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ucts using A Multivariate Tobit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94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유․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장르별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4 문화향수실태조...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유․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장르별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이며, 한 명의 소비자가 하나의 문화예술장르에 국한되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부문을 소비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추정 결과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청소년기에 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관람횟수가 모든 장르에 걸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술전시회, 서양음악, 연극/뮤지컬의 경우에는 유․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거나 두 시기 모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1년 간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영화를 제외한 모든 장르의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자본임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장기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어린 시절에 문화자본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3-12) and youth(13-18)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ucts. [Methodology]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various cultural arts prod...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3-12) and youth(13-18)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ucts.
      [Methodology]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various cultural arts products, a multivariate tobit model was incorporated to the data of ‘2014 National Investigation on Realities of Cultural Enjoyment’.
      [Findings]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number of viewing of those who have educ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n-experience for all genres of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rt exhibitions, classical music, and theater/musicals,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 and/or youth enjoy relatively more of the cultural arts product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last year is proven to be a factor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ing all genres of cultural arts products, except for cinema.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cultural capital.
      [Implications]Our results indicate that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at childhood through experie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arts and cultural produ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4 (44): 126-161, 2010

      2 최샛별,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123-158, 2006

      3 이용식, "전통공연예술 활성화 정책의 전망과 과제" 19 : 41-67, 2008

      4 구은자, "유년기 문화활동 유형이 성인기 문화화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12 (12): 93-101, 2012

      5 조광익, "여가소비양식의 분석을 위한 문화자본이론의 적용" 한국관광학회 30 (30): 379-401, 2006

      6 배영,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4 (14): 73-100, 2013

      7 정지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과잉 음이항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4 (34): 67-75, 2016

      8 권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28 (28): 535-553, 2008

      9 양종회, "문화적 취향의 분화와 계급 -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70-209, 2009

      10 박상곤, "문화자본이 여가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0 (30): 241-258, 2006

      1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4 (44): 126-161, 2010

      2 최샛별,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123-158, 2006

      3 이용식, "전통공연예술 활성화 정책의 전망과 과제" 19 : 41-67, 2008

      4 구은자, "유년기 문화활동 유형이 성인기 문화화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12 (12): 93-101, 2012

      5 조광익, "여가소비양식의 분석을 위한 문화자본이론의 적용" 한국관광학회 30 (30): 379-401, 2006

      6 배영,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4 (14): 73-100, 2013

      7 정지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과잉 음이항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4 (34): 67-75, 2016

      8 권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28 (28): 535-553, 2008

      9 양종회, "문화적 취향의 분화와 계급 -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170-209, 2009

      10 박상곤, "문화자본이 여가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0 (30): 241-258, 2006

      11 이호영,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회 42 (42): 62-95, 2008

      12 서인석, "문화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효용성: 문화관련 ‘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1-52, 2016

      13 황길남,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 애니매이션교육 연구" 4 (4): 95-111, 2006

      14 Bernstein, J. S., "문화예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5 장미혜, "문화양식과 소비양식의 차이" 35 (35): 51-81, 2001

      16 남정미, "공연예술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공연예술교육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1 (11): 77-96, 2015

      17 한신갑,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여가활동을 통해 본 2005년 한국사회의 문화지형" 한국사회학회 41 (41): 211-239, 2007

      18 성제환, "‘문화․예술 특화 인적자본’이 문화․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657-677, 2012

      19 Knulst, W., "Trends in leisure reading: Forty years of research on reading in the Netherlands" 26 : 21-41, 1998

      20 Amemiya, T., "Tobit models: a survey" 24 (24): 3-61, 1984

      21 DiMaggio, P., "Social Class and Arts Consumption: The Origin and Consequences of Class Differences in Exposure to the Arts in America" 5 (5): 141-161, 1978

      22 Cameron, A. C., "Regression-based tests for overdispersion in the Poisson model" 46 (46): 347-364, 1990

      23 Cameron, A. C.,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4 Czarnitzki D, "Publicly funded R&D collaborations and Patent Outcome in Germany. Mannheim" ZEW 2003

      25 Lord, D., "Poisson, Poisson-Gamma and Zero-Inflated Regression Models of Motor Vehicles: Balancing Statistical Fit and Theory" 37 : 35-46, 2005

      26 Mouatassim, Y., "Poisson Regression and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Application to Private Health Insurance Data" 2 (2): 187-204, 2012

      27 De Graaf, N. D,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73 (73): 92-111, 2000

      28 Leder, H., "Model of Aesthetic Appreciation and Aesthetic Judgements" 95 : 489-508, 2004

      29 Prokhorov, A., "Likelihood-based estimation in a panel setting: robustness, redundancy and validity of copulas" 153 (153): 93-104, 2009

      30 Vuong, Q. H., "Likelihood Ration Tests for Model Selection and Non-nested Hypotheses" 57 (57): 307-333, 1989

      31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in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1986

      32 Anheier H. K., "Forms of Capital and Social Structure in Cultural Fields: Examining Bourdieu’s Social Topography" 100 (100): 859-903, 1995

      33 Ateca-Amestoy, V., "Forecasting accuracy of behavioural models for participation in the arts" 229 (229): 124-131, 2013

      34 Teachman, J. D.,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resources, and educational attainment" 52 (52): 548-557, 1987

      35 Gurmu, S., "Excess zeros in count models for recreational trips" 14 (14): 469-477, 1996

      36 Tobin, J.,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26 (26): 24-36, 1958

      37 Bergonzi, L., "Effects of Arts Education on Participation in the Arts"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1996

      38 Holt, D. B.,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25 : 1-25, 1998

      39 Bourdieu, P.,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vard University Press 1984

      40 Ateca-Amestoy, V., "Determining Heterogeneous Behavior for Theater Attendance" 32 : 127-151, 2008

      41 DiMaggio, P.,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s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 S. high school students" 47 (47): 189-201, 1982

      42 Achaffenburg, K., "Cultural and Educational Creers: The Dynamics of Social Reproduction" 62 : 573-587, 1997

      43 Vander Stichele, A., "Cultural Participation in Flanders Testing the Cultural Omnivore Thesis with Population Data" 34 : 45-64, 2006

      44 Dimaggio, P.,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90 (90): 1231-1261, 1985

      45 Peterson, R. A., "Cultivating differenced: Symbolic boundaries and the making of inequa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2-186, 1992

      46 Trivedi, P. K., "Copula modeling: an introduction for practitioners" 1 (1): 1-111, 2005

      47 Robinson, R. V., "Class Reproduction Among Men and Women in France: Reproduction Theory on Its Home Ground" 91 (91): 250-280, 1985

      48 Morrison, W. G., "Child exposure to the performing arts: The implications for adult demand" 10 (10): 17-24, 1986

      49 Agresti A., "Categorical Data Analysis" Wiley 2002

      50 DiMaggio, P., "Audience Studies of the Performing Arts and Museums: A Critical Review"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1978

      51 Aktinson, S., "Arts and health as a practice of liminality: Managing the spaces of transformation for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18 : 1348-1355, 2012

      52 Garc´ıa, J., "Alternative Approaches to Modelling Zero Expenditure: An Application to Spanish Demand for Tobacco" 58 (58): 489-506, 1996

      53 류태건, "7개 광역시 문화발전 비교 -지역의 문화생산?문화유통?문화소비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 21 (21): 203-222, 2008

      54 박은희, "21세기 초 한국 성인들의 예술문화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33-443, 2014

      55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