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 Intelligence Theory on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3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 intelligence theory on young children's pictorial intelligence, representative ability and self-estee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5 children who attended a k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 intelligence theory on young children's pictorial intelligence, representative ability and self-estee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5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Their mean age was 69.4 months ol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It used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Second Edition, Art Representation Ability Test and PSPC Children's Self-Esteem Test in collection of data.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 Art Representation Ability Test and PSPC Children's Self-Esteem Test. Overall,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 intelligence theory was effectiv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self-esteem.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림지능, 그림 표상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수 학습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림지능, 그림 표상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수 학습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만 5세 유아 45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실험처치를 실시한 결과,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교사 주도 이야기나누기에 기초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 보다 그림지능, 그림 표상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지적능력과 표상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주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으로서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9 : 33-48, 1995

      2 "인간지능이론의 최근 동향과 과제" (10) : 127-161, 1996

      3 "유치원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4 "유아용 다중지능 발달 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8 (8): 257-278, 2003

      5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 연구" 7 (7): 37-55, 2003

      6 "아동의 감성지능개발을 위한 교육의 미술적 접근" 13 (13): 143-154, 1997

      7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있어서의 미술교육" 13 : 3-16, 1977

      8 "세계화와 도덕교육 제1회 도덕성회복 학술대회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5

      9 "미취학아동의 미술활동이 전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2004

      10 "미술교육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3

      1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9 : 33-48, 1995

      2 "인간지능이론의 최근 동향과 과제" (10) : 127-161, 1996

      3 "유치원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4 "유아용 다중지능 발달 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8 (8): 257-278, 2003

      5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 연구" 7 (7): 37-55, 2003

      6 "아동의 감성지능개발을 위한 교육의 미술적 접근" 13 (13): 143-154, 1997

      7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있어서의 미술교육" 13 : 3-16, 1977

      8 "세계화와 도덕교육 제1회 도덕성회복 학술대회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5

      9 "미취학아동의 미술활동이 전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2004

      10 "미술교육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3

      11 "미술교수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21 (21): 178-202, 2002

      1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및 효과 분석" 2002

      13 "다중지능이론 중심 통합교육과정 적용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2000

      14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13-21, 2000

      15 "다중지능에 기초한 미술 프로젝트" (6) : 257-284, 1998

      16 "그림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12 (12): 107-104, 1996

      17 Three Billy goats, "Three Billy goats and Gardner." 58-61, 1997

      18 Guthrie, "The significance of young children's visual skills in graphic depiction of spatial representaion Testimony from two drawing researchers" 1992

      19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8

      20 Gardner,H, "The Theory in Practice" Basic Books 1993

      21 Stamp, "The Arts in Children's Lives Aesthet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998

      22 Koster,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Delmar Pub 2001

      23 Freeman, "Pubic instrument of representaion Systems of representation in children" In C Sons Ltd 113-131, 1998

      24 French,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 Inc 2001

      25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복합지능과 교육" 중앙적성출판사 19971997

      26 Gaines,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2002

      27 Hanley, "Improving student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using a multiple intelligence approach" 2002

      28 "Educational context and early childhood art-related problem solving."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2

      29 Nelson, "Developing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Scholastic Inc 1997

      30 "DBAE를 통한 미술교육의 가능성 연구 제7차 교육과정 적용결과를 중심으로" 9 (9): 133-150, 2001

      31 Washington,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1998

      32 "Children and art together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17-23, 1997

      33 "Building on children's strength The experiences of Project Spectrum" Teachers College Press 1998

      34 Feldman,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1998

      35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2002

      36 "Art - A serious work." 39-45, 19951995

      37 "An art appreciation curriculum for preschool children" 35-48, 1993

      38 Levin, "Accelerated schools for at risk students Center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1998

      39 "A necessary component to building the whole child" 2000

      40 "A necessary component to building the whole child"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