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를 통해 본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Locative Media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the case of new media art based on locative media which raises important media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Locative media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the case of new media art based on locative media which raises important media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Locative media which is embodied in combination of specific site and data space reconstitute human experience in modern city and demand the redefinition of urbanity.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art which reinterpret feature of locative media in the field of artistic experim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meaning of technological, esthetic change can be understand in the urban context. The greater part of locative media art is planned in the specific urban context, reinvent real place and virtual data space as community through the interactivity with participants.
      To analyse urban meaning of locative media practice, I research emergence of urban community mediated by locative media and site-specificity of locative media art. And I present the geography of topological cit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opographical peculiarity of new city is confirmed by the concept of ‘overexposed city’ which is defined by Paul Virilio. He focused on ‘cinecitta’ as prototype of overexposed city. This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being able to recontextualization feature of new media which is represented by locative media relation to urban space. In this point of view, the term of 'media city' has not only meaning of city mediated by media technology but also possibility of considering city as media. As a result,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media through the case of locative media art is not simple combination of individual sphere but in complementary relations in media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중요한 미디어로 대두된 위치기반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 미디어 아트 사례 분석을 통해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를 고찰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중요한 미디어로 대두된 위치기반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 미디어 아트 사례 분석을 통해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특정한 장소와 데이터 공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위치기반 미디어는 현대 도시에서의 인간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도시성 자체에 대한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의 특징을 예술적 실험의 영역에서 재해석하는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는 뉴 미디어 시대의 기술적, 미학적 패러다임 변화의 의미를 도시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대부분은 구체적인 도시 공간의 맥락에서 기획되어 현실의 장소와 가상의 데이터 공간을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의 영역으로 재창조한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 미디어 실천의 도시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위치기반 미디어에 의해 매개된 도시 공동체의 출현과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장소 특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위상학적 도시의 지형도를 제시했다. 새로운 도시의 지형학적 특성은 폴 비릴리오에 의해 정의된 바 있는 ‘과잉노출의 도시’ 개념을 통해 확인했다. 그는 과잉노출 도시의 원형으로서 ‘영화도시’에 주목했다. 이 개념은 공공 공간에서 위치기반 미디어 기술을 통해 재현되고 있는 뉴 미디어의 특성을 도시 공간과의 관계성으로 재맥락화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시티’등의 용어는 매체기술에 의해 매개된 도시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를 미디어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의미임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실천을 통해 본 도시와 미디어의 관계는 개별적 영역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매체사적으로 밀접한 상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unzel, Stephen,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2 Castells, Manuel, "정보도시" 한울아카데미 2008

      3 Virilio, Paul, "전쟁과 영화" 한나래 2004

      4 김민지,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9 : 89-98, 2015

      5 Florence de Mèredieu,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열화당 2005

      6 Benjamin, Walter,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7 McLuhan, Marshall,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8 McLuhan, Marshall H.,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진중권, "미디어아트 - 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2009

      10 박해천, "디자인 앤솔러지" 시공사 2004

      1 Gunzel, Stephen,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2 Castells, Manuel, "정보도시" 한울아카데미 2008

      3 Virilio, Paul, "전쟁과 영화" 한나래 2004

      4 김민지,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9 : 89-98, 2015

      5 Florence de Mèredieu,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열화당 2005

      6 Benjamin, Walter,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7 McLuhan, Marshall,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8 McLuhan, Marshall H.,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진중권, "미디어아트 - 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2009

      10 박해천, "디자인 앤솔러지" 시공사 2004

      11 이혜원, "놀이의 정치학: 뉴미디어 아트와 관객 공동체" 한국미술이론학회 (10) : 105-118, 2010

      12 McLuhan, Marshall H.,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3 Schwartz, Vanessa R., "구경꾼의 탄생" 마티 2006

      14 Kittler, Friedrich,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 현실문화 2011

      15 Picon, Antoine, "건축의 디지털 문화" SPACETIME 2012

      16 "http://www.jeremywood.net"

      17 "http://www.field-works.net/03_alsace/press/super002.jpg"

      18 "http://www.blasttheory.co.uk"

      19 "http://senseable.mit.edu/"

      20 Mitchell, William J., "e-토피아" 한울 2009

      21 McQuire, Scott, "The media city: Media,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Sage 2008

      22 Kittler, Friedrich A., "The city is a medium" 27 (27): 1996

      23 Mumford, Lewis, "The city in history" Secker & Warbug 1961

      24 Farman, Jason, "The Mobile Story: Narrative Practices with Locative Technologies" Routledge 2014

      25 McCullough, Malcolm, "On the Urbanism of Locative Media [Media and the City]" 18 (18): 2006

      26 Hemment, Drew, "Locative arts" 39 (39): 2006

      27 Lemos, André, "Locative Media and Informational Territories" Inclusiva-net 2008

      28 Virilio, Paul, "D: Columbia Documents of Architecture and Theory 2" 1993

      29 McQuire, Scott, "Between the ‘Media City’and the ‘City as a Medium’" 26 (26): 2009

      30 Hays, K. Michael, "1968년 이후의 건축이론" SPACETIME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