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inkage and Network Plan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with Community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6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도입한 읍⋅면⋅동 중심 커뮤니티 케어의 효율화를 위한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의 근거는 국민의 평생사회안전망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도입한 읍⋅면⋅동 중심 커뮤니티 케어의 효율화를 위한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의 근거는 국민의 평생사회안전망 보장을 위한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급여법 시행과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서 통합서비스를 관장하는 읍⋅면⋅동 중심 통합사례관리 제도의 확대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OECD 복지국가들의 커뮤니티 케어 제도를 분석하였고, 한국에서 도입한 커뮤니티 케어의 개념과 통합사례관리의 통합적 개념인 공공재적 사회서비스 성격을 고찰하였다. 또한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의 연계 및 네트워크 실천을 위한 읍⋅면⋅동 복지환경의 대내외적 여건 분석을 위하여 최초로 SWOT 분석을 시도하였다. 커뮤니티 케어 체계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이용자(Service User)의 초기 접수로부터 노후에 이르기까지 서비스를 관장하는 읍⋅면⋅동 중심 통합사례관리의 핵심은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전제로 다양한 기관, 전문가 연계, 네트워크, 조정을 거쳐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과정이다. 이에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돌봄서비스 기관, 종교⋅봉사단체 등의 네트워크화와 공⋅사 혼합복지체제로 효율화를 기해야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거버넌스 전략과 새로운 거버넌스(New Governance) 기능으로 돌봄공동체 구축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및 네트워크, 조정 기능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inking integrated care management liaison network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municipal-centered community care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bases for this include the Fr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inking integrated care management liaison network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municipal-centered community care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bases for this include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o ensure the life-long social security network and the expansion the municipal-centered integrated care management system that governs the integrated services developed from the visit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herefo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mmunity care cases among welfare states have been examined, followed by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and theory of Korean community care service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has conducted the first-of-its-kind SWOT analysis on the welfare environment for community care and integrated care management liaison network. The key to the success of the municipal-based integrated care management system that takes care of a comprehensive range of services from the initial-stage receipt of care service users to the senior care is to meet the needs of care service users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linkage with experts, networks, and coordination based on cooperat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study has, thus, found that the system of care services requires a welfare governance strategy to build a network of various relevant players, including local self-governing bodies, municipal assurance consultative groups, care service providers and religious and voluntary service groups and to promote the efficiency with the mixed welfare system of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ll in all, the study has suggested the strategy to build up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ocal welfare governance that promotes linkage and networking to be able to strengthen the new governance function, consolidate the community and integrated care management, and to facilitate the access to the integrated ser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복지국가의 커뮤니티 케어 Ⅲ. 한국의 커뮤니티 케어 Ⅳ.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복지국가의 커뮤니티 케어 Ⅲ. 한국의 커뮤니티 케어 Ⅳ. 커뮤니티 케어와 통합사례관리 연계 네트워크 실천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2 김만두, "효과적인 복지서비스를 위한 케이스매니지먼트 실천론" 홍익재 2004

      3 황미경,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제도 시행을 위한 법제화 방안"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2) : 5-48, 2017

      4 김진욱, "한국의 복지혼합" 집문당 2011

      5 김찬우, "통합적 케어, 케어매니지먼트와 장기요양제도" 2008

      6 황미경, "통합사례관리 법제화 및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사회복지법제 교육 방안" 사회복지법제학회 8 (8): 125-152, 2017

      7 보건복지부, "커뮤니티 케어 추진단 보도자료"

      8 황미경, "커뮤니티 케어 도입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연계 방안" 173-195, 2018

      9 국토교통부, "커뮤니티 케어 도시재생 뉴딜사업" 국토교통부 2018

      10 보건복지부, "치매국가책임제 보도자료"

      1 보건복지부,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2 김만두, "효과적인 복지서비스를 위한 케이스매니지먼트 실천론" 홍익재 2004

      3 황미경,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제도 시행을 위한 법제화 방안"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2) : 5-48, 2017

      4 김진욱, "한국의 복지혼합" 집문당 2011

      5 김찬우, "통합적 케어, 케어매니지먼트와 장기요양제도" 2008

      6 황미경, "통합사례관리 법제화 및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사회복지법제 교육 방안" 사회복지법제학회 8 (8): 125-152, 2017

      7 보건복지부, "커뮤니티 케어 추진단 보도자료"

      8 황미경, "커뮤니티 케어 도입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연계 방안" 173-195, 2018

      9 국토교통부, "커뮤니티 케어 도시재생 뉴딜사업" 국토교통부 2018

      10 보건복지부, "치매국가책임제 보도자료"

      11 황미경,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전달체계 연구- OECD 국가의 치매위기 대응 사례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57-70, 2018

      1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안)"

      13 김승권,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서비스 활성화 방안" 2006

      1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 추진방향"

      15 남찬섭, "지방자치와 복지국가 간의 관계와 복지분권에의 함의"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3-33, 2016

      16 이창길, "중앙부처의 수평적 정책네트워크 구조 분석: 협력과 경쟁 그리고 권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1-47, 2007

      17 서종균,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주거정책의 과제" 국토연구원 61 : 81-102, 2009

      18 통계청, "장례인구추계"

      19 유애정, "장기요양보험 통합재가급여 1차 시범사업 운영 및 평가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6

      20 김미숙, "일본의 케어매니지먼트 제도분석을 통한 한국 케어매니지먼트에의 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107-131, 2006

      21 황미경,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5) : 85-109, 2010

      22 김진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정립 방안 연구: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3 공선희, "영국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역사적 변천과 쟁점: 노인케어의 혼합경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5 (35): 79-98, 2015

      24 석재은, "영국의 지역사회보호와 사례관리를 통한 보건⋅복지서비스 통합" 2000

      25 전용호, "영국의 지역사회보호에서 케어매니지먼트의 발전 경험과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함의" 5-26, 2012

      26 오정수, "영국에서의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의 발전과 평가" 24 : 199-219, 1994

      27 김용득,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63-388, 2005

      28 김용득, "영국 커뮤니티케어와 서비스 공급주체 구성의 변화" 4 (4): 145-173, 2013

      29 김용득, "영국 사회복지서비스의 구조와 서비스 질 관리 체계" (125) : 76-91, 2007

      30 김은정, "사회적 돌봄체계 구축에서 공동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53-176, 2015

      31 장민선, "사회적 돌봄서비스 강화를 위한 법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7

      32 김영종,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2018

      33 김찬우, "미국 장기요양 제도의 변천과 케어 매니지먼트의 등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6) : 91-122, 2005

      34 김욱, "독일 수발보험개혁2008과 정책적 시사점" 한독사회과학회 20 (20): 87-110, 2010

      35 정순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전달체계의 평가 및 개선방안 :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6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체계 구축 방향" (2) : 1-27, 2009

      37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19-242, 2013

      38 강혜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지역보건⋅복지서비스의 변화 전망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9 선우덕, "노인돌봄(케어) 서비스의 제공주체 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40 석재은, "노인돌봄 공적재가서비스 이용에 따른 노인과 가족 간 관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학회 21 (21): 29-61, 2009

      41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민의 삶을 바꾸는 포용과 혁신의 사회정책, 문재인정부 ‘포용국가’ 비전과 전략"

      42 보건복지부, "국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 방안"

      4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44 황미경,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49-67, 2009

      45 이윤경, "고령화 대응 노인복지서비스 수요전망과 공급체계 개편" 보건사회연구원 2013

      46 김진수, "개호보험 등급자의 현황 분석을 위한 일본출장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47 Brian Munday, "Social care in Europe"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1996

      48 김찬우, "OECD 국가의 통합적 장기요양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65-103, 2006

      49 최은영, "OECD 국가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체계 비교와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0 Cress, Cathy, "Handbook of Geriatric Care Management" Jones & Bartlett Learning 2015

      51 Gilbert, 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Allyn & Bacon 2005

      52 Robin Means, "Community Care: Policy and Practice" Palgrave Macmillan 2007

      53 Welshman, John, "Community Care in Perspective, Care, Control And Citizenship" PALGRAVE MACMILLAN 2007

      54 Ovretveit, John, "Co-Ordinating Community Care, Multidisciplinary Teams and Care Management" McGraw-Hill 2007

      55 Baldwin, MARK, "Care Management and Community Care Social Work Discretion and the Construction of Policy" Routledge 2017

      56 장혜경, "2030년 가족미래 대응 소득보장정책, 자녀돌봄정책, 노인돌봄정책, 가족법 정비과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