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의 역사성과 그 비판적 수용 -A대학의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을 중심으로- = Historicity and Critical Acceptance of Classics Read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 Classes-Focusing on classics read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 classes at University 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society, which has enter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society where the need for understanding, consilience, and convergence of various fields along wi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emphasized rather than expertise ...

      The modern society, which has enter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society where the need for understanding, consilience, and convergence of various fields along wi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emphasized rather than expertise in differentiated areas.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humanities education that strengthens critical thinking, fostering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esthetics of diversity. In line with the foregoing, starting in 2010, variou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raised the need for culture classes that can cultivate character and communication skills, placed classics reading and discussion (debate) at the center of the classes, and have been constructing class models that fit the foregoing.
      However, from 1969, about 40 years ahead of the foregoing, University A used regrets on the careless operation of culture education thus far and return to ‘the formation of holistic human being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ulture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reading classics and small group discussions’ based on the spirit of ‘free arts and sciences’. To construct a model of the relevant class, the university continued the exploration, investigation, im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lass for about 10 years.
      University A first focused on the value of classics as a content to achieve the goal of culture education, and there after benchmarked the method of St.
      John's College for the operation method to construct the model to fit the actual state of University A.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as limited to 13, and the relevant class was culture mandatory compulsorily imposed on all three grades so that the students can cultivate communication capability as well as understanding classic books, expanding thinking skills, and constructing diversity by reading about 50 classic books and discussing on the books.
      When the relevant class that continued for 50 years was observed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t could be seen that the relevant class underwent small and large changes in the name of the course, division of book areas, and the subjects of application through curriculum reorganization due to many causes. Among the changes, the subject of the biggest discussion is the absolute reduction of the clas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at the cause of the basis of reduction as such was various extracurricular factors rather than negative factors within the relevant subject.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criticize the management of the relevant subject by University A. In fact, there are extremely few cases where a developed subject was continued for 50 years. Nevertheless, University A has continued the course until now. The reason for the foregoing is the sympathy and recognition of the members of University A about the value of classics an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classics reading, and discussion (debate) are contents and methods suitable for the expansion of thinking skill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of character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classics read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model and operation process of University A described in this paper will be referred to as a model by many universities that are starting or implementing similar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 혁명기에 접어든 현대 사회는 분화된 영역의 전문성보다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여러 영역 간 이해와 통섭, 융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

      4차 산업 혁명기에 접어든 현대 사회는 분화된 영역의 전문성보다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여러 영역 간 이해와 통섭, 융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 소통능력의 함양, 다양성의 미학 등을 강화하는 인문학적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2010년을 기점으로 한국의 여러 대학들에서는 인성함양과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교양강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중심에 고전 읽기와 토의(토론)을 두어 그에 맞는 수업 모델을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40여 년 앞선 1969년부터 그동안의 교양교육에 대한 방만한 운영에 대한 반성과교양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전인적 인간형성’으로의 회귀를 ‘자유학예’ 정신에 입각하여 ‘고전 읽기와 소규모 집단 토의’의 내용으로 진행한 A대학이 있다. 해당 대학은 해당 수업의 모델을 구축하기위해 약 10년의 기간을 수업에 대한 탐색과 탐구, 실행과 수정의 연속으로 진행한다. A대학은 먼저교양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내용으로 고전의 가치에 집중했으며 그 이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미국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의 방식을 벤치마킹하여 A대학 실정에 맞도록 모델을 구축한다. 한 수업 당 제한 인원이 13명이었고 해당 수업은 교양필수로 3개 학년 전체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어약 50 여권의 고전독서를 읽고 토의를 통해 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전 도서에 대한이해와 사고력의 확장 및 다양성을 구축하게 된다.
      50년 동안 지속된 해당 수업을 통시적 관점에서 관찰했을 때, 해당 수업은 여러 원인에 따른교과 개편을 통해 강좌의 명칭, 도서영역의 구분, 적용 대상에 따라 크고 작은 변화를 겪는다. 그변화 중 가장 큰 논의의 대상은 해당 수업의 절대적인 축소화 양상이다. 이러한 축소기조의 원인이해당 교과 내부의 부정적 요인에서 비롯된 문제라기보다는 교과 외적인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발생된 현상임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A대학 해당 교과운용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다. 사실, 하나의 교과를개발하여 그것이 50년을 이어가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대학은 해당 강좌를 지금까지 이어가고 있다. 그럴 수 있는 이유는 고전의 가치와 의사소통의 효과성에 대한 A대학구성원들의 공감과 인식에 있다. 그만큼 고전독서와 토의(토론)는 인성함양과 소통능력함양에 따른 사고력 확장에 적합한 내용과 방식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 서술된 A대학의 고전 읽기와 소집단 토의 수업 모델 및 운영과정을 통해 유사교과를 시작하거나 진행하는 여러 대학들에게하나의 모델로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창동,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83-107, 2012

      2 신동호, "한국 대학이 위험하다 ‘강한 대학을 가진 나라가, 세계를 리드한다’"

      3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1 (1): 209-232, 2007

      4 서남수,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18, 2010

      5 정문성, "토의·토론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47-168, 2004

      6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활용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281-299, 2019

      7 송승철, "인문학 : 융합과 혁신의 사례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8 신득렬, "위대한 대화" 계명대학교출판부 2003

      9 덕성여자대학교, "요람 1969년∼2021년" 2021

      10 이은봉, "소집단 토의방법에 관한 연구" 문교부 1982

      1 강창동,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83-107, 2012

      2 신동호, "한국 대학이 위험하다 ‘강한 대학을 가진 나라가, 세계를 리드한다’"

      3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1 (1): 209-232, 2007

      4 서남수,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18, 2010

      5 정문성, "토의·토론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47-168, 2004

      6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활용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281-299, 2019

      7 송승철, "인문학 : 융합과 혁신의 사례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8 신득렬, "위대한 대화" 계명대학교출판부 2003

      9 덕성여자대학교, "요람 1969년∼2021년" 2021

      10 이은봉, "소집단 토의방법에 관한 연구" 문교부 1982

      11 조한별,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바다출판사 2016

      12 이용화 ; 이유정,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세미나 모델을 적용한 교양 세미나 수업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13-132, 2021

      13 정미숙, "비판적 사고를 기초로 한 독해/토의/글쓰기 교육-덕성여자대학교 <소집단 토의 수업>40년사를 돌아보며" 1 (1): 119-134, 2007

      14 신의향, "미국대학의 고전읽기교육,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15 최미리,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의 비교" 양서원 2001

      16 손동현, "리버럴아츠 교육, 한국 대학교육의 새 지평?" 577-591, 2016

      17 "덕성여자대학교 신문, 제351호(1993.8.30.), 제399호(1997.2.17.), 제414호(1998.9.14.), 제656호(2016.5.24.)"

      18 차지영, "덕성100년사 2・주제로 보는 덕성100년" 491-505, 2020

      19 덕성 70년사 편찬위원회, "덕성 70년사" 1996

      20 덕성 60년사 편찬위원회, "덕성 60년사" 1985

      21 손승남,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과 그 창조적 재생"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99-220, 2013

      22 길형석,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적절성과 연계성에 관한 고찰" (20) : 3-52, 1991

      23 손동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9-27, 2010

      24 손동현, "교양교육, 전공교육의 장식품인가 걸림돌인가?" 37-42, 2010

      25 신득렬, "교양교육" 겨리 2016

      26 정인모 ; 허남영,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1-74, 2013

      27 손승남,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49-472, 2013

      28 변상출 ; 박규준, "‘교양 키워드 읽기’를 활용한 《독서와 토론》의 수업내용 연구-대구대학교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강좌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87-312, 2013

      29 이하준 ; 이종하,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23-448, 2014

      30 한국대학신문, "[2020 대학생 의식조사/교육・취업의식] 대학 입학 이유 1순위‘취업’, 온라인 강의콘텐츠 질적 향상시급"

      31 Hutchins, Robert Maynard, "The University of Utopi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32 Hutchins, Robert Maynard, "The Higher Learning in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1936

      33 Hutchins, Robert Maynard, "The Great Conversation, The substance of a Liberal Education" Encyclopedia Britannica 1952

      34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3-89,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