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리그 프로선수들의 스포츠상해 요인에 대한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6450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analysis Sports Injuries factor of K-League Professional Soccer Players

      • 형태사항

        vi, 7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59-61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K-리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 현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선수 중 대한프로축...

      본 연구는 K-리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 현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선수 중 대한프로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K-리그 1군 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된 K-리그 1군 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들에게 총 400명부를 배포하였으나 320명(80.0%)으로부터 자료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자료 22부를 제외하여 총 298부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항은 관련 선행 연구와 서적을 통해 발췌하였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료집단 및 연구법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검토하였으며, 자료회수 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적용하였고, 이상의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 상해 발생 부위로는 전체적으로 발목, 무릎, 어깨, 옆구리와 등, 뒷목, 코뼈, 이마, 근육 및 건의 상해 발생률이 높다. 그러나 골키퍼의 경우 손목상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상해 발생 유형으로는 타박과 근육통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상해 발생 상황 및 원인은 지금까지 운동을 하면서 총 9회 이상 상해 경험자들이 대다수, 연간 평균 3∼4회 정도, 경기 중에 또는 오후 훈련 중에 상해를 많이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리그 선수경력과 클럽하우스 유무에 따라 오후·오전의 상해 발생률이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겨울철에 많은 상해가 일어나고, 몸싸움에 의한 상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고, 스포츠 상해의 주된 원인은 반칙행위와 승부욕이라고 K-리그 선수들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상해 발생 후 사후처치방법은 상해를 경험한 선수들의 경우 상해 후 응급처치를 받은 경험이 있고, 전문 의료인이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응급처치 방법으로 냉·온찜질 방법, 보통 1∼4주 이내 치료, 상해를 입은 후 많은 선수들이 후유증을 많이 느끼고 있고, 상해 치료에 가장 큰 효과를 본 치료법은 냉〮〮〮·온 찜질법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상해를 입은 후 다시 운동을 시작할 때는 대다수의 선수들이 담당 의사선생님의 소견을 바탕으로 운동을 다시 시작하고 있고, 스포츠 상해 치료 후 몸 상태가 비교적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들 대다수가 동일한 부위에 스포츠 상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상해 예방법으로 준비〮〮〮〮〮〮·정리운동이 필수라는 생각이 K-리그 선수들의 대다수 생각들이었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으로 연령 및 포지션별로 각기 다른 예방법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the factors of sports injury of K-league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For this purpose, I chose the players in K-league 1 group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n professional football league among the member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the factors of sports injury of K-league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For this purpose, I chose the players in K-league 1 group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n professional football league among the members of Korean football association at present in 2008 as the subjects. These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or the survey, I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to the subjects in the K-league 1 group selected by the sampling above and collected 320 (80.0%) from those persons. And then, at last I collected 298 for the analysis excluding 21 responses which had not sincerity. For the measuring instrument of data collection, I used questionnaires and the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searches and the literature related withthis study. To minimize the error I reviewed them on the base of opinion from the peer group and the experts in research method. And also I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en I collected the data to test the reliability.
      For the data process, I use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 program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o ge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I found the followings.
      First, as the frequent injury area in general, there were ankle, knee, shoulder, sides, back, back-neck, nose bone, forehead, muscle and tendon of the body. In the case of the goalkeeper, however, it was wrist.
      Second, as the frequent injury type, there were bruise and muscular pain.
      Third, when seeing the situation and the reason of the injury, majority of them showed over 9 times of injury during the whole excercise, and experienced average 3~4 times of injury in a year, especially during the game or the afternoon training. But there was a littledifference of time in the case whether the injury mainly occurred in the morning or afterno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K-league and in or out of the club house.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a lot of injuries in winter. Usually the injury occurred by physical scuffle and the main reason of the sports injury recognized by the players in K-league was the foul and a desire to get a victory.
      Fourth, when seeing the treatment after receiving the sports injury, most of those who got injury had the experience of first aid and there were specialists to treat the first aid. As the method of first aid, there were hot and cold fomentation. Usually they got the treatment for 1~4 weeks and had the aftermath.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as hot and cold fomentation. When they restarted the game, most of them decided on the base of opinion of the doctor in charge and they felt their condition became worse than before getting the injury. It was shown that most of those injured players had it again in the same area. As the preventive measure, they thought warming up and warming down were necessary. When seeing in the demography, in the case of preventive measure, however, there was different idea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pos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ⅲ
      • 국문초록 Ⅴ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표 목 차 ⅲ
      • 국문초록 Ⅴ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3
      • 4. 연구의 제한점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 1. 프로스포츠의 정의 5
      • 2. 스포츠 상해의 개념 8
      • 3. 스포츠 상해 요인 분류 9
      • 4. 스포츠 상해의 종류 12
      • 제 3 장 연구방법 16
      • 1. 연구대상 16
      • 2. 조사도구 16
      • 3. 조사절차 18
      • 4. 자료처리방법 18
      • 제 4 장 결과 및 논의 20
      •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0
      • 2. 스포츠 상해 발생 부위 21
      • 3. 스포츠 상해 발생 유형 29
      • 4. 스포츠 상해 발생 상황 및 원인 32
      • 5. 스포츠 상해 발생 후 사후처치 40
      • 6. 논 의 52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7
      • 1. 결 론 57
      • 2. 제 언 58
      • 참고 문헌 59
      • 부록 62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