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과함께>의 신파성과 한국적 신파 현상—웹툰 <신과함께—저승편>과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에 나타난 신파성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npa of Along With the Gods and the Korean Sinpa—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npa of Singwahamkke Jeoseung and the Sinpa of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5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의 신파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신과함께—죄와 벌>은 천만 관객 영화로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개봉 당시 ‘한국적 신파’라는 혹평을 받...

      이 논문의 목적은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의 신파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신과함께—죄와 벌>은 천만 관객 영화로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개봉 당시 ‘한국적 신파’라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웹툰 <신과함께> 연작과 웹툰을 각색해 제작한 영화 두 편 모두가 큰 대중적 인기를 누리면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신과함께—죄와 벌>의 경우 개봉 당시 영화의 신파성이 관람객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꽤나 논란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한 논문은 그간 나오지 않았다. 이에 이 논문은 <신과함께—죄와 벌>에 나타난 신파성을 특히 원작 웹툰 <신과함께—저승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본론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이 논문의 분석 도구인 신파성에 대한 개념 설정 관련 논의이다. 3장에서는 웹툰 <신과함께—저승편>을 분석했다. 여기서는 웹툰에 나타난 신파적 순간에 대해 다뤘으며 신파적 순간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왜 이 작품은 신파적 텍스트가 아닌지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웹툰에서 영화로의 각색이 신파성의 측면에서 어떤 효과를 발생시켰는지를 살핀 후 신파적 남성 주체로서의 ‘김자홍’에 초점을 맞춰 영화에 나타난 신파성의 젠더적 특성을 분석했다. 결론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신과함께—죄와 벌>을 둘러싼 한국적 신파 논란의 사회적 의미를 간단히 평하였다.
      신파는 한국 대중 서사 영역에서 끊임없이 되풀이하며 등장해온 강한 생명력을 지닌 코드이다. 신파에 관한 연구가 이미 상당히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텍스트에 구현된 신파성을 분석하는 작업이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신파라고 쉽게 명명되었지만 제대로 분석되지는 않았던 텍스트, <신과함께—죄와 벌>을 대상으로 그 신파성을 분석한 이 논문이 앞으로의 신파 연구에 보탬이 되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이 논문이 <신과함께> 시리즈에 대한 보다 적절한 사회적 맥락화와 의미화를 위한 작업의 일부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재, "한국전통서사의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동국대학교 2018

      2 박유희, "한국문화사를 ‘눈물’로 종횡하는 정치 비평 ―이호걸, 『눈물과 정치』 (따비, 2018)" 한국극예술학회 (62) : 261-276, 2018

      3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 《장한몽》에서 <모래시계>까지" 푸른역사 2016

      4 이호걸, "신파양식 연구 : 남성신파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7

      5 이호걸, "신파성이란 무엇인가? -구조, 정치, 역사" 영상예술학회 (9) : 179-214, 2006

      6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3" 애니북스 2017

      7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2" 애니북스 2017

      8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1" 애니북스 2017

      9 김용화, "신과 함께-죄와 벌"

      10 김용화, "신과 함께-인과 연"

      1 이수재, "한국전통서사의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동국대학교 2018

      2 박유희, "한국문화사를 ‘눈물’로 종횡하는 정치 비평 ―이호걸, 『눈물과 정치』 (따비, 2018)" 한국극예술학회 (62) : 261-276, 2018

      3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 《장한몽》에서 <모래시계>까지" 푸른역사 2016

      4 이호걸, "신파양식 연구 : 남성신파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7

      5 이호걸, "신파성이란 무엇인가? -구조, 정치, 역사" 영상예술학회 (9) : 179-214, 2006

      6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3" 애니북스 2017

      7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2" 애니북스 2017

      8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1" 애니북스 2017

      9 김용화, "신과 함께-죄와 벌"

      10 김용화, "신과 함께-인과 연"

      11 이호걸, "눈물과 정치 : <아리랑>에서 <하얀 거탑>까지, 대중문화로 탐구하는 감정의 한국학" 따비 2018

      12 이승희, "기표로서의 신파, 그 역사성의 지형" 한국극예술학회 (23) : 9-44, 2006

      13 이승희, "‘신파’와 ‘막장’의 시간성"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97-132, 2018

      14 "‘신과함께’ 김용화 감독, 실패→성공 그리고 또 도전 / 인터뷰"

      15 "‘신과함께’ 감독 “신파? 큰 제작비 영화, 이 정도 감정 깊이 필요” / 인터뷰"

      16 너돌양, "‘신과 함께-인과 연’, 신파 대신 천년 거스른 인연 내세워 도달한 가치"

      17 이동진,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 12월 한국영화 대작 세 편의 공과"

      18 "<신과 함께-죄와 벌> 원작자 주호민 작가, “내게 늘 첫째는 만화적인 재미에 집중하는 것” / 인터뷰"

      19 "<신과 함께-죄와 벌> 배우 예수정, “내가 배운 신파는 감정에 충실하다는 의미... 요즘일수록 신파가 필요하다” / 인터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4 1.6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