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순사건의 제도적 청산과 진실규명의 실효 = Institutional Settlement and Efficiency of Truth Verification on Yeosu-Suncheon Inci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순사건은 정부가 수립되고 처음으로 발생했던 대규모 유혈사건이었다. 여순사건에 대한 공식적 평가와 사회적 기억은 오랫동안 부정적이었다.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여순사건을 비롯하...

      여순사건은 정부가 수립되고 처음으로 발생했던 대규모 유혈사건이었다. 여순사건에 대한 공식적 평가와 사회적 기억은 오랫동안 부정적이었다.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여순사건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분출되었던 과거사들이 연대하여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하면서 제도적 청산의 기반이 형성되었다. 이 글은 여순사건 관련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청산 과정을 성찰하고, 진실규명의 실효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은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이 보다 효과를 거두기 위해 고려할 지점들과 이에 요구되는 자원들의 효율적 사용을 재고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에서 진실규명은 가장 기본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그 결과는 보고서로 발표되었다. 여순사건은 지역과 사건 등에 따라 수십 개의 보고서들로 진실규명이 되었으나, 단일 보고서는 생산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여순사건의 종합적 성격과 지역 및 개별 사건들의 관계성 등이 충실하게 규명될 수 없었다. 시민사회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결과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이는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에서 국가 기구와 시민사회의 인식 차이와 관계 정립의 중요성, 진실규명의 성과를 확산 및 증폭할 기반 구축의 필요성, 시민사회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제도적 청산의 의미 등이 숙고되어야 실효를 거둘 것임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su-Suncheon incident was the large-scale bloodshed that occurr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Formal assessment and social memory on Yeosu- Suncheon incident was negative for a long time. By the mid-2000s, the basis...

      Yeosu-Suncheon incident was the large-scale bloodshed that occurr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Formal assessment and social memory on Yeosu- Suncheon incident was negative for a long time. By the mid-2000s, the basis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as formed since mobilizing truth-finding movement of various past history including Yeosu-Suncheon inciden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ruth verification, and to reflect o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settlement through the Yeosu-Suncheon incident repor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heck considerations in order to be effective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and the meanings to use resources that are required for more efficienc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Truth verification is the most basic point in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the results should have been published in the form of a report generally. Dozens of reports on Yeosu-Suncheon incident had produced based on areas and events but there is not unified report. So, the comprehensive nature and relationship of area and the individual case can not be faithfully identified. Civil society reacted negatively to these insufficient results. In this study, more efficient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is based 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importance of recognition differences with national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importance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need to build up to spread outcome of truth verification, the meaning of settlement that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civil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해외 진실화해위원회 보고서자료집 Ⅰ, Ⅱ" 2008

      2 홍순권,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방향과 원칙"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살규명 범국민위원회 2006

      3 김동춘,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 조사 성과와 과제" 민족문제연구소·포럼 진실과 정의 (창간) : 2011

      4 김상숙, "한국전쟁 전 대구경북지역의 민간인학살사건의 실태와 특징 - 제4대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기록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02 : 87-122, 2011

      5 김상숙,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본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131-159, 2012

      6 김태우, "진실화해위원회의 미군 사건 조사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 : 2011

      7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 Ⅲ" 2010

      8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 Ⅰ" 2010

      9 김정우, "진실화해위엔 진실도 없고 화해도 없었다" 2010

      10 정근식, "진실규명과 화해, 어디까지 왔는가?" 67 : 2010

      1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해외 진실화해위원회 보고서자료집 Ⅰ, Ⅱ" 2008

      2 홍순권,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방향과 원칙"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살규명 범국민위원회 2006

      3 김동춘,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 조사 성과와 과제" 민족문제연구소·포럼 진실과 정의 (창간) : 2011

      4 김상숙, "한국전쟁 전 대구경북지역의 민간인학살사건의 실태와 특징 - 제4대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기록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02 : 87-122, 2011

      5 김상숙,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본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131-159, 2012

      6 김태우, "진실화해위원회의 미군 사건 조사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 : 2011

      7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 Ⅲ" 2010

      8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 Ⅰ" 2010

      9 김정우, "진실화해위엔 진실도 없고 화해도 없었다" 2010

      10 정근식, "진실규명과 화해, 어디까지 왔는가?" 67 : 2010

      11 김동춘, "지연된 진실규명, 더욱 지연된 후속작업: 진실화해위원회 활동의 완수를 위한 과제들" 역사문제연구소 (100) : 200-221, 2012

      12 "조선일보"

      13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2003

      14 "전남일보"

      15 홍영기 책임편집, "여순사건자료집 Ⅰ" 선인 2001

      16 김득중, "여순사건의 진실규명과 평가"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2008

      17 허상수, "여순사건 진실규명 보고서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한국학술정보 2 : 2012

      18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순사건 자료집 2" 1999

      19 이선아, "여순사건 이후 빨치산 활동과 그 영향 : 한국전쟁 이전을 중심으로" 20 : 2011

      20 정지환, "여순사건 왜곡보도의 과거와 현재" 2001

      2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순사건 실태조사보고서 3" 2000

      22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순사건 실태조사보고서 1" 1998

      23 여순사건조사위원회, "여순사건 순천지역 피해실태 조사보고서" 여순사건 화해와 평화를 위한 순천시민연대 2006

      24 정낙원, "여수향토사" 여수문화원 1962

      25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여수지역 여순사건,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10

      26 여수문화원, "여수문화 : 14연대 반란 50년 결산집 12" 1997

      27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순천지역 여순사건, 2008년하반기 조사보고서" 2009

      28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보성·고흥지역 여순사건, 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10

      29 정근식, "민간인학살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활동의 현황과 과제" (창간) : 2007

      30 "동아일보"

      3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다시 쓰는 여순사건보고서" 한국학술정보 2012

      32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국민보도연맹 사건 진실규명결정서"

      33 헤이너, "국가폭력과 세계의 진실위원회" 역사비평사 2008

      34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구례지역 여순사건, 2008년상반기 조사보고서" 2008

      35 "광주일보"

      36 안병욱, "과거청산과 진실규명" 2006

      37 한성훈,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실현―진실화해위원회 활동과 권고사항의 이행기 정의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93) : 116-141, 2010

      38 장원석, "과거사 청산의 비교정치학" 온누리 2007

      39 이춘열, "고양 금정굴 사건 : 미완으로 끝난 무리한 조각 맞추기"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살규명 범국민위원회 2007

      40 "경향신문"

      41 阿部利洋, "眞實委員會という選擇" 岩波書店 2008

      42 전갑생, "1960년대 국회 ‘양민학살사건조사특별위원회’ 자료 : 경남을 중심으로" (창간) : 2007

      43 이강수, "1960년 ‘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조사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169-200, 2008

      44 노영기, "1945-50년 한국군의 형성과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45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