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51197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1996. 2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50장 : 揷圖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37

      • 소장기관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악 교육은 감상으로부터"라는 말과 같이 감상영역이 다른영역을 포함 할 뿐 아니라 어느영역도 감상 활동이 아닌 것이 없다 라는 말에 동감하며 가창 중심의 수업 형태 보다는 체계적이...

      "음악 교육은 감상으로부터"라는 말과 같이 감상영역이 다른영역을
      포함 할 뿐 아니라 어느영역도 감상 활동이 아닌 것이 없다 라는 말에
      동감하며 가창 중심의 수업 형태 보다는 체계적이며 유기적인 감상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병행하여 수업을 하면 음악교
      육이 보다 효과적이 될 것이라 생각되어 진다. 그리하여 제6차 교육과정
      으로 바뀐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비교 분석해 봄 으로써 변화 및
      발전을 알아보고 감상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이다.
      중학교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5종 교과서 감상 영역과 6차 교육과
      정에 의한 8종교과서 감상영역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 별로 제5차 감
      상비중과 비슷하며,곡의 수록 기준이 무엇인지 모호했다.또 우리전통 음
      악과 외국 음악 비율도 각교과서 별로 차이가 많았으나 제5차에 비해
      우리나라 전통 음악을 여러 장르로 수록 하였다.감상고명도 제 5차와
      비교해 뚜렷한 차이는 없고 8종 교과서 중 6종(교학사,음악춘추,지학사,
      삼호,현대,장원)교과서가 공통으로 수록한 곡이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과 비발디의 <사계>를 수록 하였고 8종에서 전부 수록한 곡은
      우리나라 각도의 민요였다. 나머지 곡들은 각 교과서 별로 차이가 많았
      는데 이점은 곡의 선정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학년이라
      서 수록곡의 선택폭이 좁다는 느낌을 받았다.가창에서는 중심곡이 있고
      필수 가창곡이 있어 1학년이라면 알아야할 곡이 있는 것처럼 다른 영역
      에서도 가창 영역 처럼 필수 곡이 있었으면 좋겠다.
      감상내용 중 제5차 교육과정과 제6차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니까 제6
      차 교육과정에 새로이 수록된 내용이"악곡을 선택하여 감상하고 음악
      회에 참여하기"와 음악회 청중으로서의 바른 태도 기르기"로 올바른 감
      상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 하는데 8종 교과서중 이내용을 수록한
      교과서는 3종(교학사,지학사,장원)뿐 이다.이점은 교과서가 교육내용을
      수록해야 하는점에 위배 되는 사항이라 여겨진다.
      일선에 계신 교사분들께 설문지를 통해 조사해 본 결과 제5차 교육과
      정과 제6차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면 내용의 별 차이가 없고,제6차 교육
      과정에 새로이 수록된 내용에 대해 학교 여건과 학생들의 생활 여건 때
      문에설문의 절반이 음악회 참여와 태도 기르기를 못하고 있다고 대답했
      는데 본인의 생각으로는 감상영역에서 중요한 내용이라여겨지므로 교사
      가 관심을 갖고 학생들을 이끌어야한다고 사려되어 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words that the appreciative area includes other area like "music education starts with appreciation" and there is no music education without appreciative activity, it is thought that the mus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i...

      Considering the words that the appreciative area includes other
      area like "music education starts with appreciation" and there is no
      music education without appreciative activity, it is thought that the
      mus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it is taught with the
      appreciation of music because the systematic and organic
      appreciation has mor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than the
      song-centered class.
      Thu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and helping the appreciative cla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rst grade music textbook changed in the 6th educational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eciative areas of 5 textbooks
      according to the 5th educational process and that of 8 textbooks
      according to the 6th educational process, the standard of recording
      the melodies was obscure. Also as for the rate of our traditional
      music and foreign music, there was much difference between
      textbooks, but many genres of our traditional musics were record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5th.
      As for the names of appreciated melodi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5th, and the commonly
      recorded melodies in 6 ones of 8 textbooks(Kyo Hak Sa, Music.
      Choon Chu, Ji Hak Sa, Sam Ho, Hyun Dai, Jang Won) were
      Beethoven's 9th Symphony <Chorus> and Vivaldi's <Four
      seasons>, the recorded melodies in all 8 textbooks were then
      provincial folk songs in our country. The rest of melodies were
      different in each textbook, which is found that the standard of
      selecting the melodies is obscure, felt that the width of selecting the
      melodies is narrow because it is limited to the first grade.
      It is desirable that other areas have such central and essential
      melodies as the first-graders should know.
      When comparing the contents about appreciation in the 5th and
      6th educational processes, the 6th educational process records the
      contents of "Selecting and appreciating the melodies and participating
      in the concert" and "cultivating the right attitude as audience of
      concert", which are necessary for right appreciative education, but
      they are recorded in only 3 textbooks(Kyo Hak Sa, Ji Hak Sa, Jang
      Won).
      This aspect is considered to be violation of the point that
      textbooks should recor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to the teachers
      engaged in teaching, they answer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of
      contents as compared with the 5th and 6th educational process, half
      of them answered that students are not cultivating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the concert because of school and students living
      condition to the newly recorded contents in the 6th educational
      process, thus this writer think that teachers should lead the students
      as they are important contents in the appreciative a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