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부애착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arital Attachment: Focu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88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부부애착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부부애착 관련 연구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2년...

      본 연구는 국내 부부애착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부부애착 관련 연구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2년까지 KCI에 등재된 국내학술지 논문 35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방법, 애착 측정 도구, 변인들과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로는 연구들이 전반적으로 꾸준히 이루어 지다가 2016년 이후는 매년 1편 이상의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 · 질적연구 1편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가 모두 양적연구였으며, 양적연구들의 주제는 변인 간 관계연구가 97.1%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애착 측정 도구는 친밀관계경험척도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가 13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친밀관계경험척도 수정판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이 8편으로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애착과 변인들과의 연구에서 애착과 관계요인에서 부부만족도가 22편, 부부 친밀감 5편, 애착과 행동적 요인에서 부부 의사소통 패턴 5편, 부부 갈등대처 전략 4편, 애착과 정서적 요인에서 우울이 4편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애착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is lacking in current marital attachment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marital attachment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is lacking in current marital attachment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marital attachment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35 publications published in KCI and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2022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attachment measurement tool, and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overall by year of publication, but since 2016, more than one study has been published yearly. Second,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except for on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and the subject of quantitative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97.1%). Third, as an attachment measurement tool,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 was the most used, with 13, followed by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 with 8. Finally, in the study of attachment and variables, 22 marital satisfaction and 5 marital intimacy was found in attachment and relationship factors. 5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4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was found in attachment and behavioral factors. 4 depression was found in attachment and emotional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for marital attachment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