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at Local Child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8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Group Art Therapy(GAT)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at a local child center and ultimately to help them lead better school life and improve social adapt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Group Art Therapy(GAT)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at a local child center and ultimately to help them lead better school life and improve socia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eight children who were using a local child center "H"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After a preliminary test, one-shot case study consisting of eighteen sessions was conducted with a researcher-developed GAT program for this study and with some extracts from the existing GAT programs. A post-test was done there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elf-expression at the local child center. The global self-expression showed an increase from 59.85 in the pre-test to 76.28 in the post-tes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s as t=-2.715(p<0.01).
      The self-expression, as a sub-domain of self-expression, displayed a meaningful change as t=-2.589 (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with the scores of 26.88 in the pre-test and 32.01 in the post-test. The verbal self-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hange with 20.45 in the pre-test, 27.45 in the post-test and t=-2.919(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Also in the nonverbal self-expression, a notable change was observed: 12.59 in the pre-test, 16.88 in the post-test and t=-5.508(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s above, the test results proved the effect of the GAT program at a local child center in the total self-expression and its sub-domains of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Secondly, the GAT proved to be notably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at the local child center. The global self-esteem showed a notable increase from 97.55 in the pre-test to 107,84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s as t=-4.643(p<0.01).
      As sub-conceptual domains of self-esteem, the general self-esteem had non-significant change: 21.12 in the pre-test, 22.98 in the post-test, and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 of t=-2.408(p>0.05). The social self-esteem also did not show any notable change in the results as 27.41 in the pre-test, 28.55 in the post-test and t=-1.329(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In the home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27.55 in the pre-test, 31.96 in the post-test and t=-3.215(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lso in the school self-esteem, a notable change was observed: 21.41 in the pre-test, 24.27 in the post-test and t=-3.869(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s for the self-esteem, the GAT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lobal self-esteem and its sub-conceptual domains of the home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while the general self-esteem and the social self-estee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GAT conducted for children at a local child center proved its effects a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chieved positiv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they recovered from negative self-image caused by psychological weaknesses and frustration.
      Secondly, for the GAT in this study was the short-term program of only eighteen sessions,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many different long-term programs and more art therapy programs suitable for each age group

      Thirdly, art therapy competence as group workers should be enhanced by organizing a committee or association for art therapy programs as a way of realizing group social welf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보다 나은 학교생활과 사회에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목적이 있...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보다 나은 학교생활과 사회에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고 H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 8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기존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발췌한 내용과 본인이 개발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총 18회기에 걸쳐 단일사례를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전체 자기표현 요소를 보면 사전점수 59.85에서 사후점수 76.28로 향상되었고,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715(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26.88, 사후점수는 32.01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589 (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음성적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20.45, 사후점수는 27.45이며 대응표본 t-검정 결과 t=-2.919(p<0.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언어적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12.59, 사후점수는 16.88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5.508(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전체 자기표현과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음성적 자기표현, 비언어적 자기표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자아존중감을 살펴보면, 사전점수는 97.55, 사후점수는 107,84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4.643(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요인은 사전점수는 21.12, 사후점수는 22.98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408(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회적 자아존중감요인은 사전점수는 27.41, 사후점수는 28.55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1.329(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정적 자아존중감요인의 사전점수는 27.55, 사후점수는 31.96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3.215(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학교적 자아존중감요인의 사전점수는 21.41, 사후점수 24.27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3.869(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전체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적 자아존중감은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효과성이 검증된바와 같이 자신들의 가치를 낮게 보던 심리적 위축감과 좌절감에서 긍정적인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으로 회복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18회기라는 단기간에 규명 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집단의 연령층 단일화로 단계에 맞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개발, 보충되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미술치료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전문적인 미술치료 교육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위원회 또는 협회가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지역아동센터 6
      • 2. 집단미술치료 10
      • 3. 자기표현 14
      • 4. 자아존중감 16
      • 5. 선행연구 고찰 20
      • Ⅲ. 연구방법 24
      • 1. 연구모형 24
      • 2.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6
      • 3. 조사도구 26
      • 4. 자료분석방법 28
      • 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9
      • 6.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고찰 31
      • Ⅳ. 연구결과분석 45
      • 1. 자기표현 검사 결과 45
      • 2. 자아존중감 검사 결과 51
      • 3. K-HTP 사전&#65381;사후분석 59
      • V. 요약 및 결론 68
      • 1. 연구결과의 요약 68
      • 2. 결론 68
      • 3. 제언 및 제한점 70
      • 참고문헌 72
      • 부 록 75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