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Scene-based AAC Application App Intervention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8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a scene-based AAC App for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ubject was an 8-year-old boy, but his receptive vocabulary age was two and a half year 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a scene-based AAC App for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ubject was an 8-year-old boy, but his receptive vocabulary age was two and a half year old and his IQ was 32. His main communicative modes were gesture, pointing and approximately vocalization.
      The AAC App was developed based on the ios platform for using iPad. This App has little navigation process for searching items. If the child chooses one scene in the app, all symbols are showed in a scene which he had chosen. It does not need to consume time to find items which he wants to express. Three different situations, the school, home and supermarket, was selected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intervention using this AAC app. The study design was the multiple prove baseline across settings design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he script activities, symbolic learning program and communicative function train using milieu teaching strategy. The data was collected by analyzing the video clip of three different situations recorded in portable camcorder and the outco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mmunicative function, role, outcome, and the vocal imi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using the scene-based AAC App was effective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changes, the communicative role changes, the communicative outcome changes and, the vocal imitation changes of the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황중심 어휘배열 AAC 앱을 이용한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 설계는 상황간 간헐중다기초선 설계법을 사...

      본 연구는 상황중심 어휘배열 AAC 앱을 이용한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 설계는 상황간 간헐중다기초선 설계법을 사용하였으며,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세 가지 상황에서 AAC 앱을 이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나타나는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역할, 성과, 발성모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상황중심 AAC 앱을 이용한 중재는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상황중심 AAC 앱을 이용한 중재는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역할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상황중심 AAC 앱을 이용한 중재는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성과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상황중심 AAC 앱을 이용한 중재는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발성모방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을 위한 AAC 보조도구에 상징을 배열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상황중심 배열의 효과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AAC 중재가 학교와 가정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중도ㆍ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3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4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5 김정연,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7 : 265-289, 2006

      6 김종연, "비의무적 말차례 주고받기 기술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29-251, 2014

      7 정명철,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447-471, 2012

      8 한경임, "브릿지 스쿨(Bridge School) 초등학급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3-138, 2014

      9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의 가능성 탐색과 중재 시 고려 사항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6 (6): 5-26, 2007

      10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19-242, 2003

      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3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4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5 김정연,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7 : 265-289, 2006

      6 김종연, "비의무적 말차례 주고받기 기술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29-251, 2014

      7 정명철,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447-471, 2012

      8 한경임, "브릿지 스쿨(Bridge School) 초등학급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3-138, 2014

      9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의 가능성 탐색과 중재 시 고려 사항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6 (6): 5-26, 2007

      10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19-242, 2003

      11 한경임,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09-130, 2007

      12 문현미, "뇌성마비 유아의 요구하기와 자발화 변화에 대한 사진의사소통과 손짓기호 체계의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321-348, 2009

      13 최정은, "그림 상징체계에 대한 유아들의 도상성 인식 조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17-247, 2015

      14 Park, G. T, "The status on the Korean AAC software development" 23-43, 2014

      15 Miller, D, "The impa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ve on natural speech development: A meta-analysis" 2000

      16 Hong, M. J, "The effects of script-based peer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Ewha Womans University 2003

      17 Kim, E. Y, "The effects of script event teaching on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Dan Kook University 2001

      18 Jung, M. C, "The development and use of AAC using smart phone" 45-56, 2014

      19 "The Spectronics Blog"

      20 Kim, K. Y,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6 (6): 331-354, 2001

      21 Han, K. I,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with multiple physical disabilities" 39 : 267-284, 2002

      22 Cress, C. J, "Strategies for promoting voc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relying on AAC: Three case illustrations" 1998

      23 Americ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respect to augmentative communication: Position statement"

      24 고진복, "KIDS VOI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45-163, 2006

      25 Reichle, J, "Implement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991

      26 Schlosser, R. W, "Effects of synthetic seech output and orthographic feedback on spelling in a student with autism: A preliminary study" 28 (28): 309-319, 1998

      27 Angelo, D. H, "Effects of a pragmatic teaching strategy for requesting information by communication board users" 55 : 231-243, 1990

      28 Han, K. I,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communicative interaction patterns of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33 (33): 169-190, 1998

      29 Park, E. 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kjisa 2010

      30 Han, K. I, "Developing a Digital Device, named ATTI, as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id" 234-240, 2010

      31 Pippin, L, "Designing devices that are acceptable to the frail, elderly: A new understanding based upon how older people perceive a walker" 7 : 93-102, 1997

      32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 in children and adult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5

      33 Binger, 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0

      34 Parette, P, "Assistive technology use and stigma" 39 (39): 217-226, 2004

      35 Kim, Y. T,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Hakjisa 2002

      36 Higginbotham, J, "Access to AAC: Present, past and future" 23 (23): 243-257, 2007

      37 Beukelman, D. R, "AAC for adults with acquired neurological conditions: A review" 23 (23): 230-24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