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도시재생 과정 분석과 쟁점: 문화적 재생에 기반을 둔 융복합 콘텐츠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Issues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Focusing on Successful Cases of Convergence Content based on Cultural Re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1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개념을 기반으로 둔 문화예술 도시재생은 새로운 창조환경을 맞이하며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혁명으로 인해 문화예술 소비자들은 새로...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개념을 기반으로 둔 문화예술 도시재생은 새로운 창조환경을 맞이하며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혁명으로 인해 문화예술 소비자들은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고 있다. 이제 도시재생은 현대인들의 삶에 맞는 문화예술을 향유 할 새로운 메커니즘의 구축과 기술, 장르, 산업의 유형으로 융합된 융복합 콘텐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도시재생과 문화예술 간의 상관성을 찾고, 최근 현대인들이 도시에서 체험하고 있는 융복합 콘텐츠의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국내 도시재생을 위한 융복합 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프로그램과 같은 융복합 콘텐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산업, 기술, 문화예술의 장르가 함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 유관산업을 육성시켜 다양한 계층과 사회가 새로운 융복합 콘텐츠를 공유하고 향유할 수 있는 융복합 콘텐츠의 신시장이 형성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city and creative city, the regene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ities is changing to meet new creative environments.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smart revolution, consumers of...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city and creative city, the regene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ities is changing to meet new creative environments.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smart revolution, consumers of culture and arts want new content. Now it is time for urban regeneration to establish a new mechanism to enjoy culture and arts suitable for modern people's lives and to integrate convergence contents into types of technology, genre and industry. In respon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art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cities and creative cities, and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contents that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in cities recently, and to suggest ways to utilize convergence contents for urban regeneration in Korea. Through this stud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conten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programs, we hope that the genres of industry, technology, and culture and arts will create a new ecosystem together and foster related industries, creating a new market for convergence content where various classes and societies can share and enjoy new convergence cont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콘텐츠진흥원"

      2 원도연, "한국의 문화도시와 도시문화산업" 한국학술정보 2006

      3 라도삼, "특집: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문화도시: 문화도시의 요건과 의미, 필요조건" 대한지방행정공제회 41 (41): 2006

      4 이용관, "콘텐츠 산업의 융합 양상과 정책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5 "케이라이브"

      6 원도연, "창조도시의 발전과 도시문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2) : 9-32, 2011

      7 이희연, "창조도시: 개념과 전략" 국토연구원 2008

      8 문화체육관광부, "차세대융합콘텐츠 육성전략" 2008

      9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 해외 만화 페스티벌 동향, 2016 만화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10 한국콘텐츠진흥원, "융복합 콘텐츠 대두 배경과 진흥전략" 2016

      1 "한국콘텐츠진흥원"

      2 원도연, "한국의 문화도시와 도시문화산업" 한국학술정보 2006

      3 라도삼, "특집: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문화도시: 문화도시의 요건과 의미, 필요조건" 대한지방행정공제회 41 (41): 2006

      4 이용관, "콘텐츠 산업의 융합 양상과 정책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5 "케이라이브"

      6 원도연, "창조도시의 발전과 도시문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2) : 9-32, 2011

      7 이희연, "창조도시: 개념과 전략" 국토연구원 2008

      8 문화체육관광부, "차세대융합콘텐츠 육성전략" 2008

      9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 해외 만화 페스티벌 동향, 2016 만화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10 한국콘텐츠진흥원, "융복합 콘텐츠 대두 배경과 진흥전략" 2016

      11 이진희, "용어풀이" 국토연구원 2008

      12 조영권, "여수엑스포 중심거리, ‘디지털갤러리’" YTN

      13 이용숙, "싱가포르의 창조도시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공간환경학회 22 (22): 5-37, 2012

      14 "세종아트컬리지"

      15 김도년, "서울 상암 디지털 미디어시티(DMC)의 조성" 서울정책아카이브

      16 고성민, "산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한 도시개발사례 연구 - IT융합산업을 기반으로 한 도시개발의 공통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79-95, 2012

      17 도시재생사업단, "사전기획연구보고서" 도시재생사업단 2006

      18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산업 조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조세특례제한법 확대를 중심으로" 2016

      19 전영옥, "문화자원의 개발과 지역 활성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4

      20 박은실, "문화예술과 도시" 정한책방 2018

      21 설기환, "문화산업, 감성형 융합콘텐츠 시대로의 이행"

      22 서준교, "문화도시전략을 통한 도시재생의 순환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 Glasgow의 문화도시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3 (13): 197-221, 2006

      23 박선정, "문화도시, 그 풍경과 속살: 문화도시를 이끄는 창의적 문화공간" 심미안 2017

      24 이명규, "문화 정체성 확보를 위한 문화예술 창조도시 성남 만들기 기본계획 연구" 성남문화재단 2006

      25 박보경, "만화문화 공간 ‘재미랑’ㆍ만화 거리 ‘재미로’ 조성현황과 운영 활성화 방안"

      26 김동완,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013

      27 도시재생사업단, "도시재생 정책 방향" 도시재생사업단 2009

      28 이우종, "도시재생" 보성각 2016

      29 홍현철, "도시의 이해 - 도시지리학적 접근" 박영사 1998

      30 김동완, "규모의 지리 측면에서 바라본 창조적 계급과 도시창조성" 한국공간환경학회 (29) : 148-175, 2008

      31 "국토교통부"

      32 김영, "국내 도시재생의 배경과 동향, 도시재생의 이해" 보성각 2016

      33 "국가통계포털"

      34 권명관, "광명 경기문화창조 허브, 환경과 콘텐츠의 만남 ‘지구를 지키는 창업" 동아닷컴

      35 한송이,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교육법" 여성조선

      36 "경기문화창조 허브"

      37 권희주, "거리공연이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시 상당구 중앙동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7

      38 유동엽,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에 조치원 문화정원 선정" KBS

      39 유엔,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8 Revision"

      40 Evans, G, "The contribution of culture regeneration in the UK: a review of Evidence"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2004

      41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s 2002

      42 Evans, G, "The Contribution of Culture Regeneration in the UK: A Review of Evidence" DCMS 2005

      43 Rosenberg, N,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23 (23): 1963

      44 Peck. J, "Struggling with the creative class" 29 (29): 2005

      45 Vaughan, D. R, "Economic Policy for the Arts" AbtBooks 1980

      46 Markusen, A., "Defining the creative economy; Industry and occupational approaches" 22 (22): 2008

      47 양지훈, "4차 산업혁명 시대, 만화와 기술의 융합"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9

      48 문화체육관광부, "2018 콘텐츠 산업 통계조사 보고서" 2018

      49 김형수,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 모형-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77-19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