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치인 세종대왕의 수사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 : '세종실록'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378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2.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great king Seojong's rhetoric : Focu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characterisitcs element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11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춘식.
        참고문헌 : p. 112-117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와 키케로(Cicero)의 이론을 수사학의 기본 개념으로 정의하고 하트(Hart)의 수사학적(修辭學的) 역할비평이론과 베노이트(Benoit)의 이미지 회복 이론에 ...

      본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와 키케로(Cicero)의 이론을 수사학의 기본 개념으로 정의하고 하트(Hart)의 수사학적(修辭學的) 역할비평이론과 베노이트(Benoit)의 이미지 회복 이론에 나타난 이미지와 수사가 수사적 상황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 수사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로 비평될 수 있다는 전제를 반영하였다.
      수사는 설득의 도구로만 사용되지도 않으며 설득커뮤니케이션이 모두 정치활동과 관련되지는 않지만 정치활동에서 설득은 중요하고 설득의 좋은 도구가 수사이며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민주적 소통 안에서 수사와 이미지 관리의 중요성을 문헌연구를 통해서 밝혔다.
      성공한 정치인인 세종의 수사가 수사적 상황과 연계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태종섭정시기, 세종 자주통치시기, 세자강무대행시기와 같이 권력의 이동과 변화로, 또는 정치․경제․사회․문화영역에 따라 요구되는 지도자의 이미지로 제약되는 수사학적 상황을 전제하고 이에 따라 출현하는 역할관리를 분석하기 위해 수사에 나타난 이미지를 분석했다.
      세종 수사에 나타난 전반적인 주요 이미지는 성실함, 지도력, 합리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종섭정시기의 적은 양의 수사에 나타나는 많지 않은 이미지에서도 주요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이후에도 중요 이미지로 나타나지만 그 비중에서 변화를 보인다. 물론영역에 나타난 이미지도 시기의 영향을 받는 부분도 발견되었으며 영역별 특징에 따라 요구되는 지도자의 이미지가 수사학적 상황을 제약하며 역할관리와 이미지가 변화한다.
      시기와 영역에 따라 제약받는 수사학적 상황에서의 역할 관리를 조작이 아니라 관리의 개념으로 보는 것은 기존에 가지고 보여주었던 수사와 이미지에 상반하는 중심을 버린 파격적 변화가 아니라 가지고 있었던 것을 보여줌에 있어서의 조율이기 때문이다. 꾸준한 공론의 과정에서의 민주적 소통과 ‘백성을 위하는’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면서도 수사에 나타난 주요 이미지는 지도력, 성실함, 합리성으로 상황에 따라 그 비중을 조금씩 달리 하고 있음이다. 어느 날 갑자기 지도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신중한 수사를 통해서라도 꾸준한 지도력과 점차 증가하는 권위와 결단력, 이에 반대로 감소하는 성실함이 이를 대변한다. 성군의 비평은 관리된 이미지가 아닌 성공적인 업적들이 이뤄낸 것이며 업적들의 대부분은 공론의 과정에서 합의를 통해 결정된 것으로 세종 수사의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성군이 되기 위해서 세종이 수사학적 역할 관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를 잘 하기 위해서였으며 좋은 정치를 위한 합의와 합의를 위한 설득이, 설득을 위해 수사가 필요했으며 수사학적 역할관리의 행태로 분석된 것이 수사에 나타난 이미지이다.
      결론적으로 정치인은 상황, 역할 관리, 역할 비평의 순환을 잘 이해하고 관리해야 한다. 정치인에게는 또 시대와 상황에 부응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능동적 소통(疏通)의 자세’가 요구된다. 정치인은 수많은 공중이 원하는 것과 정치인이 공중(公衆)에게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상호 소통해 적절하게 적시에 조율할 줄 알아야 한다는 의미다.
      이것은 좋은 정치인이 되기 위해서라기보다 ‘선정(善政)’, 즉 정치를 잘 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정치인과 공중은 소통이란 구조적 틀을 통해 그런 상호의 이미지를 서로에게 보이도록 하고 상대를 이해시키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그 도구가 바로 수사이다. 단절된 소통, 소통에서 절충되지 않는 이미지는 갈등의 원인이 되며 다양한 이해관계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대사회에서 공공갈등으로 쉽게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가 시대에 부응하지 못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타격을 받은 앞선 사례를 반복하는 이유는 이런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위적 대통령의 친근한 이미지, 특권 엘리트 인사정책을 펴는 정치인의 친(親) 서민 정책은 비록 국민들이 선호하는 이미지로의 변화이긴 하지만 이전부터 관리되어온 수사의 이미지가 아니라 갑작스런 연출로 보였기 때문이다. 변화를 보여주는 노력의 수사라면 이제부터라도 같은 기조의 수사와 이미지가 꾸준히 국민과의 소통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조선 건국초기 나라의 기강을 세우기 위해서라도 절대적 왕권을 수립하고자 했던 태종의 의지가 반영된 국정지도체제에서 왕위에 오른 세종이 보여준 ‘의논’의 요구와 공론과정의 신중한 수사는 연구 분석 초기 연구자의 오해처럼 신하들에게도 결단력 없는 지도자의 이미지로 보여 질 수 있었다. 그러나 민주적 소통의 기조를 인내하며 신하는 물론 백성에게도 의견을 묻는 공론을 통해 갈등을 조율하고 합의를 이끌어 국정의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공론과정에서 지도자로서의 지도력에 대한 신뢰를 쌓으며 수사와 이미지도 변화하고 있었다. 이렇게 세종이 모범적으로 선보였던 것처럼, 아니 그 이상으로 수사적 상황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제약받는 수사학적 역할을 관리하는 지도자의 역량이 현대사회에서도 절실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2. 논문구성 7
      • 제2장 문헌연구 8
      • 제1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2. 논문구성 7
      • 제2장 문헌연구 8
      • 2.1. 설득으로서의 수사학 8
      • 2.1.1. 수사학의 정의 8
      • 2.1.2. 수사학의 특징 10
      • 2.2. 수사학 이론 15
      • 2.2.1.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이론 15
      • 2.2.2. 키케로(Cicereo)의 이론 16
      • 2.2.3. 한국의 수사학 이론 17
      • 2.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의 수사학 19
      • 2.3.1.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의 수사학의 중요성 19
      • 2.3.2. 대통령의 수사학 24
      • 2.3.3. 이미지 29
      • 2.3.3.1. 이미지 관리 29
      • 2.3.3.2. 하트(Hart)의 수사학적 역할비평 33
      • 2.3.3.3. 베노이트(Benoit)의 이미지 회복 34
      • 2.4. 정치인 세종의 수사 38
      • 2.4.1 여진정벌 사례연구 38
      • 2.4.2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 40
      • 2.4.3 인사정책 43
      •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5
      • 3.1. 연구문제 45
      • 3.2. 연구방법 46
      • 제4장 분석결과 52
      • 4.1. 세종의 이미지 52
      • 4.2. 시기별 이미지 55
      • 4.3. 영역별 이미지 64
      • 제5장 결론 97
      • 5.1. 연구요약 97
      • 5.2 연구한계 및 제언 110
      • 참고문헌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