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차프레임이 환기하는 영화의 가시 세계 : 이미지 연구를 중심으로 = The Visible World of Cinema Caused by Secondary Frame : A Focusing on a Study of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5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메라에 포착된 하나의 쇼트는 프레임(frame)에 투사되는 순간 비로소 온전한 가시 세계의 일부가 되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반복하여 하나의 영화를 구축한다. 가시 영역을 이루는 ...

      카메라에 포착된 하나의 쇼트는 프레임(frame)에 투사되는 순간 비로소 온전한 가시 세계의 일부가 되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반복하여 하나의 영화를 구축한다.
      가시 영역을 이루는 미학적 요소 중 사각 틀 형태의 문, 창문, 벽, 기둥, 건물 등과 같은 이차프레임은 쇼트의 한계를 뛰어넘어 가시 영역을 연장하는 디제시스(diegesis) 세계, 즉 비가시 영역을 향한 매개 장치로 기능하여 잠재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는 하나의 기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잠재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과정 중에 생성된 이차프레임은 공간을 구성함과 더불어 심미적 요소에 국한되지 않고 쇼트, 앵글, 미장센, 외화면, 몽타주 등과 같은 영화적 장치들과 절합(節合)되어 내러티브(narrative)를 조명하는 하나의 언어체계로 전환되어 진다.
      본 연구는 화면 영역의 프레임을 세분화하여 가시 세계를 형성하는 이차프레임의 세 가지 구조와 기능을 다룬다.
      본론에서는 프레임에 투사된 이차프레임과 상호작용하는 영화적 장치들을 중심으로 시각 혹은 지각 이미지의 변모 과정에서 생성되는 서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중심 이미지를 향한 집중 효과와 더불어 내러티브와 직결되는 시지각적 접점을 통해 하나의 의미망을 형성하는 이차프레임의 기능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시각 이미지의 외연적 요소에 따른 통합된 가시 세계 구축과정을 논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oon as a shot captured by a camera is projected on a frame, it finally becomes a part of the intact visible world, and a series of such processes is repeated to build a film. Among the aesthetic elements composing the visible area, the secondary ...

      As soon as a shot captured by a camera is projected on a frame, it finally becomes a part of the intact visible world, and a series of such processes is repeated to build a film.
      Among the aesthetic elements composing the visible area, the secondary frame such as square frame-shaped door, window, wall, pillar, and building, is working as a symbolic means that presents potential images by functioning as a mediating device toward the invisible area which is the world of diegesis that extends the visible area exceeding limitations of shot.
      Like this, the secondary frame form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potential images is changed to a single language system that illuminates narrative by not only composing a space, but also articulating with cinematic devices such as shot, angle, mise-en-scene, off-screen, and montage with no limitation to aesthetic elements.
      This study handles thre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econdary frame that forms the visible world by subdividing the frame of screen area.
      The body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s the narrativit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visual or perceptual images by focusing on cinematic devices that interact with secondary frame projected on the frame. In addition, we will focus on the function of secondary frame to form a meaning network through visual and perceptual contacts direct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addition to the concentration effect on the central image, and discuss the process of building an integrated visible world according to the extrinsic elements of the visual im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2
      • 제2장 가변형 이차프레임 4
      • 제1절 창(窓)을 통해 환기되는 영화의 가시 세계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2
      • 제2장 가변형 이차프레임 4
      • 제1절 창(窓)을 통해 환기되는 영화의 가시 세계 4
      • 1. 내러티브 구조의 가변성 5
      • 제2절 움직임이 구현하는 영화의 가시 세계 10
      • 1. 시선의 이동이 구현하는 영토 공간 11
      • 2. 미장센의 움직임이 구현하는 가변성 14
      • 3. 빛(light)의 절합으로 구현되는 가변성 20
      • 4. 반사-이미지로 구현되는 욕망-이미지 25
      • 제3장 집중형 이차프레임 29
      • 제1절 프레이밍이 구현하는 영화의 가시 세계 29
      • 1. 쇼트가 구축하는 집중성 29
      • 제2절 시지각 기호가 환기하는 영화의 가시 세계 39
      • 1. 시선이 환기하는 집중성 40
      • 2. 시각 기호로 환기되는 집중성 44
      • 3. 질서가 구현하는 집중성 48
      • 제4장 분산형 이차프레임 51
      • 제1절 해체구조에 따른 영화의 가시 세계 51
      • 1. 파편화가 구축하는 분산성 52
      • 제2절 집합구조에 따른 영화의 가시 세계 61
      • 1. 무질서가 구축하는 분산성 62
      • 제5장 결론 70
      • 참고문헌 73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