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포 문화마을 주택의 평면적 특성 분석 - 도시 아파트 평면 특성의 문헌고찰 비교 - = An Analysis on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wha Village - A Comparison with Literature Review of Apartment Unit Pla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temporary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hwa village by analyzing their floor plans. Thes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apartment housing trends. 240 houses were built in that village, but it was ...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temporary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hwa village by analyzing their floor plans. Thes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apartment housing trends. 240 houses were built in that village, but it was only possible to collect housing data, floor plans and general building records from 102 houses, using house registers. By analyzing those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Floor plan shapes of rural houses showed a tendency to words a 'ㅋ' shape, a 3bay or a transformed 3 bay and a "room-living-room" space arrangement of a centered living room. Public spaces (L.D.K) were separately planned DK from livingroom. Living space was very open and the DK space had created visual privacy from the entrance. The Anbang (master bedroom) and living space were set to the front of the floor plan and an interior toilet was planned in them. These floor-planning tendencies were similar to trend apartment houses in urban areas. 2) Utility and Balcony spaces as a support space of kitchen were not popular features of rural houses in the Munhwa village. Thes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urban apartment housing trends. 5) Storage space practically absent in those rural houses, and this was similar to urban the trends in urban apartment hou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민가" 1992

      2 "한국농가주택의 부엌공간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1989

      3 "한국남부지방의 민가에 관한 연구" 1985

      4 "한국 현대사회의 주생활양식의 변화: 수도권 3LDK 아파트 주호 평면계획의 변천을 중심으로" 12 (12): 1996

      5 "한국 도시단독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88

      6 "중·소형 아파트 단위세대의 평면 현황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4

      7 "주민 자유의사에 의해 신축된 농가 주택의 건축적 특성 및 생활" 1993

      8 "전주시 아파트 주거의 평면적 특성 분석: 21-35평형을 중심으로 변화추이" 15 (15): 2006

      9 "전면2실형과 3실형 아파트의 평면 특성 및 만족도 비교" 6 (6): 2004

      10 "이 원 농촌주택의 주공간과 주생활 상호영향에 관 한 연구" 1988

      1 "한국의 민가" 1992

      2 "한국농가주택의 부엌공간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1989

      3 "한국남부지방의 민가에 관한 연구" 1985

      4 "한국 현대사회의 주생활양식의 변화: 수도권 3LDK 아파트 주호 평면계획의 변천을 중심으로" 12 (12): 1996

      5 "한국 도시단독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88

      6 "중·소형 아파트 단위세대의 평면 현황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4

      7 "주민 자유의사에 의해 신축된 농가 주택의 건축적 특성 및 생활" 1993

      8 "전주시 아파트 주거의 평면적 특성 분석: 21-35평형을 중심으로 변화추이" 15 (15): 2006

      9 "전면2실형과 3실형 아파트의 평면 특성 및 만족도 비교" 6 (6): 2004

      10 "이 원 농촌주택의 주공간과 주생활 상호영향에 관 한 연구" 1988

      11 "우리나라 수도권 아파트의 주호공 간 특성에 관란 연구" 21 (21): 2005

      12 "영동지역 농촌주택의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2001

      13 "아파트와 작가주택의 내부공간구조의 변화 에 관한 연구" 2004

      14 "소양문화마을 농촌주택과 전주 아파트 주거 에 대한 평면분석 연구: 평면특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10 (10): 5-13, 2007

      15 "소양 문화마을 주택의 평면 특성을 통해 본 최근 농촌주거의 공간 디자인 경향" 17 (17): 2006

      16 "서울근교 농촌주택의 주거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1990

      17 "분양가 자율화이후 공동주택 의 단위평면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5 (5): 2003

      18 "문화마을 거주자 특성에 따른 공간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6 (6): 2004

      19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사례 조사 연구: 용곤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17 (17): 2000

      20 "대구지역 아파트 평면유형의 변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11 (11): 1995

      21 "농촌지역 농가주택의 이용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1987

      22 "농촌주택의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자주주택 의 주공간 주생활의 변화를 중심으로" 13 (13): 1997

      23 "농촌주택의 2층화 경향과 그 실상" 1989

      24 "농촌개량주택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1: 생 활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1987

      25 "농촌 부엌공간에 대한 거주자 평가 및 요구" 38 (38): 2000

      26 "농촌 경 관주택의 방향설정을 위한 거주자 요구 조사" 16 (16): 2005

      27 "국내 아파트 단 위주호 평면의 공간 분석: 1966-2002년의 서울지역 아파트 를 대상으로" 20 (20): 2004

      28 "광복이후「도시형 표준주택」의 평면 특성과 그 영향" 17 (17): 2001

      29 "공동주택 평형별 단위 평면구성의 특성에 관 한 연구" 10 (10): 2003

      30 "경관주택 정책 및 마을 리모델 링 방안 연구"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03

      31 "거주자 요구에 의한 농촌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1995

      32 "가변형 농어촌주택 자동설계시스템 개발" 농림부, 농업기반 공사 농어촌연구원 2001

      33 "가변성을 수용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의 모델개발연구(I)"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8

      34 "1990년대 신문광고에 나타난 우리 나라 아파트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내용분석" 16 (16):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