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반균형이론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본 정책균형이론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Balancing Theory Comparing to General Equilibrium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31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책에 관련된 각종의 이해관계를 원만하고도 정의롭게 조정할 수 있는 정책균형에 관한 이론과 그의 실천방법이 학계에서 중요한 연구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정책균형...

      정책에 관련된 각종의 이해관계를 원만하고도 정의롭게 조정할 수 있는 정책균형에 관한 이론과 그의 실천방법이 학계에서 중요한 연구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정책균형의 기초이론으로 비판적 관점에서 여러 학문분야에서 발달하고 있는 균형이론을 선별적으로 정리하여 정책균형이론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때문에 다양하게 발달 되고 있는 균형이론을 총체적으로 리뷰하기 보다 정책균형의 균형(balance)과 일반적 의미의 균형(equilibrium)과의 차이점을 조명하기 위한 연구범위 내에서 세력균형론, 일반체제론, 조절이론, 코프라티즘과 정책조정론과 정책급변론 등과의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경제학의 일반균형이론과의 차이점을 균형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주제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취급하지 아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정책균형이론의 실천기준과 구체적 균형이론의 실천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이론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 본 연구가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일반적 균형이론과 정책균형이론이 주장하는 균형이론의 패러다임적 성격과 차이점을 분명히 정립하면서 이론수준에서의 정책균형이론 의 발달가능성 등을 종합적 접근방법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클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icy balancing theory and its arguments have been articulated in the community of policy scienc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methodological refinements for achieving widely acknowledged and debated a policy theory. However, until ...

      Policy balancing theory and its arguments have been articulated in the community of policy scienc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methodological refinements for achieving widely acknowledged and debated a policy theory. However, until now, it is quite mystique and somewhat misunderstood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balance” and “equilibrium”. Thus, this article raised and criticized the development of policy balance theory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among balancing theories(even not exactly balancing but equilibrium ones). And four major theories of power balance, general system theory, regulation theory, and corporatism were reviewed critically and comparatively by the policy balance theory; and subsequently some theories of policy coordination and policy punctuation were reviewed and criticized. For further researches, this article suggested 1)in methodologically,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on the theorizing the policy balance among the policy sciences community is a tool for better arguments, and 2)in a pure science term, the policy balance theory is widely studied among political, economical, and other disciplinary fields and some practitioners of the policy balance theo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