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의 이해도와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울,경기지역의 식품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 Understanding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2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od allergy labelling for the arrangement of improvement plans. Survey was done as a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food industry employees with 399 random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a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od allergy labelling for the arrangement of improvement plans. Survey was done as a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food industry employees with 399 random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 (ver. 12.0)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food allergen labelling were divided by 15 items. Only 43.1% of the workers understood the operation allergic food labels. The first improvement on allergic food labels was “using boldface for food allergen labes”. The importance of all of these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the performance but high importance(2 quadrant) were“consumer education for allergic food label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food allergy”. Therefore, the factors to be improved through the IPA were consumer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With this research and extended efforts for revision of laws, reliability of food industry and accuracy of food labelling would improve, thereby boosting the productive·commercial activities in labelling co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아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 (1): 227-234, 2013

      2 신지원, "학동 전기 소아에서 알레르기 질환과 모유 수유와의 연관성"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9 (19): 374-382, 2009

      3 정혜경, "주부와 대학생의 식품표시에 대한 유용성, 이용태도 및 구매의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86-97, 2011

      4 김영미,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1-161, 2014

      5 이수영,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사용도와 만족도 조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1 (21): 294-301, 2011

      6 송태원, "식품 경구유발시험 가이드라인"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2 (22): 3-20, 2012

      7 김우경, "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6 (16): 274-283, 2006

      8 손대열, "국내 주요 알레르기 원인 식품에 대한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5-888, 2002

      9 Sampson HA, "Update on food allergy" 113 (113): 805-819, 2004

      10 Kim KE, "The Incidence and principal foods of food allergy in children with asthma" 5 (5): 96-106, 1995

      1 이아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 (1): 227-234, 2013

      2 신지원, "학동 전기 소아에서 알레르기 질환과 모유 수유와의 연관성"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9 (19): 374-382, 2009

      3 정혜경, "주부와 대학생의 식품표시에 대한 유용성, 이용태도 및 구매의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86-97, 2011

      4 김영미,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1-161, 2014

      5 이수영,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사용도와 만족도 조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1 (21): 294-301, 2011

      6 송태원, "식품 경구유발시험 가이드라인"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2 (22): 3-20, 2012

      7 김우경, "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6 (16): 274-283, 2006

      8 손대열, "국내 주요 알레르기 원인 식품에 대한 조사"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5-888, 2002

      9 Sampson HA, "Update on food allergy" 113 (113): 805-819, 2004

      10 Kim KE, "The Incidence and principal foods of food allergy in children with asthma" 5 (5): 96-106, 1995

      11 Ha JC, "Survey results show food allergens" Korea consumer agency 1-31, 2010

      12 Lee SE, "Survey of Children's display of processed foods" KCA 1-43, 2012

      13 Kim CJ, "Study of detection methods for food allergen:standardization of detection method for food allergen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egg allergen in processed fo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5-8, 2007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pain, published “food information guide for provide to consumers”"

      15 박용춘,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8 (28): 124-129, 2013

      16 Lee SE, "Need to improve the food allergen ingredient labeling" KCA 1-7, 2012

      17 Ewan P, "Long-term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patients with peanut and nut allergy after participation in a management plan" 357 (357): 111-115, 2001

      18 Jang YJ, "Improvement and problem of food allergy management system"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4

      19 Youn SM, "Guidance on allergen labelling and the requirements in regulation In U.K. BRC(British Retail Consortium)" 201 : 80-93, 2013

      20 Sicherer SH, "Food allergy" 125 (125): S116-S125, 2010

      21 Sicherer SH, "Food allergy" 117 (117): S470-S475, 2006

      22 Kim HR, "Evaluation of food aller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Myong Ji University 2014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istribute card for prevent child food allergies accident"

      24 Kim MJ, "Consumer research for improve the food allergy labell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