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6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에 있는 4년제 대학에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에 있는 4년제 대학에 다니는 2
      학년,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7년 10월부터 한 달간 조사하여 198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를 SPSS WIN 20.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
      (r=-.277, p<.01),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49 p<.01)를 보였고, 의사
      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82 p<.01)를 보였고,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84, p<.01)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자기효능감(β=-.192 p<.05)과 자기통제력(β=.230, p<.001)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4%로 나
      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기 위해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을 향상시
      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unication skill, self-control,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mart phone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19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G city for ad...

      communication skill, self-control,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mart phone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19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G city for ad month from October 2017. Data wa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20.0.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lf efficacy(r=-.277, p<.01),
      smart phone addiction and self-control(r=-.349, p<.01), self efficacy and self-control(r=-.484, p<.01) and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self efficacy(r=.382 p<.01). As a
      regression analysis, factors that have and effect on smart phone addictions were self efficacy(β=-.192 p<.05)
      and self-control(β=.230, p<.001). Theses factors explain 24.0% of the variance in smart phone addictions.
      Therefore, to increase self-control, self efficacy, and to decreases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lower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과
      • Reference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과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형진,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존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91-427, 2007

      2 홍현기,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BSCS)의 타당화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1193-1210, 2012

      3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4 이성숙,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6 (16): 775-782, 2016

      5 이보경,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가상 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47-56, 2003

      6 이연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29-43, 2009

      7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08-217, 2013

      8 김동현, "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17 (17): 105-112, 2013

      9 이지항, "인터넷 사용량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변인 탐색"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15-32, 2005

      10 이종만,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경인지역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371-385, 2016

      1 우형진,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존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91-427, 2007

      2 홍현기,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BSCS)의 타당화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1193-1210, 2012

      3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4 이성숙,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6 (16): 775-782, 2016

      5 이보경,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가상 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47-56, 2003

      6 이연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29-43, 2009

      7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08-217, 2013

      8 김동현, "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17 (17): 105-112, 2013

      9 이지항, "인터넷 사용량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변인 탐색"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15-32, 2005

      10 이종만,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경인지역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371-385, 2016

      11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 7 (7): 163-172, 2016

      12 양경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7 (7): 113-123, 2016

      13 이현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수면부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 8 (8): 315-323, 2017

      14 이현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 8 (8): 139-148, 2017

      15 김병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67-98, 2013

      16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17 김인경,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37-648, 2017

      18 김미숙,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719-6727, 2014

      19 이외선,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19-328, 2017

      20 Y. K. Lee, "The dark side of samrtphone usage" 31 : 373-383, 2014

      21 S. R. Lee,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Chosun University 2017

      22 Korean Internet & Security Agency, "The 2013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2013

      23 S. M Kim, "Smartphone use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Changnam National University 2014

      24 J. P. Tangney,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22 (22): 272-322, 2004

      2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26 R. A. Davi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17 : 187-195, 2001

      27 S. J. Kang,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pattern, the stress, self-control and family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city" Ulsan University 2013

      28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correlates" 11 (11): 1-19, 1997

      29 J. S. Lee, "A Study on Adolescen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Their Mobile Phone Addiction" 2 (2): 1-25, 2007

      30 A. Y. Kim,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Ewha University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