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왜란과 지도 · 지리지의 군사적 활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3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인들이 전투·전쟁 수행의 과정에서 어떻게 지도와 지리지를 인식하고 활용하였는지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접근한 연구이다. 특히 임진왜란이란 동북아시아의 국제전 속에�...

      본고는 조선시대인들이 전투·전쟁 수행의 과정에서 어떻게 지도와 지리지를 인식하고 활용하였는지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접근한 연구이다. 특히 임진왜란이란 동북아시아의 국제전 속에서 朝·明·日3국의 행적을 군사지리 정보의 확보와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선전기까지 엄격하게 관리되는 것이 원칙이었던 지도·지리지의 군사지리 정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군사·외교적인 측면에서 그 수요가 급증하였다. 조선은 국토방어 전략의 구상과 명과의 수륙 연합작전을 조율하는 데에 地圖와 海圖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타국의 戰場에서 대규모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했던 일본에게도 조선의 地形地物과 도로 정보 등은 반드시 확보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일본은 倭館등에 거주한 일본 상인, 전쟁 직전 조선을 오간 일본 사신, 일본으로 도주한 조선인 범죄자 등을 통해 조선의 지리 정보를 입수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 사료의 검토 결과, 일본군이 전쟁 발발 이후 조선에서 더욱 상세한 지도를 입수한 뒤 군사 작전에 활용하였을 가능성 역시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대의 기동에는 이렇게 확보된 지도와 함께 현지인 안내자, 즉 조선인 嚮導의 존재도 필수적이었다.
      침략자 일본군뿐만 아니라 지원자 明軍도 조선에 대한 지리 정보가 절실하게 필요하였다. 명의 문?무관 등은 異國정보의 사전 습득, 부대 기동과 작전 등을 위해 조선 측에 지도와 지리지를 빈번하게 요청하였다. 명의 수군이 정유재란을 전후하여 참전하게 되자, 명은 조선에 沿海의 水路정보 등을 자주 문의하였다. 특히 ?新增東國輿地勝覽?은 임진왜란 당시 講和협상을 둘러싼 조?명 간의 외교적 현안 해결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 perceived and utilized maps and geographical manuals in the time of war. The international war of Northeast Asia that broke out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volved Ming as well ...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 perceived and utilized maps and geographical manuals in the time of war. The international war of Northeast Asia that broke out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volved Ming as well marked a really active usage of obtaining and utilizing military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military geographical information contained in maps and geographical manuals were under strict management and protection during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as the war with the Japanese broke out in the 1590s demands for those information of militaristic and diplomatic nature were considerably increased. The Joseon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maps and sea maps in devising defensive strategies as well as coordinating joint operations with the Ming command in on-land and maritime operations.
      For Japan, which mounted a large scale military operation on foreign soil geographical information was vital, and obtaining details of roadways was imperative. The Japanese must have acquired Joseon geographical information through Japanese merchants who were residing at the Wae’gwan(倭館) area, the Japanese emissaries who visited Joseon right before the war, and Joseon criminals who fled to Japan. Examination of data and historical documents reveal that the Japanese troops indeed obtained detailed maps in Joseon right after the war began and used them in military operations. Also, the movement of troops was heavily helped by not only maps but also Joseon guides, the Hyangdo(嚮導).
      Not only the Japanese troops as invaders but also the Ming troops which came to help were in desperate need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of Joseon.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of Ming requested for maps and geographical manuals to the Joseon government in order to be prepared with information of foreign territory that would help them mount and launch necessary military operations. Around the time of the second war that broke out in the Jeong’yu year the Ming naval force joined the war, and the Ming government asked the Joseon government for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s coastal areas. Especially the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was used in resolving diplomatic issues that occurred between Joseon and Ming over discussions of truce negoti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임진왜란 이전 지도 · 지리지의 군사적 활용과 관리
      • Ⅱ. 임진왜란의 발발과 朝 · 明 · 日 삼국의 지도 활용
      • Ⅲ. 壬辰倭亂期 對明 관계와 『新增東國輿地勝覽』
      • 요약
      • 머리말
      • Ⅰ. 임진왜란 이전 지도 · 지리지의 군사적 활용과 관리
      • Ⅱ. 임진왜란의 발발과 朝 · 明 · 日 삼국의 지도 활용
      • Ⅲ. 壬辰倭亂期 對明 관계와 『新增東國輿地勝覽』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趙慶男, "亂中雜錄" 민족문화추진회 1971

      2 조병로, "한국의 봉수-옛날 우리 조상들의 군사통신네트워크-" 눈빛 2003

      3 게리 레드야드,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4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5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6 김기동, "중국 병법의 지혜" 서광사 1993

      7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8 김경숙, "조선후기 韓 · 日 서적 교류 고찰-18세기 통신사 사행록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3) : 227-259, 2008

      9 미야 노리코,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몽골 제국의 유산과 동아시아-" 소와당 2010

      10 이기봉, "조선의 지도 천재들" 새문사 2011

      1 趙慶男, "亂中雜錄" 민족문화추진회 1971

      2 조병로, "한국의 봉수-옛날 우리 조상들의 군사통신네트워크-" 눈빛 2003

      3 게리 레드야드,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4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5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6 김기동, "중국 병법의 지혜" 서광사 1993

      7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8 김경숙, "조선후기 韓 · 日 서적 교류 고찰-18세기 통신사 사행록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3) : 227-259, 2008

      9 미야 노리코,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몽골 제국의 유산과 동아시아-" 소와당 2010

      10 이기봉, "조선의 지도 천재들" 새문사 2011

      11 양보경, "조선시대의 고지도와 북방인식" (29) : 1997

      12 오상학,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 창비 2011

      13 리링, "전쟁은 속임수다-리링의 손자 강의-" 글항아리 2012

      14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15 허지은, "왜관의 조선어통사와 정보유통" 경인문화사 2012

      16 이명희, "명청시기 중국 동북 지역의 지도․지리지와 조선 관방지도의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13

      17 정은주, "고지도에 반영된 조선후기 연안 및 도서지역에 대한 인식" 3 (3): 2011

      18 배우성, "고지도에 나타난 영토․영해 의식" 35 : 1996

      19 남의현, "고지도를 통해서 본 15~17세기의 변경지대 -압록강, 두만강 변을 중심으로-" 만주학회 (14) : 37-73, 2012

      20 安鼎福, "順菴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21 이찬, "韓國의 古地圖" 범우사 1997

      22 방동인, "韓國地圖의 歷史" 신구문화사 2001

      23 柳成龍, "西厓集" 민족문화추진회 1977

      24 金昌業, "燕行日記" 민족문화추진회 1976

      25 鄭希得, "海上錄" 민족문화추진회 1977

      26 崔漢綺, "氣測體義" 민족문화추진회 1979

      27 "朝鮮王朝實錄"

      28 楊普景, "朝鮮時代 邑誌의 性格과 地理的 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1987

      29 유재춘, "朝鮮前期城郭硏究-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을 중심으로-" 33 : 1996

      30 서인원, "朝鮮初期地理志硏究-東國輿地勝覽을 중심으로-" 혜안 2002

      31 정다함, "朝鮮初期 野人과 對馬島에 대한 藩籬 · 藩屛 認識의 형성과 敬差官의 파견" 국학연구원 (141) : 221-266, 2008

      32 李廷龜, "月沙集" 민족문화추진회 1999

      33 성낙훈,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969

      34 허선도, "壬辰倭亂에 있어서의 李忠武公의 勝捷-그 戰略的戰術的 意義를 中心으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0

      35 최소자, "壬辰倭亂時明의 派兵에 대한 論考-派兵의 배경과 軍事活 動에 대한 評價- (一)" 11 : 67-72, 1977

      36 이장희, "壬辰倭亂史硏究" 아세아문화사 1999

      37 金宗直, "佔畢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38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朝鮮傳" 1990

      39 민덕식, "丁酉再亂時川上久國이 그린 南原城圖에 대하여" 1993

      40 허지은, "丁應泰의朝鮮誣告事件을 통해 본 조명관계" 한국사학회 (76) : 169-205, 2004

      41 管子, "KRPIA 구축 관자 완역본"

      42 허태구, "17세기 조선의 염초무역과 화약제조법 발달" 서울대학교대학원 2002

      43 이명희, "12-13세기 중국고지도에 표현된 한반도" 4 (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