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탐색 = A Study on the Activation Task through Type Analysis and Concept Establishmen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2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마을공동체의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활성화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이다. 학교와 지...

      본 연구는 학교마을공동체의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활성화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이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에 따라 마을학교, 마을결합형학교, 마을교육공동체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학교마을공동체는 기존의 학교공동체와 마을공동체가 결합된 개념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지역사회 속에서 배움이 이루어지는 공동체’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이다. 추진 주체나 방법에 따라 학교 주도형, 마을주도형, 센터(교육플랫폼) 주도형, 학교협동조합형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 유유형별로 학교 주도형은 부산 금성초, 마을 주도형은 부산 대천마을학교, 센터(교육 플랫폼) 주도형은 경기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학교협동조합형은 서울 국사봉중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로 지역사회는 학교마을공동체 형성에 필요한 운영 기반 구축 필요,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asks through the case analysis and conceptualization of school village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asks through the case analysis and conceptualization of school village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School village community is used as village school, village combined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The school village community is a combination of existing school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concept as ‘a community where students are taught in the community by utilizing the abunda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Second, it is a case analysis by type of school village community. It is developing into various types such as school led type, village led type, center (educational platform led type) and school cooperative type according to the propulsion subject and method. Finally,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operating base necessary for forming a school villag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
      • 3.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
      • 4.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
      • References
      • 1. 서론
      • 2.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
      • 3.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
      • 4.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돈민, "학교와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교육종합연구소 11 (11): 269-291, 2013

      2 S. Y. Suh, "What is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allimter 2016

      3 "Siheung Happiness Education Support Center"

      4 G. S. Hwang, "Old village future community"

      5 G. S. Hwang, "Old village future community"

      6 W. H. Yoon, "Making school cooperatives: Focusing on Kuksabong Middle School case" 37 : 161-174, 2016

      7 "Gumseang Elementary School"

      8 "Gumseang Elementary School"

      9 "Daecheon Village School"

      10 "Daecheon Village School"

      1 최돈민, "학교와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교육종합연구소 11 (11): 269-291, 2013

      2 S. Y. Suh, "What is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allimter 2016

      3 "Siheung Happiness Education Support Center"

      4 G. S. Hwang, "Old village future community"

      5 G. S. Hwang, "Old village future community"

      6 W. H. Yoon, "Making school cooperatives: Focusing on Kuksabong Middle School case" 37 : 161-174, 2016

      7 "Gumseang Elementary School"

      8 "Gumseang Elementary School"

      9 "Daecheon Village School"

      10 "Daecheon Village School"

      11 J. H. Park, "Concept and status of school cooperative" 37 : 175-195, 2016

      12 "After-school support center of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13 G. H. Jung, "A study on the cooperation plan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Education Office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apacity of school and community" Seoul Education Office Policy Research 2015

      14 S. H. Park, "A study on the concept and typology of Village Combined School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5

      15 S. Y. Suh, "A study on establishing concept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 Gyeonggi-do Educational Research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