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치어기 넙치 사료내 ${\beta}-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ietary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62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실시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3.2 g인 넙치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에 ${\beta}-1,3$ 글루칸을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 0.05% 및 0.1%를 각각 첨가하여 총 5개 실험구로 3반복배치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총 6주간의 성장 실험결과, 면역증강물질인 ${\beta}-1,3$ 글루칸의 첨가에 따르는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와 다른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증체율과 일간성장율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를 첨가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beta}-1,3$ 글루칸 0.05%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첨가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헤마토크리트치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beta}-1,3$ 글루칸을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청내 GOT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특이적 면역반응 결과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을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혈청의 lysozyme 활성 및 두신 phagocyte의 chemiluminescent(CL) 반응에서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보체대체활성의 경로에 있어서는 전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 실험 결과에서는 ${\beta}-1,3$ 글루칸을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ive experiment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iv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t 0, 0.01, 0.025, 0.05, 0.1 % (Control, $G_{0.01},\;G_{0.025},\;G_{0.05}\;and\;G_{0.1}$, respectively) of diet on a dry-matter basis.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and 16.7 kJ available energy $g^{-1}$. Fish averaging $3.2{\pm}0.1\;g\;(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15 fish. Weight gain (WG, %), specific growth rate (SGR, %), and feed efficiency (FE, %) of fish fed $G_{0.1}$ diet were fou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1},\;G_{0.025}\;and\;G_{0.05}$ die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sh fed control, $G_{0.01},\;G_{0.025}$. Chemiluminescent responses (CL) of fish fed $G_{0.1}$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Serum lysozyme activities of fish fed $G_{0.05}$ and $G_{0.1}$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25}$ and $G_{0.05}$ diets. Fish fed $G_{0.1}$ die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cumulative mortality than did fish fed control diet throughout the challenge t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ased on growth rate, feed efficiency, non-specific immunity and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infections the optimum dietary ${\beta}-1,3$ gulcan could be greater than 0.05% but less than 1.0%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ilvaceu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