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81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기역에 근무하는 초, 중, 고 교사 411명을 대...

      본 연구는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기역에 근무하는 초, 중, 고 교사 41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398명의 자료를 PASW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초, 중, 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향유신념, 정서표현성, 삶의 만족도는 정적 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와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을 근거로 해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가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ㆍ행동적 요인인 정서표현성이 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향유신념 및 정서표현성이 교사 상담에 주는 의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11 elementary, m...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1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inally, 39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and AMOS 18.0 programs. First, the job stress,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life. Secon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the simple effect of job stress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it affected the savoring belief and the emotion expressivenes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mechanism,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 expressiveness,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served as the leading factors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li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relish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each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석, "향유하기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 허정선, "향유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4 (24): 303-308, 2016

      3 조현석,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349-365, 2010

      4 김현미, "초등학교 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업몰입과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429-445, 2015

      5 김보람,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99-208, 2012

      6 정용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469-481, 2012

      7 이수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향유신념, 행복감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2017

      8 강은미,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훈육 유형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용화,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류덕엽,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 조현석, "향유하기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 허정선, "향유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4 (24): 303-308, 2016

      3 조현석,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349-365, 2010

      4 김현미, "초등학교 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업몰입과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429-445, 2015

      5 김보람,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99-208, 2012

      6 정용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469-481, 2012

      7 이수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향유신념, 행복감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2017

      8 강은미,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훈육 유형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용화,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류덕엽,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1 최지민, "초등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 부모간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15

      12 고홍월, "초·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7-66, 2015

      13 이주일, "체험정서와 표현정서의 심리적 효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4 여종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공동체의식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97-618, 2016

      15 옥가희,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완벽주의 조절효 과" 신라대학교 2018

      16 구본용,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5-306, 2014

      17 박종민,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학교조직문화 인식도 및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간의 구조모형 검증" 동신대학교 2015

      18 김성희,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림대학교 2016

      19 박선미,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575-589, 2018

      20 박하얀,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89-207, 2015

      21 윤영선,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567-586, 2015

      22 이경란,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3 (23): 97-109, 2007

      23 홍창희, "정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정서표현성의 매개 모델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24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5 윤혜순, "자발적 학교이탈 청소년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 : 학교이탈 이전, 과정, 이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학부모학회 6 (6): 21-45, 2019

      26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학지사 2011

      27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35-159, 2016

      28 김은수, "어린이집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367-417, 2012

      29 박우람,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6 (26): 285-302, 2015

      30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15 (15): 19-39, 2001

      31 양성지, "신체활동 참여노인이 지각하는 공감과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349-361, 2017

      32 김사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15-837, 2017

      33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집문당 1998

      34 신영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4 (4): 155-181, 2017

      35 김정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21-331, 2018

      36 석재경,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과의 인과적 관련성" 10 : 127-127, 2019

      37 김은진,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2019

      38 정현희,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7 (7): 1-17, 2017

      39 송정은, "마음챙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2018

      40 이난,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5-145, 2019

      41 홍석영, "대학생의 부모화와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 정서표현 억제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16

      42 김예지, "노화불안이 중년기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2018

      43 전현경, "노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조절전략 및 정서표현성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2015

      44 조은희, "노인의 향유 신념과 향유 방식의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45 김현진, "교육기관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3-74, 2018

      46 박경애, "교사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의한 교권침해 실태와 대처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93-122, 2015

      47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97-220, 2014

      48 이봉우, "과학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및 과학 교수 관련 스트레스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165-173, 2014

      49 이진, "개인의 목표 성취와 삶의 만족도 : 자기 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50 Fredrickson, B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16 (16): 83-101, 1998

      51 Friedman, H. S., "Type behavior, nonverbal expressive type and health" 48 : 1299-1315, 1985

      52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53 Jennigngs, P. A.,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79 (79): 491-525, 2009

      54 Ryan, A. M.,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adolesc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during middle school" 38 (38): 437-460, 2001

      55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56 Oberle, E., "Stress contagion in the classroom? The link between classroom teacher burnout and morning cortiso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9 : 30-37, 2016

      57 Halberstadt, A. G., "Self-expressiveness with in the family context :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7 : 93-103, 1995

      58 Braynt, F. B., "Savoring: a new model for positive experience" Lawrence Erblaum Associates, Inc 2007

      59 Hurley, D. B., "Savoring helps most when you have little : Interaction between savoring the moment and uplifts on positive aff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14 : 1261-1271, 2013

      60 Bryant, F. B., "Savoring Beliefs Inventory(SBI): A Scale Form measuring beliefs about savoring" 12 : 175-196, 2003

      61 Hinds, E., "Ps, Anders, S., Perera, S., Tomich, P., Tennen, H., Park, C., & Tashiro, T. (2009). Traumatic ev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Prevalence and associated symptoms" 56 : 450-460, 2009

      62 Kline, R., "Principles and proactiv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63 Watson, D., "Positive affectivity: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pleasurable emotional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4 Layous K, "Positive activities as protective factors against mental health conditions" 123 (123): 3-12, 2014

      65 Capone, V., "Mental health in teachers: Relationships with job satisfaction, efficacy beliefs, burnout and depression" 1-10, 2018

      66 Darling-Hammond, L., "How teacher education matters" 51 (51): 166-173, 2000

      67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68 Eccles, J. S., "Handbook of Psychology. Development Psychology. vol.6" John Wiley and Sons Inc 321-337, 2013

      69 Chen, S, "Expressive flexibility: Enhancement and suppression abilities differentially predict life satisfaction and psychopathology symptoms" 126 : 78-84, 2018

      70 Emmons, R. A.,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68 : 947-959, 1995

      71 Bryant, F. B, "Demensions of subjective mental health in American men and won" 25 : 116-135, 1984

      72 King, L. A., "Conflict over emotion expression: Psychology and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

      73 Capone, V., "Burnout, depression, Efficacy beliefs, and work-related variables among school teachers" 1-12, 2019

      74 Diener,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31 : 103-157,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