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특성과 문제점을 살펴보 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의 내용 영역...

      본 논문은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특성과 문제점을 살펴보 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의 내용 영역과 세부주제를 분석 준거로 하여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통일 교육 관련 내용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도덕교과서에서 통일교육 관련 내용으로 ‘통일문제의 이해’,‘북한 이해’ 영역 관련 내용은 자세히 다뤄졌으나 ‘통일 환경의 이해’, ‘통일정 책’에 대한 내용은 양적 질적으로 제한된 수준으로 다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한 및 통일 환경의 변화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과제 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 내용을 교과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s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co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s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study analyses the related contents of 6 sample textbooks in light of the 'Guidelines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Korea' from ministry of un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ome categories like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s the main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re dealt with in detail. However, some categories such as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environment' and 'unification policy' are covered quite restrictively in term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spectiv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contents on North Korea, environmental changes regarding unification and specific challenges for unification need to be also reflected i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장희, "학교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7 (7): 55-88, 2007

      2 이종흔, "학교 통일교육 개선을 위한 도덕‧윤리교과 교육적 접근" 4 (4): 193-230, 2004

      3 박찬구, "중학교 도덕 2" 천재교과서 2013

      4 정창우, "중학교 도덕 2" 미래엔 2013

      5 박찬석, "중학교 도덕 2" 교학사 2013

      6 윤건영, "중학교 도덕 2" 금성출판사 2013

      7 변순용, "중학교 도덕 2" 천재교육 2013

      8 노영준, "중학교 도덕 2" 두산동아 2013

      9 노영준, "중학교 도덕 1" 두산동아 2013

      10 박찬석, "중학교 도덕 1" 교학사 2013

      1 권장희, "학교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7 (7): 55-88, 2007

      2 이종흔, "학교 통일교육 개선을 위한 도덕‧윤리교과 교육적 접근" 4 (4): 193-230, 2004

      3 박찬구, "중학교 도덕 2" 천재교과서 2013

      4 정창우, "중학교 도덕 2" 미래엔 2013

      5 박찬석, "중학교 도덕 2" 교학사 2013

      6 윤건영, "중학교 도덕 2" 금성출판사 2013

      7 변순용, "중학교 도덕 2" 천재교육 2013

      8 노영준, "중학교 도덕 2" 두산동아 2013

      9 노영준, "중학교 도덕 1" 두산동아 2013

      10 박찬석, "중학교 도덕 1" 교학사 2013

      11 변순용, "중학교 도덕 1" 천재교육 2013

      12 윤건영, "중학교 도덕 1" 금성출판사 2013

      13 정창우, "중학교 도덕 1" 미래엔 2013

      14 박찬구, "중학교 도덕 1" 천재교과서 2013

      15 정희태, "제8장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271-302, 2010

      16 김홍수, "이명박 정부 시기 중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변화와 평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1) : 427-458,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 – 14호[별책 6]"

      18 Mayring, P., "Einführung in die qualitative Sozialforschung : eine Anleitung zu qualitativem Denken" Weinheim 2002

      19 Bos, W., "Angewandte Inhaltsanalyse in Empirischer Pädagogik und Psychologie" Münster 1989

      20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4 통일교육지침서 학교용"

      21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에 따른 중학교 도덕 교과서 집필기준"

      22 황인표,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부분 개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14

      2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도덕 교과서 집필기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