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혈청 중 FSH, LH, Estradiol-17β 및 Testosterone 농도에 미치는 품종과 계절의 영향 = Effects of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Serum FSH, LH, Estradiol-17β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s between Breeds and among Seasons in Bo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70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모돈의 정액성상,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그리고 혈청 중 FSH,LH,estradiol-17β 및 testosterone 농도에 미치는 품종과 계절의 영향을 조사하여 우수한 종모돈의 손발을 위한 기...

      본 연구는 종모돈의 정액성상,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그리고 혈청 중 FSH,LH,estradiol-17β 및 testosterone 농도에 미치는 품종과 계절의 영향을 조사하여 우수한 종모돈의 손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요크셔 종이 듀록종보다 봄,여름,가을,겨울에서 정액량이 많았으며,정액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 정액량은 듀록 및 요크셔종에서 봄철이 여름,가을 및 겨울철에 비하여 많았고,정자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서 각각 봄철에 생산한 정자가 여름,가을 및 겨울철에 생산한 정자보다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 및 정상첨체 비율이 높았다. 한편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세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은 모든 계절에서 요크셔종이 높게 냐타났으나,정상첨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FSH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에서 각각 계절 간애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LH와 estradiol-17β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과 듀록종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계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종모돈의 품종별,계절별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각각 봄철이 여름,가을 및 겨울철에 벼하여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FSH의 농도가 낮을수록 정액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을수록 동결-융해 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serum FSH, LH, estradiol-l7β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s between breeds and among seasons in boars. In all seasons, Yorkshire bo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serum FSH, LH, estradiol-l7β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s between breeds and among seasons in boars. In all seasons, Yorkshire boars produced higher semen volume compared with Duroc boars, whereas sperm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uroc and Yorkshire boars. Semen volume in spring was higher compared with summer, autumn and winter in both Duroc, and Yorkshire boars, but sperm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seasons. Sperm motility and normal acrosome rate of frozen-thawed sperm produced in spr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summer, autumn and winter in both Duroc and Yorkshire boars. Sperm motility of frozen-thawed sperm in Yorkshire boars was higher than that in Duroc boars regardless of seasons. However, normal acrosome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uroc and Yorkshire boars. Serum FSH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was lower than that in Duroc boars in all seaso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rum FSH concentration of Duroc and Yorkshire boars among seasons. Serum LH and estradiol-l7β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uroc and Yorlcshire boar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LH and estradiol-l7β concentrations of Duroc and Yorkshire boars among seasons.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was higher than that in Duroc boars in all seasons. In both breeds,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pring than in summer, autumn and winter. In conclusion, when serum FSH concentrations were low, semen volumes were high, and when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were high, sperm motility and normal acrosome rate of frozen-thawed sperm were hig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