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50/60년대 ‘근대화’와 다산 호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1950/60년대 및 그 이후 남 ? 북한에서 각각 출현했던 ‘두 개의 다산 호출’의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특히 당시 ‘실학 담론의 지형’과 ‘다산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하...

      본고에서는 1950/60년대 및 그 이후 남 ? 북한에서 각각 출현했던 ‘두 개의 다산 호출’의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특히 당시 ‘실학 담론의 지형’과 ‘다산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다산 호출’은 당시의 분단상황 하에서 남 ? 북한이 각자 지향했던바 ‘두 개의 근대화 기획’, 즉 ‘자본주의적 근대화 기획’과 ‘사회주의적 근대화 기획’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조응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다산 호출’은 해방 이후, 보다 소급해서는 1930년대의 ‘조선학 운동’ 이래 조선후기 사회변동 및 사상사 연구에 있어 실로 중요하고도 다대한 성과로 구체화되었다. 그럼에도 동시에 남 ? 북한의 ‘다산 호출’은 공히 각 체제에 봉사하는 ‘관학적 성격’을 다분히 내포하는 가운데, 일련의 문제점 또한 공통적으로 노정하였던바, 즉 ① ‘서구 중심주의’, ② 실학에 대한 ‘본질론’의 관점이 가진 약점, ③ 실학의 구성적 타자로서 조선주자학을 지목하는 인식틀이 내포한 난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끝으로 이를 토대로 ‘21세기의 다산 호출’, 즉 차후의 다산학 및 나아가 실학연구의 발전과 심화를 위해 요청되는 과제를 연구방법론의 측면에 유의하면서 몇 가지 단상을 제기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roughly survey the past trends of Practical learning(實學) studies and Tasan(茶山) studies achieved in the 1950"s and the 1960"s of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he features of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

      In this paper, I roughly survey the past trends of Practical learning(實學) studies and Tasan(茶山) studies achieved in the 1950"s and the 1960"s of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he features of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丁若鏞)" developed i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respectively.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developed in south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may be laid down as a general rule that they were really academic reflections and a sort of justification instrument of "the then two different modernization projects", i.e., the "capitalistic moder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and the "socialist modernization project" of North Korea. ②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had produced a great quantity of and very important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ocial conditions and changes and the world of thought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consequently. ③ Nevertheless,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involved some common theoretical deformities, that is, the shadow of Eurocentrism, the weaknesses of "a essence-centered viewpoint" of Practical learning, and some logical difficulties implied in the standpoint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recognized that as an unpractical learning and so for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1950/60년대의 시대상황 : 분단과 ‘두 개의 다산 호출’
      • 3. 1950/60년대 ‘실학’ 담론의 지형: ‘다산 호출’의 양상Ⅰ
      • 4. 1950/60년대 ‘다산’ 연구의 주요동향 : ‘다산 호출’의 양상 Ⅱ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1950/60년대의 시대상황 : 분단과 ‘두 개의 다산 호출’
      • 3. 1950/60년대 ‘실학’ 담론의 지형: ‘다산 호출’의 양상Ⅰ
      • 4. 1950/60년대 ‘다산’ 연구의 주요동향 : ‘다산 호출’의 양상 Ⅱ
      • 5. 맺음말 : 21세기 ‘다산 호출’의 방법론에 관한 일 단상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