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긴급재난 대피시간에 대한 도시확산 현상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국 텍사스 해변 지역사례 연구 = Evaluating the Effects of Sprawl on Evacuation Time: An Exploratory Analysis from Texas Coastal Coun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20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분별한 도시개발의 확산현상과 자연 재난 시 차량의 대피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자연재난 학자들이 주장한 도시확산으로 인한 긴급대...

      본 연구의 목적은 무분별한 도시개발의 확산현상과 자연 재난 시 차량의 대피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자연재난 학자들이 주장한 도시확산으로 인한 긴급대피시간의 지연에 대해 본 논문은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시확산 측정의 두 가지 상반되는 개념들을 이용하여 무변별한 도시확산이 긴급대피 시간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지역으로는 허리케인으로 인하여 거의 매년 긴급대피를 경험하고 있는 미국 텍사스 해안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삼았다. 또한 두 가지 다른 도시확산 지수들 (도시인구밀도와 접근성)과 긴급대피시간(ETSs)과의 부분 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도시 인구 밀도를 이용한 개념보다 접근성 개념을 통한 도시확산 측정이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미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일 교통량을 이용한 접근성의 지수가 긴급대피시간과 강력한 관계를 가진다는 점이다. 이는 무분별한 도시확산으로 인한 교통시간의 지체가 재난 시 사람들의 대피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론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 가능한 토지이용 패턴이 긴급대피시간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a hypothesis that sprawl increases congestion, and so the estimated evacuation time become longer. For this, sprawl was thought to be poor accessibility so that vehicle miles of travel become longer. This r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a hypothesis that sprawl increases congestion, and so the estimated evacuation time become longer. For this, sprawl was thought to be poor accessibility so that vehicle miles of travel become long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daily vehicle miles per lane mile that are thought to be an accessibility index had a stro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estimated evacuation time, while urban population density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evacuation tim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we should consider sustainable land use patterns that decrease traffic demand by providing good accessi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ole,David C, "Urban sprawl: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Greenwood Press 2005

      2 Rodrigue, Jean-Paul, "Transportation and Urban Form"

      3 Beatley, Timothy, "The ecology of place: planning for environment, economy, and community" Island Press 1997

      4 Burchell, Robert W., "The csts of srawl-rvisite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1998

      5 Metropolitan Transit Authority of Harris County, "Texas Public Policy Foundation"

      6 Urbanik, Thomas, "Texas Hurricane Evacuation Study" The Texas Coastal and Marine Council, College Station 1978

      7 World Bank, "Sustainable Development Reference Guid"

      8 Gordon, Peter, "Sprawl: You love it, But dare not speak its name. Democracy In America, CNN Special, Atlanta"

      9 Sinuany-Stern, Z., "Simulating the evacuation of a small city: the effects of traffic factors" 27 : 97-108, 1993

      10 Southworth, F., "Network evacuation modeling for flooding as a result of dam failure" 19 : 1543-1558, 1987

      1 Sole,David C, "Urban sprawl: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Greenwood Press 2005

      2 Rodrigue, Jean-Paul, "Transportation and Urban Form"

      3 Beatley, Timothy, "The ecology of place: planning for environment, economy, and community" Island Press 1997

      4 Burchell, Robert W., "The csts of srawl-rvisite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1998

      5 Metropolitan Transit Authority of Harris County, "Texas Public Policy Foundation"

      6 Urbanik, Thomas, "Texas Hurricane Evacuation Study" The Texas Coastal and Marine Council, College Station 1978

      7 World Bank, "Sustainable Development Reference Guid"

      8 Gordon, Peter, "Sprawl: You love it, But dare not speak its name. Democracy In America, CNN Special, Atlanta"

      9 Sinuany-Stern, Z., "Simulating the evacuation of a small city: the effects of traffic factors" 27 : 97-108, 1993

      10 Southworth, F., "Network evacuation modeling for flooding as a result of dam failure" 19 : 1543-1558, 1987

      11 Godschalk, D., "Natura hazard mitigation: recasting disaster policy and planning" Island Press 1999

      12 Cova, T.J., "Modeling community evacuation vulnerability using GIS" 11 (11): 763-784, 1997

      13 Ewing, Reid, "Is los angeles-style sprawl desirable" 63 (63): 107-122, 1997

      14 Oregon’s Department of Land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dicators of urban sprawl"

      15 Hazard Reduction, "Hurricane contingency planning guide. The Division of Emergency Management, Texas, Department of Public Safety, Austin, Texas"

      16 Urbanik, Thomas, "Evacuation time estimates for nuclear power plants" 75 : 165-180, 2000

      17 Urbanik,Thomas, "Evacuation Time Estimate for nuclear power plants"

      18 Ewing,Reid, "Characteristics, causes, and effects of sprawl: A literature review" 21 (21): 1-15, 1994

      19 Gordon, Peter, "Are compact cities a desirable planning goal" 63 (63): 95-106, 1997

      20 Crawford, J. H, "A brief history on urban for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