and qualification and promotion.
      ② The continuing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plan on the achievement of higher degree of public education personnel's through introducing integrated grade system, dualiz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nd establishing graduate program of education.
      ③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expanding the training plans for major and minor teacher's qualification and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specialty acquisition is required fo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7th curricula.
      ④ In order to settle down the school centered re-train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enior teacher system which is available as guide teacher and training lecturer.
      ⑤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junior teacher system as a plan of acquiring specialized teachers and utilizing preliminary men teachers as a junior teacher by making them public personnel on a long-term basis.
      ⑥ The plan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national training institution for cultivating specialized ability of personnel in charge of encouragement of study should be searched for on a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⑦ The teacher's center for re-training should be set up, and it will have to provide the place and opportunity for teachers to do profession activities whenever needed.
      ⑧ For individual centered re-training to be effe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rincipal's recognition to the continuous study through entering higher educational program changed.
      ⑨ Various training patterns through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be develop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⑩ For the rapid execution above mentioned reform plans, government should reinforc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論文抄錄 = i
      • 目次 = v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問題 및 內容 = 4
      • 論文抄錄 = i
      • 目次 = v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問題 및 內容 = 4
      • 第3節 硏究의 方法 및 節次 = 7
      • 第4節 硏究의 範圍 및 制限點 = 7
      • 第5節 用語의 定義 = 8
      • 第2章 理論的 背景 = 10
      • 第1節 地方敎育自治制의 理論的 基礎 = 10
      • 1. 地方敎育自治制의 槪念 = 10
      • 2. 地方敎育自治의 基本原理 = 12
      • 3. 地方敎育自治制의 當爲性 = 20
      • 第2節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敎育人事行政의 理論的 基礎 = 22
      • 1. 敎育人事行政의 槪念 = 23
      • 2. 敎育公務員 人事制度의 基本原則 = 24
      • 3. 敎育公務員 人事制度의 發展을 위한 課題 = 27
      • 第3節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現職敎育의 理論的 基礎 = 29
      • 1. 現職敎育의 槪念 = 30
      • 2. 現職敎育의 必要性 및 目的 = 32
      • 3.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現職敎育의 當爲性 = 34
      • 第4節 理論的 背景에 대한 綜合的 論議 = 36
      • 1. 理念的 側面 = 37
      • 2. 法律的 側面 = 40
      • 第3章 主要國의 敎育公務員 現職敎育 現況 = 43
      • 第1節 美國 = 43
      • 第2節 英國 = 45
      • 第3節 프랑스 = 47
      • 第4節 獨逸 = 49
      • 第5節 日本 = 50
      • 第4章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現況 = 54
      • 第1節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現況 = 56
      • 1.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類型 = 56
      • 2. 現職敎育機關의 種類 및 機能 = 57
      • 3. 現職敎育의 課程과 運營 = 61
      • 4. 現職敎育 對象者 = 65
      • 5. 現職敎育의 節次·方法 = 67
      • 6. 現職敎育 프로그램의 作成 = 74
      • 第2節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現況 = 75
      • 1. 學校 自體硏究의 方向 = 76
      • 2. 學校 自體硏究의 特徵 = 77
      • 3. 學校 自體硏究의 類型 = 78
      • 4. 學校 自體硏究의 內容 = 79
      • 5. 學校 自體硏究의 過程 = 79
      • 6. 奬學 指導 = 81
      • 第3節 個人中心 現職敎育의 現況 = 81
      • 1. 個人中心 現職敎育의 方向 = 82
      • 2. 大學 및 大學院 進學 = 82
      • 3. 個人硏究의 遂行 = 83
      • 第5章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問題點 = 84
      • 第1節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問題點 = 84
      • 1. 現職敎育에 대한 敎育公務員의 認識 缺如 = 84
      • 2. 現職敎育 敎育課程의 體系性 未沿 = 85
      • 3. 現職敎育 連營 方法의 適切性 未沿 = 86
      • 4. 優秀한 硏修要員 確保 困難 = 87
      • 5. 現職敎育 評價體制 未備 및 評價方法의 不合理性 = 88
      • 6. 現職敎育 機會의 不足 = 88
      • 7. 敎育專門職에 대한 現職敎育 不足 = 89
      • 第2節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問題點 = 90
      • 1. 學校 自體의 硏修活動의 多樣性 不足 = 90
      • 2. 學校 自體의 硏修에 參與 意識 不足 = 90
      • 3. 學校 自體의 硏修活動에 報償策 未備 = 90
      • 4. 學校 自體 硏修內容의 制限性 = 90
      • 5. 奬學 指導의 非專門性 = 91
      • 第3節 個人中心 現職敎育의 問題點 = 91
      • 1. 專門的 素養 增進의 意慾 不足 = 91
      • 2. 多樣한 硏修 프로그램의 不足 = 92
      • 3. 大學 및 大學院 進學의 與件 未備 = 92
      • 4. 現場硏究 遂行의 諸般與件 未備 = 92
      • 5. 敎育公務員의 硏究生活에 대한 財政的 補助의 未浩 = 93
      • 第6章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向 및 改善方案 = 94
      • 第1節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向 = 94
      • 1.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向 = 94
      • 가.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敎育委員會 役割 强化 = 94
      • 나.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質的 向上 = 95
      • 다.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誘因體制 强化 = 96
      • 라. 現職敎育 擔當機關의 效率的 硏修運營을 위한 長期的인 마스터플랜 樹立·推進 = 96
      • 마. 機關中心 現職敎育 方法의 多樣한 變化 追求 = 97
      • 2.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向 = 98
      • 가.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能動的 參與 = 98
      • 나.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基盤造成 = 98
      • 다. 敎育行政 및 奬學要員 現職敎育의 內實化 = 99
      • 3. 個人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向 = 100
      • 가. 個人硏修를 위한 行·制度的 支援 = 100
      • 나. 大學 및 大學院 進學 誘導 = 101
      • 다. 硏修關聯 機關과 放送通信 媒體의 有機的 連繫 强化 = 101
      • 第2節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 102
      • 1. 機關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 102
      • 가. 統合 學點制 運營 = 102
      • 나. 資格硏修의 强化 方案 = 106
      • 다. 敎員大學院 設立·運營 = 107
      • 라. 複數 및 副專攻 敎帥 資格 硏修의 擴大 方案 = 108
      • 2. 學校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 110
      • 가. 首席敎師制 導入 = 110
      • 나. 修習敎師制 實施 = 111
      • 다. 敎育行政 및 奬學要員 現職敎者 制度化 = 113
      • 라. 敎員센터의 設立 = 114
      • 3. 個人中心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 116
      • 가. 敎員自律 硏修制 方案 = 116
      • 나. 大學 및 大學院 進學 誘導 = 117
      • 다. 放送媒體를 통한 自己硏修의 擴大 = 118
      • 第7章 結論 = 120
      • 參考文獻 = 135
      • Abstract = 1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