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해안에 적합한 표사량 산정식 이론의 선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 A Basic Study for Selection of Appropriate Sediment Transport Rate Theory at Korea Be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15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안지역의 이용극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해안환경공학적인 연구의 측면에서 해안의 침식이나 퇴적의 원인이 되는 표사현상에 관한 정량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해안지역의 이용극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해안환경공학적인 연구의 측면에서 해안의 침식이나 퇴적의 원인이 되는 표사현상에 관한 정량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우리실정에 맞는 표사량산정식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외이론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표사량산정식의 적합성에 관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해안에 적합한 표사량산정식의 선정을 위한 기초적인 지침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최근의 표사량산정식에 관한 이론들을 선정하여 각 이론들의 특성 및 적용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주 해수욕장 해빈에 적용하여 수치계산을 통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계산 결과 단기적인 해빈변화를 예측하는 안충표사량산정이론의 경우 Shibayama and Horikawa(1982)의 이론을 제외한 이론들이 실측치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장기적인 해안선 변화를 예측하는 연안표사량산정이론의 경우에는 Kraus et al. 이론이 그 적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관측된 실측치가 미약하므로 앞으로 장기간의 예측으로 실측치와의 비료를 행하여 관련이론들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more interests in the use of the seashore in this days and thus the needs for the quantitative study of the sediment transport phenomenon which causes the beach change have increased. In the case of Korea, the theory of sediment trans...

      There has been more interests in the use of the seashore in this days and thus the needs for the quantitative study of the sediment transport phenomenon which causes the beach change have increased.
      In the case of Korea, the theory of sediment transport rate that fits for condi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not yet developped, thus used the theory from foreign country so that there has been some problems related to its suitability.
      Hence, this study has carried out that suggest a fundermental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sedimenttransport rate theory which is suitable for the object beach through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related recent sediment transport rate theories.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related theories, performed the numerical simulation with SANG JU BEACH located in southern seashore of Korea as a object beach.
      As a result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with SANG JU BEACH, for the theory of cross-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except for the theory of Shibayama and Horikawa(1982), most theories generally agree with the measurement values,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the theory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Kraus et al. which showed great changes in short term seems to be the lowest, so further comparison with the measurement values is requir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