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멍쇠미역의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 분석 =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8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멍쇠미역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성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식품 영양학적 ...

      본 연구는 구멍쇠미역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성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식품 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구멍쇠미역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당질 45.4%, 조단백질 15.0%, 조지방 2.3% 및 조회분 33.1%이었고, 구멍쇠미역 100 g의 함유 열량은 262.3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34.0%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함량은 12,402.42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 결과, 각각 $34.1{\pm}2.56mg/g$과 $4.9{\pm}0.26mg/g$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멍쇠미역은 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매우 크며,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garum cribrosum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gener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arum cribrosum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garum cribrosum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gener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arum cribrosum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45.4%, 15.0%, 2.3% and 33.1%. The calories of Agarum cribrosum were 262.3 kcal and total dietary fiber of Agarum cribrosum was 34.0%. The protein contained a total of 18 different kinds of amino acids. The content of amino acids was 12,402.42 mg/100 g. The K was the largest mineral followed by Ca, Na and Mg, implying that Agarum cribrosum is an alkali materia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was assessed by various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FRAP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ll antioxidant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extrac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he dependents. Total phenolic contents of Agarum cribrosum extract were $34.1{\pm}2.56mg/g$,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were estimated at $4.9{\pm}0.26mg/g$. General nutrients and 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Agarum cribrosum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 It is expected that a follow-up study of Agarum cribrosum through developing processed food and evaluation of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r sources of functional fo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한, "홍화씨 추출분말 함유 건강음료의 제조와 항산화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617-624, 2002

      2 전영은,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443-449, 2012

      3 박영범, "해조류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활성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93-1296, 2005

      4 한종현, "한약재를 이용한 음료의 개발 및 혈관개선에 미치는 기능성 평가" 대한동의병리학회 18 (18): 1078-1082, 2004

      5 연광석,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50-254, 2007

      6 차월석, "청피와 모려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7 (17): 503-507, 2002

      7 박성혜, "생식 제품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여성의 영양섭취상태, 식행동, 혈청지질농도 및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6 (36): 49-63, 2003

      8 최미숙, "땅두릅뿌리를 이용한 혼합음료가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혈압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15 (15): 165-172, 2002

      9 임영근, "기장산과 완도산 식용해조류 중의 미네랄 함량" 한국수산과학회 39 (39): 16-22, 2006

      10 최영주, "기장산과 완도산 건 다시마의 무기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한국생명과학회 18 (18): 474-481, 2008

      1 김준한, "홍화씨 추출분말 함유 건강음료의 제조와 항산화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617-624, 2002

      2 전영은,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443-449, 2012

      3 박영범, "해조류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활성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93-1296, 2005

      4 한종현, "한약재를 이용한 음료의 개발 및 혈관개선에 미치는 기능성 평가" 대한동의병리학회 18 (18): 1078-1082, 2004

      5 연광석,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50-254, 2007

      6 차월석, "청피와 모려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7 (17): 503-507, 2002

      7 박성혜, "생식 제품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여성의 영양섭취상태, 식행동, 혈청지질농도 및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6 (36): 49-63, 2003

      8 최미숙, "땅두릅뿌리를 이용한 혼합음료가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혈압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15 (15): 165-172, 2002

      9 임영근, "기장산과 완도산 식용해조류 중의 미네랄 함량" 한국수산과학회 39 (39): 16-22, 2006

      10 최영주, "기장산과 완도산 건 다시마의 무기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한국생명과학회 18 (18): 474-481, 2008

      11 Cho DM,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1" 28 : 49-59, 1995

      12 Duval B,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25 : 361-377, 2001

      13 Benzie I,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239 : 70-76, 1996

      14 Han SM,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t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Sejong Uni 2001

      15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the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prepared from glucosamine" 44 : 307-315, 1986

      16 Cho SY, "Screening for porare lipoxygenase-Ⅱ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37 : 451-455, 1994

      17 정은주, "Rhus verniciflua Stoke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한국생약학회 14 (14): 156-160, 2008

      18 Middleton EJ,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 Moon SJ. 1996. Korean disease pattern and nutrition" 29 : 381-383, 1994

      19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7, 1981

      2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2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2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2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84

      24 Student AK, "Induction of fatty acid synthetase synthesis in differentiating 3T3-L1 preadipocytes" 225 : 4745-4750, 1980

      25 Jeong JW,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26 : 709-712, 1994

      26 Han HK, "Effect of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Commelina ommuris on blood glucose level and energy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14 : 577-583, 1998

      27 Yim JE, "Effect of dietary counceling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 treatment on serum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patients" 8 : 61-76, 1998

      28 Hong JS, "Composition of organic aci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20 : 100-106, 1998

      29 Moreno MIN,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71 : 109-114, 2000

      30 Choi KS,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25 : 326-322, 1999

      31 Lee GD,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29 : 432-436, 1997

      32 Roberta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3 Richmond ML,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HPLC" 29 : 4-7,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