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As Cross-Cultural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1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taught Kore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four years at a college to th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the classroom setting, I found its cross-cultural aspects of art education such as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f...

      I have taught Kore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four years at a college to th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the classroom setting, I found its cross-cultural aspects of art education such as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their diverse backgrounds and motives of taking the course, and teaching Korean art and culture in English, a foreign-international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 found teaching Korean art appreciation course in English as a practical example of cross-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issu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non-english subjects in English) which is booming in Korea's higher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let students understand Korean art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roducts and basic to human survival and helps the students develop their awareness of their own cultures and identities as well as those of others'. This study suggests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in the classroom with foreign and Korean students as cross-cultural art education is for the students a means to teach tolerance and empathy and a nourishing environment to make global citizens in this inevitably globalized and multiculturalized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영어가 세계 공용어, 국제 중심언어가 되자, 사회에서는 전공을 불문하고 영어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에서의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이 취업률 향상으로 이어지...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영어가 세계 공용어, 국제 중심언어가 되자, 사회에서는 전공을 불문하고 영어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에서의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이 취업률 향상으로 이어지고 글로벌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영어의 습득이 필수라고 주장하며 대학들에서 영어강의를 확대되었다. 대학에서는 ‘대학의 국제화가 곧 강의의 영어화’라는 생각에서 학생들에게 세계와 경쟁하는 마인드를 심어주고 이를 통한 대학의 세계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한국경제, 2010.10.10).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의는 이러한 국내 대학들의 전공 영어강의 붐에 따른 정책의 일환으로 생겨났고,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외국학생들과 한국학생들의 통합수업에서 한국미술감상을 영어로 진행하는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는 급속도로 다문화․세계화․국제화되는 한국 사회와 미술계의 변화를 반영한다. 사람들은 전 세계로 여행을 다니고, 다른 나라의 언어로 소통하며,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세계의 모습과 현상을 보고 있으며, 다른 인종과 민족과 문화의 사람들이 이웃에 살고 있고, 이들이 결합된 다문화 가정들을 한국의 도시와 지방, 언론 매체 등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즉, 한국 사회를 더 이상 단일 문화의 나라라고 말할 수 없다. 미술계 또한, 한국 작가들이 뉴욕을 포함해 전 세계에 나가 전시를 하고 있고 세계적인 작가들이 국제적으로 자신들의 작품을 국제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한국에 온다. 훅(hooks, 1998)에 따르면 유목생활(nomadism)은 포스토모더니즘 시대의 현상이며 인간 경험은 계층, 문화, 인종, 성별, 국적을 놀랍게도 넘나들고 있다고 설명한다.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의 한국미술이론 영어강좌는 학생들에게 공감어린 감상과 이해와 다른 문화의 사람들에 대한 존중을 발전시키도록 하며 개인의 자신과 타인의 문화와 세계관의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미술수업에서 다른 배경과 문화와 전통을 가진 사람들을 자신과 같은 인간으로 보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나아가 단지 인류학적 인간적인 이타심만이 아니라 이 사회와 세상을 살기 위한 능력으로 인식된다. 즉, 개인을 전인적인 한 개인이자 더 큰 세상의 시민이 되게 한다(Anderson & Milbrandt, 2005; Erickson, 2000; Garber, 1995).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은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서 세계에 대한 공감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한다(Davenport, 2000; Garber, 1995).
      한국 사회는 더욱 다문화화될 것이고 세계화되고 국제적으로 통합되는 환경이 될 것이다. 그 현상은 대학의 전공 영어강의를 진행하는 강의실에서만이 아니라 초중등학교와 지역사회와 생활 주변에서 보편적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로 다른 문화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와 미술의 주제를 외국어로 의사소통하는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는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의 실제 적용으로 현 사회의 현상과 현대의 한국 미술교육의 변화를 보여준다.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사회 속에서의 개인의 경험과 인간 존재에 대한 이타적이고 공감적인 이해와 현대 사회에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세계 시민으로서 세계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배우게 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Banks, 2004; Anderson, 1995; Garber, 1995). 즉, 이 연구의 정당성과 필요성과 중요성은 변화하는 미술계와 사회 현상에 대한 반영일 뿐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들과 함께 급속화되는 한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한국일보(2008. 3. 21)"

      2 퍼시픽에듀, "한국대학에서 영어로 하는 강의 확대 추세"

      3 한국경제, "한국경제(2010.10.10)"

      4 한겨레, "한겨레(2006. 12. 18)"

      5 포항공대신문, "포항공대신문(2008. 12. 08)"

      6 이대신문, "조선일보 통계"

      7 허명수, "영어강의 이렇게 준비하자" 다락원 2006

      8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2010. 03. 26)"

      9 숭대시보, "숭대시보(2010. 10. 10)"

      10 숭대시보, "숭대시보(2009. 11. 23)"

      1 한국일보, "한국일보(2008. 3. 21)"

      2 퍼시픽에듀, "한국대학에서 영어로 하는 강의 확대 추세"

      3 한국경제, "한국경제(2010.10.10)"

      4 한겨레, "한겨레(2006. 12. 18)"

      5 포항공대신문, "포항공대신문(2008. 12. 08)"

      6 이대신문, "조선일보 통계"

      7 허명수, "영어강의 이렇게 준비하자" 다락원 2006

      8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2010. 03. 26)"

      9 숭대시보, "숭대시보(2010. 10. 10)"

      10 숭대시보, "숭대시보(2009. 11. 23)"

      11 고대신문, "수강생 56% 영어강의 불만족: 학생들 느끼는 강의수준 편차심해"

      12 서울경제, "서울경제(2010. 1. 20)"

      13 윤민희, "국내대학 미술이론과목 영어강의 사례연구 및 제안" 한국조형교육학회 34 (34): 135-173, 2009

      14 Ballengee-Morris, C, "You can hide but you can’t run: Interdisciplinary and culturally sensitive approaches to mask making" 58 (58): 12-17, 2005

      15 Davenport,M, "Where do we go from here? Intercutural education for peace" 21 : 119-125, 2003

      16 Choe,M, "Walls and bridges: Metaphor as a tool and lens for cross-cultural art education. In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NAEA 150-157, 2010

      17 Anderson,T, "Toward a cross-cultural approach to art criticism. Studies in Art Education" 36 (36): 198-209, 1995

      18 Bhabha,H, "The location of culture" Rutledge 1994

      19 Garber,E, "Teaching art in the context of culture: A study in the borderlands" 36 (36): 218-232, 1995

      20 Ballengee-Morris, Daniel, "Social justice through a curriculum narrative: Investigating issues of diversity. In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NAEA 14-21, 2010

      21 Delacruz,E.M, "Myths, misconceptions, misdirections: Multiculturalism and art education" 48 (48): 57-61, 1995

      22 Newfield, C., "Multiculturalism's unfinished business. In Mapping multiculturalism" University of Minnesota 76-115, 1996

      23 hooks,B, "Making movie magic. In The crisis of criticism" New Press 132-146, 1998

      24 Bastos,F, "Language. Art Education" 63 (63): 4-5, 2010

      25 Zimmerman, E, "Intercultural art education offers a means to promote tolerance and understanding" 20 : 68-80, 2002

      26 Chanda,J, "Exploring cultural concepts through art: A cross-cultural comparison" 12 : 15-33, 1994

      27 Banks, J. A, "Divers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perspectives" Jossey-Bass 2004

      28 Davenport,M, "Culture and education: Polishing the lenses" 41 (41): 361-375, 2000

      29 Erickson,M, "Crossing borders" 53 (53): 46-52, 2000

      30 Arnold,A, "Building community through arts experiences" 47 (47): 47-51, 1994

      31 Anderson, T, "Art for life" McGraw Hill 2005

      32 Dewey,J, "Art as experience" Perigee Books 19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조형교육
      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0.9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