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시아基督敎擴張史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74248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基督敎文社, 1973

      • 발행연도

        197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아시아基督敎擴張史 / 金光洙 著

      • 형태사항

        445p. : 지도,도판 ; 19cm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감리교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장공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천안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사진자료 = 1
      • 머리말 = 11
      • 차례 = 13
      • 第Ⅰ篇 東方基督敎의 擴張
      • 목차
      • 사진자료 = 1
      • 머리말 = 11
      • 차례 = 13
      • 第Ⅰ篇 東方基督敎의 擴張
      • 제1장 네스토리우스敎會의 形成 = 27
      • 1. 東方에서의 네스토리우스敎會 = 29
      • ① 初期宣敎의 基地 = 29
      • ② 네스토리우스敎徒의 宣敎熱 = 31
      • 제2장 네스토리우스敎會의 東漸 = 33
      • 1. 印度에 設立된 初期敎會 = 33
      • ① 네스토리우스 移住民團 = 33
      • ② 마라바르敎徒 = 34
      • 2. 中國에 있어서의 景敎 = 34
      • ① 景敎의 名稱 = 35
      • ② 景敎의 傳來와 發展 = 36
      • ③ 大泰景敎流行中國碑 = 37
      • ④ 景敎의 衰退와 滅絶 = 38
      • 3. 韓日에 있어서의 景敎 = 40
      • ① 韓國의 景敎遺物 = 40
      • ② 日本의 景敎文獻 = 43
      • 第Ⅱ篇 中國의 基督敎會
      • 제1장 로마 카톨릭敎會의 進出 = 47
      • 1. 元朝治下에서의 프란시스코會 活動 = 49
      • ① 프라노 칼피니의 蒙古到達 = 49
      • ② 몬테 콜비노의 敎皇使節 = 51
      • ③ 페루기아 안드레의 報告文書 = 53
      • ④ 宣敎事業의 中斷 = 55
      • 2. 明朝治下에서의 제수잇 宣敎 = 56
      • ① 프란시스코 사비어의 宣敎決意 = 56
      • ② 마테오 리치의 敎會建設 = 56
      • ③ 아담 샬의 啓蒙運動 = 57
      • ④ 典禮問題 = 58
      • 3. 淸朝治下에서의 敎會動向 = 59
      • ① 康熙帝의 宣敎後援 = 59
      • ② 禁敎 迫害의 勃發 = 60
      • ③ 傳道槪況 = 61
      • 제2장 프로테스탄트의 宣敎着手 = 63
      • 1. 英國宣敎師의 入國 = 63
      • ① 海外宣敎熱의 高潮 = 63
      • ② 로벗 모리슨의 開拓宣敎 = 63
      • ③ 메드할스트의 後繼活動 = 65
      • 2. 美國宣敎師의 到着 = 66
      • ① 美國公理會의 宣敎師 派送 = 66
      • ② 初期의 宣敎師들 = 68
      • 3. 프로테스탄트 宣敎方法 = 70
      • ① 政敎分離의 原則 = 70
      • ② 文書運動 = 71
      • ③ 醫療傳道 = 72
      • ④ 敎育事業 = 72
      • 제3장 基督敎와 國民運動 = 74
      • 1. 太平天國運動과 奧地傳道 = 74
      • ① 洪秀全의 亂 = 74
      • ② 허드슨 테일러의 獻身傳道 = 75
      • ③ 中國內地傳道會 = 76
      • 2. 義和團事變과 基督敎迫容 = 79
      • ① '興國滅洋' = 79
      • ② 敎會의 被害相 = 80
      • ③ 淸華大學의 設立 = 81
      • ④ 우리나라 山東宣敎事業 = 82
      • 3. 國民革命과 歐化主義 = 83
      • ① '中國을 그리스도에게로' = 83
      • ② 프로테스탄트의 敎勢 = 85
      • ③ 로마 카톨릭敎會의 狀況 = 86
      • 제4장 二十一世紀의 基督敎 迫害 = 88
      • 1. 反基督敎思想의 擡頭 = 88
      • ① 民族自決主義의 影響 = 88
      • ② 共産主義思想의 策動 = 88
      • ③ 自然實在主義의 感化 = 89
      • ④ 五ㆍ三十事件의 勃發 = 90
      • 2. 日本侵略者들의 彈壓 = 92
      • ① 敎會를 향한 屈服强要 = 92
      • ② 信徒들의 難民 救護事業 = 93
      • 3. 中國治下에서의 迫害相 = 94
      • ① 共産正權의 敎會干涉 = 94
      • ② 三我愛國運動 = 97
      • ③ 洗腦工作 = 98
      • ④ 敎勢近況과 將來展望 = 99
      • 4. 臺灣에 있어서의 基督敎 = 101
      • ① 敎會와 政治風土 = 101
      • ② 宣敎事業의 進行 = 102
      • 제5장 邊方地域에서의 基督敎 傳播 = 108
      • 1. 滿洲地帶의 敎會 = 108
      • ① 프레테스탄트 宣敎事業 = 108
      • ② 로마 카톨릭敎會 宣敎狀況 = 110
      • 2. 蒙古地方의 敎會 = 113
      • ① 蒙古傳道의 開始 = 113
      • ② 프로테스탄트 宣敎師의 奪鬪 = 114
      • ③ 宣敎成果의 低調 = 115
      • 3. 西藏地方의 敎會 = 116
      • ① 白人 喇 僧의 傳說 = 116
      • ② 近世 基督敎人의 接近 = 117
      • ③ 宣敎事業의 浸透企圖 = 118
      • 第Ⅲ篇 日本의 基督敎會
      • 제1장 로마 카톨릭敎會의 初期傳來 = 123
      • 1. 프란시스코 사비어의 訪問 = 123
      • ① 日本傳道의 機綠 = 123
      • ② 日本傳道의 礎石 = 124
      • ③ 全國 基督敎化의 大望 = 125
      • 2. 布敎活動의 進展 = 127
      • ① 急速的인 敎勢擴張 = 127
      • ② 各種 敎會事業 = 129
      • ③ 九州大名의 로마使節 = 131
      • 제2장 受難과 迫害 = 133
      • 1. 禁敎令의 發布 = 133
      • ① 最初 殉敎者 二十六人 = 133
      • ② 高山右近의 海外流的 = 135
      • ③小西行長의 臨終 = 136
      • 2. 吉利支丹의 迫害 = 140
      • ① 五人組 踏會 南蠻誓詞 = 140
      • ② 島原, 天草의 亂 = 142
      • ③ 朝鮮捕虜들의 信仰志操 = 143
      • ④ 再興의 待望 = 148
      • 제3장 復興과 發展 = 150
      • 1. 프로테스탄트의 傳來 = 150
      • ① 薪水令과 門戶開放 = 150
      • ② 吉利支丹의 後裔 = 153
      • ③ 프로테스탄트의 宣敎開始 = 156
      • ④ 最初信者와 敎會設立 = 159
      • 2. 日本敎會의 傳道活動 = 162
      • ① 橫濱 態本 札幌의 地域團 = 162
      • ② 各派敎會의 成立 = 167
      • ③ 基靈降臨大復興運動 = 170
      • ④ 全國協同傳道運動 = 174
      • 3. 基督敎의 當面難題 = 177
      • ① 敎育과 宗敎와의 衝突 = 177
      • ② 神道主義 問題 = 181
      • ③ 日本基督敎團의 成立 = 183
      • 제4장 近來의 日本敎界 = 186
      • 1. 敎會의 動向 = 186
      • ① 神社의 行方과 新敎의 自由 = 186
      • ② 日本基督敎團의 再興 = 189
      • ③ 敎勢槪況 = 191
      • 2. 在日 僑胞敎會 = 196
      • 第Ⅳ篇 印度의 基督敎會
      • 제1장 印度人의 生活環境 = 203
      • 제2장 로마 카톨릭敎會의 宣敎 = 217
      • 1. 中世  鉢僧의 來訪 = 217
      • ① 몬테 콜비노의 印度滯留 = 217
      • ② �단一行의 殉敎 = 218
      • ③ 오도릭, 마리노리의 印度通過 = 220
      • 2. 포르투갈의 植民과 宣敎 = 221
      • ① 카발探險隊 = 221
      • ② 政府施策 = 221
      • 3. 프란시스코 사비어의 宣敎 = 222
      • ① 宣敎의 召命 = 222
      • ② 獻身的 宣敎活動 = 223
      • ③ 政治 宗敎의 結付 = 225
      • 4. 로베르트 노비리의 奧地傳道 = 226
      • ① 카스트敎會의 形成 = 226
      • ② 宣敎와 民俗問題 = 227
      • 제3장 프로테스탄트의 傳來 = 229
      • 1. 宣敎活動의 開始 = 229
      • ① 덴마크王의 宣敎師 派送 = 229
      • ② 슈바르츠一家의 獻身 = 230
      • 2. 英國 先驅宣敎師들 = 232
      • ① 윌리엄 캐리의 宣敎活動 = 232
      • ② 헨리 마틴의 奪鬪 = 234
      • ③ 알렉산더 다프의 敎育事業 = 236
      • 3. 美國人 宣敎師의 到着 = 237
      • ① 美國外地宣敎協會 = 237
      • ② 홀, 낫트의 宣敎事業 = 238
      • 4. 宣敎와 社會事業 = 239
      • ① 民兵叛亂과 宣敎師의 受難 = 239
      • ② 敎會의 社會活動 = 240
      • 제4장 最近의 敎會情勢 = 242
      • 1. 敎會合同運動 = 242
      • ① 南印度敎會와 北印度敎會 = 242
      • ② 敎會協議會 = 243
      • 2. 印度國民의 敎會 = 245
      • ① 宣敎師의 入國制限 = 245
      • ② 自主的 敎會 = 246
      • 3. 파키스탄의 敎會 = 247
      • ① 파키스탄과 뱅글라데시 = 247
      • ② 宣敎事業의 進步 = 248
      • 4. 네팔의 基督敎 = 253
      • ① 永遠한 힌두敎徒 = 253
      • ② 敎育과 醫療事業 = 254
      • 5. 邊境高原의 두 나라 = 254
      • ① 宣敎師를 모르는 아프가니스탄 = 254
      • ② 佛敎國家 부탄 = 255
      • 第5篇 실론의 基督敎會
      • 제1장 실론의 一般的狀況 = 259
      • 제2장 宣敎事業과 敎會情勢 = 261
      • 1. 로마카톨릭敎會의 宣敎 = 261
      • ① 司敎區의 設定 = 261
      • ② 政敎不分離 = 261
      • 2. 프로테스탄트의 宣敎 = 262
      • ① 네덜란드人의 進出 = 262
      • ② 英國人의 傳道 = 263
      • ③ 美國宣敎師의 到來 = 264
      • ④ 佛敎徒의 挑戰 = 265
      • 第Ⅵ篇 버어마의 基督敎會
      • 제1장 버어마의 地理 歷史 宗敎 = 269
      • 제2장 基督敎 宣敎事業 = 273
      • 1. 로마 카톨릭敎會의 宣敎 = 273
      • ① 포르투갈人의 佛敎彈壓 = 273
      • ② 파리外國宣敎協會 = 273
      • ③ 비간데神父의 司敎被任 = 274
      • ④ 宣敎成果의 不振 = 275
      • 2. 프로테스탄트의 宣敎 = 276
      • ① 英國人의 開拓傳道 = 276
      • ② 美國人宣道師 저드슨의 活動 = 276
      • ③ 各派 宣道師의 到着 = 279
      • 제3장 敎會의 現況 = 281
      • 1. 當面한 諸問題 = 281
      • ① 共産主義의 浸透 = 281
      • ② 佛敎勢力의 擡頭 = 281
      • ③ 宣敎步調의 不一致 = 283
      • 2. 敎會의 活動과 統計 = 284
      • ① 敎會와 敎人數 = 284
      • ② 文書傳道 = 284
      • ③ 事業機關 = 285
      • 제Ⅶ편 타일랜드의 基督敎會
      • 제1장 타일랜드의 槪觀 = 289
      • 제2장 基督敎의 傳播 = 297
      • 1. 敎會의 進駐 = 297
      • ① 네스토리우스敎徒의 存在 = 297
      • ② 로마 카톨릭司敎의 방콕駐在 = 297
      • 2. 프레테스탄트의 活動 = 298
      • ① 꾸즈라프의 傳道 = 298
      • ② 美國長老敎會의 宣敎 = 300
      • ③ 各種 宣敎事業 = 303
      • 제3장 近來의 敎會狀況 = 305
      • 1. 宣敎事業의 進步 = 305
      • ① 協同宣敎 = 305
      • ② 우리宣敎師의 活躍 = 308
      • 제Ⅷ편 인도차이나地域의 基督敎會
      • 제1장 베트남 라오스 크메르의 三國 = 313
      • 제2장 基督敎 福音의 傳達 = 318
      • 1. 佛安條約 締結과 카톨릭敎會 宣敎 = 318
      • ① 제수잇의 宣敎 = 318
      • ② 攻守同盟과 敎會進出 = 319
      • ③ 安南王室의 敎會迫害 = 320
      • 2. 프레테스탄트 傳道事業 = 322
      • ① 프랑스政府의 偏見的態度 = 322
      • ② 프로테스탄트敎勢의 微弱 = 323
      • 제3장 近來의 敎會情勢 = 324
      • 1. 인도차이나三國의 敎會 = 324
      • ① 크메르의 敎會狀況 = 324
      • ② 라오스에서의 宣敎進行 = 325
      • ③ 베트남敎會의 일군招請 = 326
      • 第Ⅸ篇 말레이지아의 基督敎會
      • 제1장 말레이半島의 狀況 = 333
      • 제2장 宣敎事業의 進行 = 336
      • 1. 로마 카톨릭敎會의 宣敎 = 336
      • ① 프란시스코 사비어의 말라카傳道 = 336
      • 2. 프로테스탄트의 福音傳播 = 337
      • ① 윌리엄 밀룬의 開拓傳道 = 337
      • ② 꾸쯔라프의 말라카傳道 = 338
      • ③ 宣敎單體의 來到 = 339
      • ④ 原住民 고오메스傳道師 = 340
      • 제3장 敎會의 動向 = 341
      • 1. 宣敎事業의 當面難題 = 341
      • ① 이슬람住民의 基督敎拒否 = 341
      • ② 民族意識과 反歐思想 = 342
      • ③ 共産主義者의 蠢動 = 343
      • 2. 傳道事業의 遂行 = 344
      • 第Ⅹ篇 인도네시아의 基督敎會
      • 제1장 인도네시아諸島의 槪觀 = 349
      • 제2장 인도네시아 敎化事業 = 356
      • 1. 初期宣敎의 狀態 = 356
      • ① 宣敎師와 植民官과의 不和 = 356
      • ②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競合 = 357
      • 2. 프로테스탄트宣敎의 進行 = 357
      • ① 셀레베스에서의 傳道成功 = 357
      • ② 수마트라의 바다크敎會 = 358
      • ③ 쟈바의 이슬람改宗者 = 359
      • ④ 보르네오의 식人種信者 = 360
      • ⑤ 몰룩카諸島의 傳道 = 361
      • ⑥ 사라와크, 北보르네오의 敎會 = 362
      • 제3장 敎會의 近況 = 365
      • 1. 區分된 敎會 = 365
      • ① 人種的으로 = 365
      • ② 起原的으로 = 366
      • 2. 當面한 課業 = 367
      • ① 複雜한 人種과 이슬람勢力 = 367
      • ② 敎會聯合運動 = 368
      • ③ 우리宣敎師의 活動 = 369
      • 第XI篇 필리핀의 基督敎會
      • 제1장 필리핀群島의 槪觀 = 377
      • 제2장 宣敎事業의 開始 = 382
      • 1. 로마 카톨릭勢力의 扶植 = 382
      • ① 마젤란上陸과 島民改宗 = 382
      • ② 植民과 宣敎의 ○行 = 383
      • ③ 各敎團의 宣敎活動 = 384
      • ④ 이슬람敎道와의 對立 = 385
      • ⑤ 제수잇宣敎團의 不正 = 386
      • ⑥ 美國의 敎會引收 = 387
      • 2. 프로테스탄트 宣敎師의 渡來 = 388
      • ① 美國人 宣敎의 開始 = 388
      • ② 宣敎區域의 協定 = 389
      • 제3장 近來의 敎會動向 = 391
      • 1. 逢着한 問題 = 391
      • ① 카톨릭敎勢의 絶對優越 = 391
      • ② 프로테스탄트의 活動制限 = 392
      • 2. 敎會의 前進 = 392
      • ① 宗敎的 自由의 希求 = 392
      • ② 協力精神의 發揮 = 393
      • ③ 宣敎師의 海外派送 = 395
      • 附錄
      • 1. 地圖 = 399
      • ① 東아시아 地圖 = 401
      • ② 南아시아 地圖 = 403
      • ③ 東南아시아 地圖 = 405
      • 2. 年代表 = 407
      • 3. 찾아보기 = 425
      • 4. 參考文獻 = 4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