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수적 상황’의 ‘우리’, ‘저희’, ‘너희’에 대하여 = Singular Uses of Korean Plural Personal Prono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 인칭 대명사 ‘우리’, ‘저희’, ‘너희’가 단수적 상황에서 쓰이는 현상은 쉽게 설명되지 않는 난제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한국적 집단주의’와 같은 언어 외적 개...

      국어 인칭 대명사 ‘우리’, ‘저희’, ‘너희’가 단수적 상황에서 쓰이는 현상은 쉽게 설명되지 않는 난제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한국적 집단주의’와 같은 언어 외적 개념에 의지하고 있는 최근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이 현상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단수적 상황’에 쓰이는 ‘우리’, ‘저희’, ‘너희’의 용법 중 ‘우리 남편’과 같은 예의 ‘우리’만 단수적 용법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우리’는 복수적 용법으로 간주하거나 관형사로 어휘화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임을 밝히게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alled ‘singular uses’ of Korean plural personal pronouns ‘uri, jeohi, neohi’, and explain their functions. The so-called ‘singular uses’ of Korean personal pronuns can be classified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alled ‘singular uses’ of Korean plural personal pronouns ‘uri, jeohi, neohi’, and explain their functions. The so-called ‘singular uses’ of Korean personal pronuns can be classified as ‘uri’ of agent multiplication, singular ‘uri/jeohi/neohi’, and ‘uri’ of familia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uri’ of agent multiplication is used in such contexts as written arguments or oral conversation, and both can be regarded as having plural meaning, since it reflects the speaker's idea that there are many others who think like him or her, and plural suffix ‘-deul’ can be attached to it. 2) Singular ‘uri’ can be used only as adnominal before certain nouns, and seems to express politeness with singular meaning. Its meaning of politeness results from ‘agent defocusing by the use of plural form’, which is one of honorific mechanism(Shibatani 1985: 837-838). 3) ‘uri’ of familiarity is used before proper noun and in the expressions used to refer to interlocutor. It seems to have been lexicalized as adnominal which means familiar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철, "한국어의 복수성과 총칭성 / 한정성" 한국언어정보학회 8 (8): 27-46, 2004

      2 정경옥, "한국어에 있어서의 “우리”의 사용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403-422, 2005

      3 전영철, "한국어 복수 표현의 의미론: ‘들’의 통합적 해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9) : 337-359, 2007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ㆍ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6 이한규, "한국어 대명사 ‘우리’" 담화ㆍ인지언어학회 14 (14): 155-178, 2007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8 김광희, "인칭대명사의 조응현상에 대하여" (22) : 1992

      9 박종갑, "언어의 도상성과 그 의미적 대응물에 대하여—국어 사동문을 중심으로—" (30) : 1996

      10 임홍빈, "복수성과 복수화" 1979

      1 전영철, "한국어의 복수성과 총칭성 / 한정성" 한국언어정보학회 8 (8): 27-46, 2004

      2 정경옥, "한국어에 있어서의 “우리”의 사용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403-422, 2005

      3 전영철, "한국어 복수 표현의 의미론: ‘들’의 통합적 해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9) : 337-359, 2007

      4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ㆍ인지언어학회 9 (9): 59-78, 2002

      5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6 이한규, "한국어 대명사 ‘우리’" 담화ㆍ인지언어학회 14 (14): 155-178, 2007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8 김광희, "인칭대명사의 조응현상에 대하여" (22) : 1992

      9 박종갑, "언어의 도상성과 그 의미적 대응물에 대하여—국어 사동문을 중심으로—" (30) : 1996

      10 임홍빈, "복수성과 복수화" 1979

      11 강범모, "복수성과 복수 표지: '들'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7) : 3-31, 2007

      12 임홍빈, "복수 표지 ‘들’의 사건성" 24 : 2000

      13 신지연, "대용어 in : 문법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14 윤재학, "단수적 용법의 ‘우리’" 한국언어정보학회 7 (7): 1-30, 2003

      15 이남순, "단수와 복수" (11) : 1982

      16 이기문, "국어의 인칭대명사" 3 : 1978

      17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18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19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명사구와 조사구의 문법" 태학사 1998

      20 Comrie B., "Polite Plurals and Predicate Agreement" 51 (51): 1975

      21 Shibatani, "Passives and Related Constructions; A Prototype Analysis" 61 (61): 1985

      22 Corbett, G. G., "Nu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3 곽은주, "Interpretations of Plural Phrases in Korean" (35) : 2003

      24 Quir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