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5-6세기 백제 지배세력의 연구_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590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의 개로왕이 추진했던 왕족 중심의 강력한 왕권 강화책은 일부 지배세력의 이탈을 가져오고, 북위에 대한 적극적인 외교는 고구려 장수왕의 침략을 초래하였다. 그 결과 백제는 개로왕 ...

      백제의 개로왕이 추진했던 왕족 중심의 강력한 왕권 강화책은 일부 지배세력의 이탈을 가져오고, 북위에 대한 적극적인 외교는 고구려 장수왕의 침략을 초래하였다. 그 결과 백제는 개로왕 21년(475)에 漢城이 함락되어 차령산맥 이남의 熊津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이 熊津으로의 천도는 백제 스스로의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외부의 강요에 의해 추진되었으므로 왕권의 위상 약화와 더불어 중앙 정치세력의 재편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그리고 천도 초기의 중앙 정치세력의 재편 과정에서 혼란은 어쩔 수 없는 것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는 웅진 초기에는 그 기반이 다소 약화되었다고는 하나 본래 漢城에 근거지를 가지고 있었던 解氏, 眞氏, 木氏 등이 지배세력을 형성하고 권력을 독점하고자 서로 치열한 대립을 거듭하였거니와 왕권조차도 이들의 정치운영 방향에 따라 좌우됨으로써 정치·사회적 혼란이 계속되었고,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 왕권을 재확립하기 위해 백제 왕실에서는 泗沘 지방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沙氏, 湯井城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燕氏, 熊津 지방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苩氏 등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토착적 기반을 가지고 있던 유력 세력들의 동태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이해왔던 것이다. 특히 오랫동안 倭國에서의 체류로 본국에서의 정치적 기반이 미약하였던 東城王으로서는 자기 세력기반의 강화를 위해 금강 유역권 유력세력들의 존재는 보다 주목의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東城王은 자신의 기반구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인재를 중앙정계에 등용하여 남천 귀족 중심의 정국운영을 견제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고, 또한 금강유역의 지방세력 역시 수도가 웅진으로 내려왔으므로, 일개 지방세력으로 머물기보다는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현실적 욕구가 팽배하여, 결국 동성왕대 신흥세력의 대두는 왕권의 안정이라는 측면과 지방세력의 정치참여라는 현실적 욕구가 서로 부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이해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주된 연구경향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준비 없는 천도였고, 백제 왕실이 새로운 세력을 필요로 하여, 예기치 못한 지방세력이 왕과 연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과연 지방세력이 그렇게 갑작스럽게 정권의 전면에 나서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었을까? 즉 왕권과 연결을 가지고 있지 않던 세력들이 정치적 중심지가 옮겨져 온다고 해서 갑자기 부상한다는 것은 쉽게 납득키 어렵다. 어떠한 형태로든지 이전에 왕권과 연결을 가지고 있다가 정치상황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렇다면 기존에 웅진시대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성씨들, 즉 沙氏·燕氏·苩氏·國氏 등이 과연 신진 지방정치세력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라 하겠다. 또한 이들 정치세력들의 실체에 대한 올바른 규명은 백제 사비시대에 최종 정리되는 대성팔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ugh Baekje transferred unpreparedly its captial to Ueong-Chin of Baek-Che and the loyal family of Baek-Che related local powers unexpectedly in order to accept their new powers, how the local powers acquired the strong power abruptly from the rein ...

      Though Baekje transferred unpreparedly its captial to Ueong-Chin of Baek-Che and the loyal family of Baek-Che related local powers unexpectedly in order to accept their new powers, how the local powers acquired the strong power abruptly from the rein of government of Baekje?
      The King of Dongseong ascend the throne of Baekje paved the way of new development and save the political unrest situation being brought by The Kings of Munchu and Samkeung.
      Baekje in which the political situation is stabled by ascending the throne of Dongseong, extended its power to southern province in order to heighten its power caused by loss of the area around Han river which is important advanced base to be provided with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Baekje, furthermore, began to hold Kaya in check which is intended to escape its influence after Baekje transferring its capital to Ungchin.
      The upper change of foreign situations had a chance to the king of Dongseong to assume the reins of the government.
      Especially, The local powers from Kaya reinforced and assumed their helm to the government of Baekje.
      But they who related already to the loyal families, regained their power according to political and power situation's change after transferring its capital to Ungchin.
      As the area of Kaya became important base after transferring Baeke's capital to Ungchin, The power who could made an influence of the area was appointed with higher position.
      The King of Dongseong completed to set up the classs of power and use the system of Hwangho, develop bureaucratized system through specializing the function of Jwapyung system.
      The era of the King of Murjung drived forward continuously to specialize the function of Chwaphjung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문제 제기 Ⅱ.웅진 천도와 정치적 혼란 Ⅲ.동성왕ㆍ무령왕대 가야 관련 세력의 대두 1.남방영역의 확대 2.가야 관련 세력의 대두 Ⅳ.동성왕ㆍ무령왕대 지배세력의 ...

      Ⅰ.문제 제기
      Ⅱ.웅진 천도와 정치적 혼란
      Ⅲ.동성왕ㆍ무령왕대 가야 관련 세력의 대두
      1.남방영역의 확대
      2.가야 관련 세력의 대두
      Ⅳ.동성왕ㆍ무령왕대 지배세력의 재편성
      1.왕후제의 변화
      2.좌평제의 변화
      Ⅴ.맺음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