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원위 대퇴골의 계측 및 여성형 치환물의 적합성 = Anthropometric Study of Distal Femur &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Total Knee Replacement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원위 대퇴골의 계측 및 여성형 치환물의 적합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74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최근 남녀간 대퇴골의 계측학적 차이를 고려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원위 대퇴골의 계측과 여성형 슬관절의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

      목적: 최근 남녀간 대퇴골의 계측학적 차이를 고려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원위 대퇴골의 계측과 여성형 슬관절의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여자 환자 10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중 대퇴골절제 이후, 절단부의 크기를 6군데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두 가지 삽입물 중 측정치에 가까운 대퇴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하였으며, 같은 크기에 속하는 치환물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된 환자군(1군)과 고식적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환자군(2군)의 계측학적 차이와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58예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되었고(58%), 내외측 전방 크기를 제외한 수치에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한 빈도는 size C에서 33.4%, size D는 57.4%, size E는 70.4%로 나타났고, 5%에서 치환물과 대퇴골 사이에 내외측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치환물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대퇴골의 전후방 길이에 대한 내외측 길이비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작은 대퇴골을 가진 여성은 고식적 치환물이 더 적합하고, 큰 대퇴골을 가진 여성에 있어 기존의 고식적 삽입물보다 여성형 치환물이 형태학적인 적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형 슬관절은 술 중 대퇴골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new prosthesis was introduced for female recentl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ur between male and female.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istal femur and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

      Purpose: The new prosthesis was introduced for female recentl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ur between male and female.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istal femur and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candidates were 100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We measured the size of resection site which was divided into 6 areas after resection of femur. According to this result, we made a decision which prosthesis would be better fit. Group 1 was whom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and group 2 was whom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was used in. Results: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58cases out of 100 cases (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group 1 and 2 except anterior flange lengths (p<0.05). Gender knee prosthesis was chosen in 33.4% of size C, in 57.4% of size D, in 70.4% of size E. There were less than 5% discrepancies of width between components and femur. The larger the femur, the lesser the ML/AP ratio. Conclusion: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smaller distal femur and gender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larger distal femur in total knee replacement. It is thought that we may select gender knee prosthesis considering the size of femur intraoperative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