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과기공실의 작업공정별 소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oise by Working Process in Dental Labora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10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과기공실의 작업부서별, 1인작업시의 소음도를 조사하여 기본자료로 하고 복합공정시의 소음을 측정하여 70 dB이상의 소음 노출시간을 조사함으로서 전체 치과기공실의소음도...

      본 연구는 치과기공실의 작업부서별, 1인작업시의 소음도를 조사하여 기본자료로 하고 복합공정시의 소음을 측정하여 70 dB이상의 소음 노출시간을 조사함으로서 전체 치과기공실의소음도를 추정하고, 치과기공실의 소음이 치과기공사에게 정신적, 정서적 , 생리적으로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문조사하여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치과기공소의 환경위생 관리와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업부서변 1인 공정시 소음도는 각 작업부서별 모두 연마작업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정도는 70 dB이상이다.
      2. 작업부서별 복합공정시 공정별 소음도는 1인 작업공정시보다 전체적으로 소음발생이증가하였는데, 소음도의 차이는 연마시보다 조용한 작업공정 시가 최소한 10 dB이상으로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3. 작업부서별 소음 노출시간은 80 dB이상에서는 복합공청시 도재기공부서(150분), 국부의치(120분), 관교의치기공(100분), 총의치기공(80분) 순으로 나타났다.
      4. 작업실의 시간대변 소음정도는 연마작업시는 대부븐이 80 dB이상이고 Wax작업시는대부분이 75 dB이하로 나타났다.
      5. 설문조사에서 치과기공사의 심리적 상태는 기공실 소음으로 인하석 거의 매일 짜증난다(14%), 가끔씩 짜증난다(29%)로 나타났고 정서적 불안감도 화가 잘 난다(19%)로나타났다.
      6. 소음이 치과기공사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기공일을 하는 동안 위장병에 대해서는위산과다 39%, 위궤방 11%, 위염 5%, 십이지궤양 3% 순으로 나타났고, 심장이 약한것 같다가 32%로 나타났다.
      7. 소음이 치과기공사의 청력에 미치는 영향은 약해진다가 39%, 보통이다 33%, 정상이다14%로 나타났다.
      치과기공실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치과기공사들이 심리적, 신체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과기공실의 작업환경관리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이 요구되며, 소음의발생을 줄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gree of noise by personal dental laboratory working process anddegree of noise by complex dental laboratory working process were measuredseparately. The time of exposure to noise greater than 70 dB estimated on thebasis of afore-medntioned informati...

      Degree of noise by personal dental laboratory working process anddegree of noise by complex dental laboratory working process were measuredseparately. The time of exposure to noise greater than 70 dB estimated on thebasis of afore-medntioned information. Questionarire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mental, emotion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noise on dental techni-c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keepingdental technicians who are exposed to noise pollution in good working conditionand good health.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Polishing process in each working part showed high degree of noisegreater than 70 dB in terms of degree of noise by personal working.
      2. Degee of noise by complex working process in each workong part wasgreater than that of personal working process.
      3. Time of exposure to noise complex working process the part of porcelain150 min., partial denture 120 min., crown and bridge 100 min., full denture80 min.
      4. Degree of noise by time in dental laboratory was 80 dB in general forpolishing process and below 75 dB for waxing process.
      5. Effects of noise on mental and emotional state of dental technicians she-wed that they felt irritated every day(14% ), irritated once in a while(39% ) andeasily get med(19% ).
      6. Effects of noise on heart and stomach were hyper-gastric acid(38% ) ,gastric ulcer(11% ), gastritis(5% ), deuodenal ulcer(3% ) and weak hert function(32% ).
      7. Effects of noise on the hearting ability were weak(39% ), moderate(33% )and normal(14% ).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oise in the dental laboratoryexerts profound effect on detal technicians mentally, physiologically and emotio-nally.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therefore, it appears advisable to devote subs-tantial interests on the manag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put further(conti-nuing) effeorts in the ivestigation for reducing noise probl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