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요인과 대학교육요인이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Individual and Educational Factors on Dropout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27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요인뿐 아니라 대학교육요인이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의도를 낮추고 학업 지속 환경을 조성하...

      본 연구에서는 개인요인뿐 아니라 대학교육요인이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의도를 낮추고 학업 지속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노력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중도탈락 의도를 지닐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활의 의미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년이 낮을수록 중도탈락 의도를 지닐 확률이 높기 때문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대학생활의 학업계획 및 비교과 활동 계획을 세우는 등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내국인 재학생보다 외국인 유학생이 중도탈락 의도를 지닐 확률이 높기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들의 선발에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교육의 질과 관련된 4개 하위요인 중에서 교육성과 만족도가 낮을수록 중도탈락 의도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재학생들에게 자신의 비전과 진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how individual factors and university educational factors influenced on dropout int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 suggested that university to do to reduce dropout intention of students, and to create study continue condition...

      This research studied how individual factors and university educational factors influenced on dropout int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 suggested that university to do to reduce dropout intention of students, and to create study continue condition.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based on it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male tend to have higher rates of dropout intention than female, we need to help male have meaning of school life, by provided them with intensive consulting. Second, because lower grades tend to have higher rates of dropout intention than upper grades, we need to help lover have future vision in major, and to provide programs as curriculum study plan and extra-curriculum participation plan. Third, because foreigners tend to have higher rates of dropout intention than Locals, we need to select carefully selection of foreigners, and needs to be reformed to help adaptation of their university life. Four, because the lower ‘education performance’ among satisfaction factors for high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have higher rates of dropout intention, we need to help students establish future vi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선,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61-384, 2016

      2 형정은,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89-220, 2016

      3 염민호, "신입생 교육의 개념 및 전략 구성 :전남대학교 단과대학 학장들의 인식과 대학의 대응"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305-327, 2007

      4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83-113, 2013

      5 정태화, "미국에서의 전문대학 학생유지 연구에 관한 시사점 분석:재학생 감소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1 (21): 327-342, 2002

      6 주휘정, "대학생의 휴학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77-293, 2011

      7 강승호,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29-53, 2010

      8 정제영,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6 (16): 57-76, 2015

      9 노혜란,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1 (11): 89-107, 2008

      10 연보라,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29-155, 2015

      1 박은선,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61-384, 2016

      2 형정은,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89-220, 2016

      3 염민호, "신입생 교육의 개념 및 전략 구성 :전남대학교 단과대학 학장들의 인식과 대학의 대응"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305-327, 2007

      4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83-113, 2013

      5 정태화, "미국에서의 전문대학 학생유지 연구에 관한 시사점 분석:재학생 감소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1 (21): 327-342, 2002

      6 주휘정, "대학생의 휴학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77-293, 2011

      7 강승호,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29-53, 2010

      8 정제영,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6 (16): 57-76, 2015

      9 노혜란,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1 (11): 89-107, 2008

      10 연보라,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29-155, 2015

      11 최영준,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61-83, 2013

      12 채재은, "대학생들의 휴학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95-317, 2011

      13 김성식,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및 학교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영향"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27-249, 2008

      14 오영재,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27-356, 2005

      15 권혜진,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404-412, 2010

      16 J. E. Hoyt, "Understanding retention and college student bodies: Difference between drop-outs, stop-outs, opt-outs, and transfer-outs" 41 (41): 395-417, 2004

      17 Jaewoong, Kim, "The college dropou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individual,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o the withdrawal from 4-year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10 (10): 17-48, 1992

      18 Jaewoong, Kim, "The college dropou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individual,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o the withdrawal from 4-year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10 (10): 17-48, 1992

      19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0 Youngju, Hur, "Interesting factors of school life of potential dropout university students" 5 (5): 1047-1052, 2018

      21 Yongnam, Kim, "An analysis of factors of influence on college student withdrawa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