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호적에 대한 이해 = 논쟁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8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호적과 호구를 보는 관점
      • Ⅱ. 신분변동론과 유학의 성격
      • Ⅲ. 호적에 대한 종합적 접근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호적과 호구를 보는 관점
      • Ⅱ. 신분변동론과 유학의 성격
      • Ⅲ. 호적에 대한 종합적 접근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金錫亨, "李朝初期 國役編成의 基底" 震檀學報 14, 1941

      2 손병규, "호적대장의 職役記載 양상과 의미" 역사와 현실 21, 2001

      3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한국사연구 (132) : 137 ~ 178, 2006

      4 정진영, "향촌사회에서 본 조선후기 신분과 신분변화" 역사와 현실 (48) : 53 ~ 80, 2003

      5 한희숙,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6 李鍾日, "한국사 34-조선후기의 사회" 국사편찬위원회, 1995

      7 김성우, "조선후기의 신분제" 역사와 현실 (48) : 3 ~ 29, 2003

      8 鄭震英, "조선후기 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대동문화연구 42 : 137 ~ 169, 2003

      9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 ‘호’의 編制와 성격" 大東文化硏究 40, 2002

      10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역사와 현실 (62) : 223 ~ 246, 2006

      1 金錫亨, "李朝初期 國役編成의 基底" 震檀學報 14, 1941

      2 손병규, "호적대장의 職役記載 양상과 의미" 역사와 현실 21, 2001

      3 김건태,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 한국사연구 (132) : 137 ~ 178, 2006

      4 정진영, "향촌사회에서 본 조선후기 신분과 신분변화" 역사와 현실 (48) : 53 ~ 80, 2003

      5 한희숙,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6 李鍾日, "한국사 34-조선후기의 사회" 국사편찬위원회, 1995

      7 김성우, "조선후기의 신분제" 역사와 현실 (48) : 3 ~ 29, 2003

      8 鄭震英, "조선후기 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대동문화연구 42 : 137 ~ 169, 2003

      9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 ‘호’의 編制와 성격" 大東文化硏究 40, 2002

      10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역사와 현실 (62) : 223 ~ 246, 2006

      11 권내현, "조선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통혼 양상단성현 신등면 안동권씨 사례" 한국사연구 (132) : 109 ~ 136, 2006

      12 권내현,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 (135) : 279 ~ 303, 2006

      13 林學成, "조선 후기 戶籍에 등재된 兩班職役者의 身分-1786년도 丹城縣 縣內面의 사례 분석-" 朝鮮時代史學報 13, 2000

      14 권내현, "조선 영조대 백두산제 시행 논쟁 -참여 인물의 주장을 중심으로-" 한국인물사연구 (15) : 273 ~ 301, 2011

      15 권내현, "양반을 향한 긴 여정-조선 후기 어느 하천민 가계의 성장" 역사비평 (98) : 269 ~ 298, 2012

      16 권내현, "숙종대 지방통치론의 전개와 정책운영"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 25, 1997

      17 김성우,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2008

      18 김준형, "몰락 양반층의 軍役侵奪에 대한 대응양상- 19세기 진주권 지역을 중심으로 -" 古文書硏究 25 : 199 ~ 224, 2004

      19 호적대장 연구팀,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20 茶山硏究會, "譯註 牧民心書" 창작과비평사, 1981

      21 허원영, "濟州島 戶籍에 나타난 職役변동과 賦稅運營-『濟州大靜縣沙溪里戶籍中草』의 職役기록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23, 2003

      22 한영국, "朝鮮王朝 戶籍의 基礎的 硏究" 韓國史學 6, 1985

      23 이영훈, "朝鮮時代 主戶-挾戶關係 再論" 古文書硏究 25 : 1 ~ 32, 2004

      24 任敏赫, "朝鮮後期의 幼學" 淸溪史學 8, 1991

      25 李俊九, "朝鮮後期身分職役變動硏究" 一潮閣, 1993

      26 李榮薰,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1988

      27 吳永敎,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의 轉換 : 17世紀 國家再造와 관련하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28 崔承熙, "朝鮮後期 身分變動의 事例硏究-龍宮縣 大丘白氏家 古文書의 分析-" 邊太燮 華甲紀念史學論叢, 1985

      29 김건태, "朝鮮後期 戶의 構造와 戶政運營-丹城戶籍을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40, 2002

      30 권내현, "朝鮮後期 戶籍의 作成過程에 대한 分析" 大東文化硏究 39, 2001

      31 鄭杜熙, "朝鮮後期 戶籍硏究의 現況과 課題" 韓國史硏究 101, 1998

      32 노영구, "朝鮮後期 戶籍大帳 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 大東文化硏究 39, 2001

      33 崔承熙, "朝鮮後期 幼學‧學生의 身分史的 意味" 國史館論叢 1, 1989

      34 李樹健, "朝鮮初期 戶口硏究" 영남대학교논문집 5, 1971

      35 김용섭, "朝鮮 後期에 있어서의 身分制의 動搖와 農地占有" 史學硏究 15, 1963

      36 임학성, "戶籍관련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후기의 가족구성 양상- 한국가족사의 실체를 究明하기 위한 하나의 試圖 -" 민족문화연구 (44) : 323 ~ 388, 2006

      37 손병규, "戶籍大帳 職役欄의 軍役 기재와 ‘都已上’의 통계" 大東文化硏究 39, 2001

      38 김건태, "戶名을 통해 본 19세기 職役과 率下奴婢" 한국사연구 (144) : 201 ~ 238, 2009

      39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慶尙道丹城縣社會資料集" 2003

      40 林學成, "平民家門의 職役變動相을 통해서 본 조선 후기사회의 身分制動搖-17·18세기 丹城戶籍의 事例分析-" 仁荷史學 4, 1996

      41 정석종, "19세기의 사회변동"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72

      42 김준형, "19세기 진주의 신흥계층 ‘幼學’호의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47) : 151 ~ 187, 2008

      43 송양섭, "19세기 유학층(幼學層)의 증가양상 : 단성호적대장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55 (55) : 323 ~ 345, 2005

      44 정진영, "18세기 호적대장 ‘호’와 그 경제적 기반-1714년 대구 조암방 호적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39, 2001

      45 정진영, "18∼19세기 호적대장 ‘戶口’기록의 검토" 大東文化硏究 39, 2001

      46 송양섭, "18‧19세기 丹城縣의 軍役 파악과 운영-『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40, 2002

      47 정지영, "17‧18세기 丹城戶籍에 기재된 戶의 성격" 經濟史學 3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