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Valid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Riggs and Enochs(1990)’s teacher efficiency measures to determine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is to enab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newer, m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Riggs and Enochs(1990)’s teacher efficiency measures to determine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is to enab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newer, more reasonable scales.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tools of Riggs and Enochs(1990), which are mainly used in Korea as a gauge of the teacher's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sake of feasibil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28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heck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preliminary examin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69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for check the validity verification.
      The AMOS 18.0 was used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ter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reliability of each sub-component of the inspection was relatively favorable over .60 or higher. It was measured that at good levels with goodness of fit index RMSEA (.047), CFI (.927), TLI (.883)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er efficacy measur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amined in this study is that in terms of demonstra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tool that can measure teacher efficacy ques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 It has a mea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와 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타당화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와 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타당화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를 위해 국내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척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와 의 도구를 근거로 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였다 예비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예비유아교사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수전략효능감 수업능력효능감 자신감의 요인 문항이 추출되었다예비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후 검사의 하위요인별 신뢰도가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고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지수 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의 검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에게 적합한 교사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은, "학업성공과 실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과적 귀인과 교육신념, 교사효능감, 수업기술 간의 관련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01-115, 2015

      2 곽세영, "초등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761-781, 2014

      3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임경심,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조부경,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양서원 2001

      6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7 박희숙,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 환경교육 인식, 환경친화적 태도에 따른 환경 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68, 2008

      8 김선영,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31 (31): 91-110, 2010

      9 이현경,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19-135, 2009

      10 이태영,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교수신념, 교사효능감, 자아상태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99-117, 2013

      1 이재은, "학업성공과 실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과적 귀인과 교육신념, 교사효능감, 수업기술 간의 관련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01-115, 2015

      2 곽세영, "초등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761-781, 2014

      3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임경심,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조부경,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양서원 2001

      6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7 박희숙,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 환경교육 인식, 환경친화적 태도에 따른 환경 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68, 2008

      8 김선영,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31 (31): 91-110, 2010

      9 이현경,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19-135, 2009

      10 이태영,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교수신념, 교사효능감, 자아상태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99-117, 2013

      11 심현애, "예비유아교사의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19 (19): 227-251, 2013

      12 홍계옥, "예비유아교사의 의사결정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14 : 5-17, 2011

      13 이진화,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65-83, 2013

      14 홍은주,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및 모의수업 경험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23-40, 2012

      15 박희영, "예비유아교사의 교집 적성 및 교직 선택 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2014

      16 홍애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독립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359-376, 2017

      17 홍애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11-327, 2015

      18 박보라, "예비유아교사와 초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교사효능감에 관한 비교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9 이태영, "예비 유아교사의 실습 경험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87-403, 2014

      20 이경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에 기초한 현장연계 팀 학습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71-92, 2012

      21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04

      22 김혜자,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권순구, "국내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교사 효능감 척도에 대한 고찰 및 제언" 교육문제연구소 28 (28): 77-107, 2015

      24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5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 0" 법문사 2008

      26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27 전경화,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95-329, 2006

      28 박관성,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9 김미진,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0 김아영,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7-58, 2004

      31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32 황병숙,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이현정, "교사 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4 김혜원, "교류이론에 기초한 유아문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문학에 대한 변화 탐색: 인식, 태도, 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89-113, 2017

      35 김혜순,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문제해결방식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533-554, 2011

      36 Riggs, I.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 625-638, 1990

      37 Saklofske, D. H., "Teacher’s efficacy and teaching behaviors" 63 : 407-414, 1988

      38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39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40 Ashton, P. T.,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 28-32, 1984

      4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2 Woolfolk-Hoy A., "Self-efficacy of adolescents" Information Age Publishing 117-137, 2006

      43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44 Woolfolk, A. E.,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82 : 81-91, 1990

      45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46 Hoy, W. K.,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cGraw-Hill Company 2005

      47 김계수, "AMOS 7. 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07

      48 김계수, "AMOS 18. 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