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세종시 건설 계획에 관한 여론 변화 = A Changes of Opinion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Construction Plan Using Media Big Data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0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 the changes of opinion in terms of Sejong City construction using big data. The research data ar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argument of construction in Sejong City. The newspaper article data was reported by Hanky...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 the changes of opinion in terms of Sejong City construction using big data. The research data ar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argument of construction in Sejong City. The newspaper article data was reported by Hankyoreh, Dong-A Ilbo and Hankook Ilbo. The argu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was included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amendments of Sejong City.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python and gephi 0.9.2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he keywords of Hankyoreh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ent - consent - diss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of Sejong City. The Dong-A Ilbo showed positions of dissent - dissent - consent. In addition, the Hankook Ilbo was analyz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issent - consent - dissent tendency. Secondly,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The Hankyoreh showed positive - positive - negative tone. The characteristic of Dong-A Ilbo is that the focus has changed from negative to negative to positive. The Hankook Ilbo showed that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to negative. Finally, the resul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each opinion of media was showed a changes in issues according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servative, progressive and moderation. In detail, Hankyoreh focused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Dong-A Ilbo represented the opinion of the Conservative Party. The Hankook Ilbo was highlighting the issues confronting the conservative party and progressive party during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세종시 건설 계획과 관련된 한겨레와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언론사...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세종시 건설 계획과 관련된 한겨레와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언론사의 신문기사이다. 세종시 건설 계획은 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수정안 등 3개 시기로 구분되었다. 분석 방법은 파이썬과 Gephi 0.9.2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감성분석, 사회연결망분석이다.
      세종시 건설에 따라 각 신문사의 쟁점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한겨레의 키워드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따라 찬성-찬성-반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동아일보는 반대-반대-찬성의 입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일보는 반대-찬성-반대 경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감성분석 결과, 각 언론사는 논조의 특성이 변화되고 있었다. 한겨레는 긍정–긍정-부정 논조 특성을 보이고 있었고, 동아일보는 부정 – 부정 - 긍정으로 변화되었다. 한국일보는 부정-긍정-부정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사회연결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언론사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진보와 보수, 중도 등 정치적, 이념적 특성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한겨레는 지역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동아일보는 보수의 의견을 대변하고 있었다. 한국일보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여·야가 대립하는 이슈에 대해 부각 시키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asukawa, 3 : 427-434, 2003

      2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3 양명철, "한국미디어의 이주민보도 프레임 분석: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1-89, 2014

      4 유승현, "포털 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다음, 조선일보, 한겨레신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197-232, 2006

      5 감미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8 (18): 53-77, 2012

      6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7 박승민, "전국과 지방 TV 뉴스 간 갈등 이슈 보도 비교 :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프레임 분석"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8 김일환, "인문학을 위한 신문 빅 데이터와 텍스트 마이닝" 중앙어문학회 78 : 41-62, 2019

      9 김대욱,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2014년 자살보도 분석: 〈조선일보〉와〈한겨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178-208, 2016

      10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1 Nasukawa, 3 : 427-434, 2003

      2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3 양명철, "한국미디어의 이주민보도 프레임 분석: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1-89, 2014

      4 유승현, "포털 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다음, 조선일보, 한겨레신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197-232, 2006

      5 감미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8 (18): 53-77, 2012

      6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7 박승민, "전국과 지방 TV 뉴스 간 갈등 이슈 보도 비교 :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프레임 분석"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8 김일환, "인문학을 위한 신문 빅 데이터와 텍스트 마이닝" 중앙어문학회 78 : 41-62, 2019

      9 김대욱,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2014년 자살보도 분석: 〈조선일보〉와〈한겨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178-208, 2016

      10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11 송경화, "신문기사의 언어 사용 양상: 코퍼스언어학적 접근" 한국인지과학회 17 (17): 255-269, 2006

      12 이현숙, "세종시 뉴스 보도에 나타나는 프레임 분석: 중앙 언론과 지역 언론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6 (16): 229-264, 2013

      13 조용구, "세종시 건설의 찬반 쟁점과 특성 분석"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14 권오혁, "세종시 건설에 대한 검토와 대안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464-480, 2012

      15 유영돈,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한 전국 7개 일간지 보도 비교: 세종시 갈등 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285-316, 2015

      16 박한우,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731-744, 2009

      17 김춘식, "대안 없는 부정적 보도, 취재원은 수도권 편중 ‘행정수도 이전’ 보도" 8 : 78-81, 2004

      18 박승정, "국내 주요일간지의 대통령 이슈소유권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20 (20): 25-56, 2017

      19 이상호, "공간을 말하다" 북바이북 2020

      20 유영돈, "‘세종시 갈등’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7개 전국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59, 2015

      21 "www.donga.com"

      22 "www.bigkinds.or.kr"

      23 B. S. Brooks, "The art of editing" Allyn & Bacon 2001

      24 G. Salton, "Term-weighting approaches in automatic text retrieval" 24 (24): 513-523, 1988

      25 M. E. Newman, "Modular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103 (103): 8577-8582, 2006

      26 D. M. Blei,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3): 993-1022, 2003

      27 SCHÜTZE, Hinrich,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8 최진호,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6 (36): 173-22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