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고성과작업체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있어 고성과작업체계라는 조절변수의 영향을 살펴봄으로 무형식 학습을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조직성과로의 영향관계를 촉진...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있어 고성과작업체계라는 조절변수의 영향을 살펴봄으로 무형식 학습을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조직성과로의 영향관계를 촉진시키는 상황적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무형식 학습의 구성요소 및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그 후 노사발전재단의 ‘2012년 일터혁신지수로 본 한국기업체 진단·평가’ 조사자료를 토대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1005개의 기업을 추출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기업의 무형식 학습 노력은 근로자들의 이직율을 낮추며 혁신활동과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 작업체계는 무형식 학습과 혁신활동, 노동생산성간의 인과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있었다. 한편 고성과작업체계는 무형식 학습과 이직율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informal learning on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agers in 1,005 samples wh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informal learning on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agers in 1,005 samples which were extracted from 13,639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indicated that informal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ve activity, and negative effects on labor turnover. The interaction of HPWS and inform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ivity, and innovative activity, but no effect on labor turnov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가설 도출
      • III. 조사방법
      • IV. 실증결과
      • 요약
      • I. 서론
      • II.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가설 도출
      • III. 조사방법
      • IV. 실증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하, "활동이론에 터한 일터 무형식학습 뿌리내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정현, "한국에서 고성과 조직 시스템의 효과와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7 (17): 1-38, 2007

      3 전은지,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33 (33): 177-199, 2011

      4 문세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5 배을규,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1-25, 2011

      6 황영훈, "중소기업 R&D 인력의 R&D 성과와 무형식학습, 학습동기 및 학습지원환경의 인과적 관계"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105-131, 2014

      7 정연순, "정보통신 분야 지식노동자의 직업능력 학습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세기,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과 조직유효성간 관계 실증연구 - 학습조직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21-55, 2008

      9 노사발전재단, "일터혁신지수로 본 한국기업체 진단·평가" 노사발전재단 2012

      10 박종선, "일터학습 관련 조직특성 변인의 이론적 고찰"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27-52, 2011

      1 이윤하, "활동이론에 터한 일터 무형식학습 뿌리내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정현, "한국에서 고성과 조직 시스템의 효과와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7 (17): 1-38, 2007

      3 전은지,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33 (33): 177-199, 2011

      4 문세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5 배을규,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1-25, 2011

      6 황영훈, "중소기업 R&D 인력의 R&D 성과와 무형식학습, 학습동기 및 학습지원환경의 인과적 관계"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105-131, 2014

      7 정연순, "정보통신 분야 지식노동자의 직업능력 학습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세기,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과 조직유효성간 관계 실증연구 - 학습조직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21-55, 2008

      9 노사발전재단, "일터혁신지수로 본 한국기업체 진단·평가" 노사발전재단 2012

      10 박종선, "일터학습 관련 조직특성 변인의 이론적 고찰"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27-52, 2011

      11 배을규, "일터 학습이론의 한계와 방향:세 가지 실천기반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한독교육학회 12 (12): 189-208, 2007

      12 정진철,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투자와 조직성과의 관계: 이직률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93-214, 2008

      13 박종선,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활용한 한국 기업의 조직성과와 고성과작업시스템, 무형식학습 활용도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73-98, 2015

      14 위영은, "병원 행정조직 사회 연결망에서의 무형식학습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상표,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중소기업의 성과 사이의 관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3 (13): 15-36, 2006

      16 류성민, "몰입형 인사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노사관계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2609-2634, 2010

      17 노병직, "노사관계특성이 고성과 작업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18 조정호, "기업의 직업능력개발 투자가 조직성과에미치는 영향: 재무성과와 인적자원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1-24, 2010

      19 박선민, "기업의 무형식 학습이 비재무적 성과를 매개로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26, 2012

      20 박지혜, "기업에서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21 신은경, "기업내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결과, 학습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22 노용진,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경영성과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9 (9): 67-93, 2009

      23 함현정, "기업 내 R&D분야 엔지니어의 무형식학습방법과 학습전이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05-132, 2015

      24 김민경,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학회 25 (25): 2047-2064, 2012

      25 신은종,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고성과’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번들효과와 핵심 관행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43-69, 2009

      26 이호창, "고성과 작업장과 노사파트너십" 한국노동교육원 2007

      27 권동인, "고몰입인적자원관리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지식경영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1-31, 2003

      28 Clarke, N,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Outcome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8 (8): 185-205, 2005

      29 Appelbaum, E., "The New American Workplace: Transforming Work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ILR Press 1994

      30 Marsick, V. J., "The Nature and Need for Informal Learning" 3 : 1-9, 1999

      31 Arthur, J. B, "The Link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Industrial Relations Systems in American Steel Mini Mills" 45 (45): 488-506, 1992

      32 Kim, S., "The Impact of National Culture on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64 (64): 39-59, 2014

      33 Huselid, M. A,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Turnover, Productiv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38 (38): 635-672, 1995

      34 Delaney, J. T.,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39 (39): 949-969, 1996

      35 Faems, D., "The Effect of Individual HR Domains on Financial Performance" 16 : 676-700, 2005

      36 Huselid, M. A., "Technical and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Effectiveness as Determinants of Firm Performance" 40 (40): 171-188, 1997

      37 Garavan, T,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15 (15): 17-31, 1991

      38 English, L. M, "Spiritual Dimensions of Informal Learning" 85 : 29-37, 2000

      39 Pfeffer, J, "Seven Practices of Successful Organizations" (Winter) : 96-124, 1998

      40 Boxall, P., "Research and Theory o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Progressing The High Involvement Stream" 19 (19): 3-23, 2009

      41 Eraut, M, "Non-formal Learning and Tacit Knowledge in Professional Work" 70 : 113-136, 2000

      42 Pfeffer, J, "New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Theory: Problems and Prospects" Oxford Univ. Press 1997

      43 Delery J. E., "Model of Theorizing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ests of Universalistic,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s" 39 (39): 802-835, 1996

      44 Appelbaum, E., "Manufacturing Advantage: Why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Pay off" Cornel Univ.Press 2000

      45 Skule, S, "Learning Conditions at work: a Framework to Understand and Assess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8 (8): 8-20, 2004

      46 Marsick, V. J.,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Routledge 1990

      47 Eraut, M,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26 (26): 247-273, 2004

      48 Enos, M., "Informal Learning and The Transfer of Learning: How Managers Develop Proficiency" 14 (14): 369-387, 2003

      49 Youndt, M.,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facturing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39 (39): 836-866, 1996

      50 Ghebregiorgis, 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in a Developing Country" 18 : 321-332, 2007

      51 MacDuffie, J. P, "Human Resource Bundles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Organizatinal Logic and Flexible Production Systems in The World Auto Industry" 48 (48): 197-221, 1995

      52 Carliner, S, "How have Concepts of Informal Learning Developed Over Time?" 52 (52): 5-11, 2013

      53 Jeon. K, "How Do Organizational and Task Factors Influence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15 (15): 209-226, 2012

      54 Manuti, A,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A Research Review" 19 (19): 1-17, 2015

      55 Guest, D., "Employment Relation, HRM and Business Performance: An Analysis of the 1998 Workplace Employee Relations Survey, Issues in People Management" IPD 1998

      56 Arthur, J. B, "Effects of Human Resource System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urnover" 37 (37): 670-687, 1994

      57 Lohman, M. C, "A Survey of Factor Influencing The Engagement of Two Professional Groups in Informal Workplace Learning Activities" 16 (16): 501-527, 2005

      58 Tharenou, P.,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on Training and Organizational-Level Outcomes" 17 : 251-273, 2007

      59 Nonaka, I,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5 (5): 14-37,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