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전위예술 연극과 시각예술의 소통 = A Study of Communication between Avant-garde Dramas and Visual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4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자시대에서 영상시대로 옮아오면서 연극에서 더 많은 무대장치와 영상매체의 사용은 연극창작과 연출형태를 크게 변화시켰다. 전위예술의연극창작과 연출형태에도 많은 변화가 보인다. ...

      문자시대에서 영상시대로 옮아오면서 연극에서 더 많은 무대장치와 영상매체의 사용은 연극창작과 연출형태를 크게 변화시켰다. 전위예술의연극창작과 연출형태에도 많은 변화가 보인다. 그 변화는 전통적인 연극연출형태에서 벗어나려는 새로운 시도이며 기존 연극에 새로운 시각예술을 불어 넣는 것이기도 하다. 그것은 전통 연극의 제한된 시간성과 공간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전위예술가들은 연극 창작에 적극적으로 무대장치와 영상이미지를 사용하였다. 표면적으로 연극은 연기자와무대로 구성되지만 무대장치와 영상이미지의 사용에 의해 기존 평면적인연극과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예술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전통 연극에서 보여주는 공간성과 시간성의 한계를 뛰어 넘어 더욱 자유로운 연극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오네스코의 작품 속 소품의 사용과 르파주의작품 속 모션 캡처 같은 컴퓨터 영상매체의 사용이 좋은 예가 된다. 이것은 배우의 심리상태와 연기의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혹은 관객들의 시선을 무대장치와 영상이미지로 한정시켜 연극의 특성인 현장성을 약화시키는 단점도 갖고 있었다. 반대로 그것은 기존 연극의 제한된 공간성과시간성을 확장시키는 장점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무대장치와 영상매체를 이용한 연극이 전 세계 도처에서 공연되게 되었다. 연극은 상연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전위예술 연극에서 무대장치와 영상매체의 사용이 현대 연극의 발전을 이끌어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위예술 연극은 새로운 시각예술과의 소통을 보여주고 미래 연극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도입은연극 연출의 미학적 형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hange of mode in avant-garde art that was popular in Europ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at first referred to as a performing and visual art belonging to Dada and surrealism. Combination of language and...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hange of mode in avant-garde art that was popular in Europ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at first referred to as a performing and visual art belonging to Dada and surrealism. Combination of language and images that form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 shows the communication and the similarity of the art genres appearing in the avant-garde ar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arly 20th century European avant-garde art in surrealist theater and visual art as a basic project to pave the way for a new style of art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This study delved into how the avant-garde art exceeded the limit of the “rule of three unities” in traditional theater and aimed to develop the concept of the space of theater. This extension of the play sector broke down the physical limitation of the actual space of stage. Furthermore, it attempted to freely express the complex emotions and thoughts beyond the limit of time constraints. In particular, Freud`s new theory that the unconscious dominates the conscious exerted a great impact on the culture and art of the West. Picasso and Cubism showed an evident tendency to pursue the style of other surrealists in terms of what they visualize the invisible, which were committed to visualizing the unconscious. Then Ionesco`s Theater of the Absurd visualized what is invisible, such as spatialization, emotions, thoughts, and memories of dreams; languages were projected onto the stage. And Robert Lepage presented an image theater that achieved the expansion of a theater stage through the images. Beyond the traditional theatrical elements that form dialogues, monologues and narrations based on the time of stage, there emerged a new theater visualizing the inner feelings and imagination and forming a physical theater stage. And the uses of staging and visual media were intended to expand the limited stage space further through the ultimate stage of visualization for the aud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마리-안 샤르보니에, "현대연극미학" 동문선, 2001

      2 김기일, "현대 공연 예술의 새로운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 (52) : 27 ~ 46, 2013

      3 이선화,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들 Victimes du devoir』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들" 프랑스문화예술연구 31 : 203 ~ 233, 2010

      4 양영식, "이오네스코에 있어서 생의 연극적 공간화와 공의 무대화" 성균관대학교, 1991

      5 마리-크로드 위베르, "이오네스코 연극미학" 동문선, 1993

      6 김찬자, "이오네스코"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7 박형섭, "외젠 이오네스코 극공간의 상징성" 프랑스 문화 연구 (25) : 251 ~ 278, 2012

      8 김기일, "연극과 이미지의 소통" 영상문화 (17) : 93 ~ 118, 2011

      9 한규용, "연극과 공연 공간" 공연과 이론 2, 2000

      10 유광주, "시간·공간·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본 이오네스코의 연극세계"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3 : 251 ~ 282, 2008

      1 마리-안 샤르보니에, "현대연극미학" 동문선, 2001

      2 김기일, "현대 공연 예술의 새로운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 (52) : 27 ~ 46, 2013

      3 이선화,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들 Victimes du devoir』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들" 프랑스문화예술연구 31 : 203 ~ 233, 2010

      4 양영식, "이오네스코에 있어서 생의 연극적 공간화와 공의 무대화" 성균관대학교, 1991

      5 마리-크로드 위베르, "이오네스코 연극미학" 동문선, 1993

      6 김찬자, "이오네스코"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7 박형섭, "외젠 이오네스코 극공간의 상징성" 프랑스 문화 연구 (25) : 251 ~ 278, 2012

      8 김기일, "연극과 이미지의 소통" 영상문화 (17) : 93 ~ 118, 2011

      9 한규용, "연극과 공연 공간" 공연과 이론 2, 2000

      10 유광주, "시간·공간·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본 이오네스코의 연극세계"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3 : 251 ~ 282, 2008

      11 김상태, "문학의 시각화 경향과 영상매체" 프랑스문화예술연구 1, 1999

      12 "라인의 황금(Das Rheingold)"

      13 김상태, "공연예술과 영상매체" 프랑스문화예술연구 3, 2000

      14 Deleuze Gilles, l’image-mouvement, "l’image-mouvement" Minuit collection Critique, 1983

      15 Roubine Jean-Jacques, "Théâtre et mise en scène 1880-1980" P.U.F Collection Littératures modernes, 1980

      16 Jacquart Emmanuel, "Théâtre et création" Honoré Champion, 1994

      17 Ionesco, (Eugène), "Théâtre complet" pléiade, 1991

      18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9

      19 Ionesco, (Eugène), "Notes et contre-notes" Gallimard, Coll, 1966

      20 Michel Bernard, "L’expression du corps" Chiron, 1976

      21 Picon-Vallin Béatrice, "Les écrans sur la scène, L’age d’homme, Collection Théâtre XXe siècles. Quilliot Roland" Philosophie de l’art, Ellipses, 1998

      22 Hubert Marie-Claude, "Les grandes théories du théâtre" Armand Collin, 1998

      23 Béatrice Picon-Vallin, "Les Ecrans sur la scène" L’Age d’homme, 1998

      24 Verdeil Jean, "Le travail du metteur en scène" Aléas, 1995

      25 Mignon Paul-Louis, "Le Théâtre au XXe siècles" Gallimard, 1986

      26 Hubert Marie-Claude, "Le Théâtre" Armand Collin, 1998

      27 Stanislavski, "La formation de l’acteur" Payot, 1998

      28 Hamon-Siréjols, "Gerstenkorn, Gardies, Cinéma et Théâtralité, Aléas" Cahiers du Gritec, 1994

      29 김종원, "Eugene Ionesco의 演劇에 나타난 自我의 追求와 그의 演出" 성균관대학교, 1993

      30 Febure Michèle, "Danse contemporaine et théâtralité" Collection Art Nomad, 1995

      31 Boileau, l’Art poétique, "Chant III, Vers 45∼46, Chateau Dominique⋅Darras Bernard, Arts et Multimédia" Publications de la Sorbonne : ~, 1999

      32 Doumoulié Camille, "Antonin Artaud" Collection les contemporains,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