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연구 :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Ⅱ>,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focusing on Writing Re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10127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6.6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129 L.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영란
        참고문헌: L. 70-73

      • UCI식별코드

        I804:42002-000000032960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연구 -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Ⅱ>,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 김은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21세...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연구
      -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Ⅱ>,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



      김은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21세기가 요구하는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는 ‘창의 융합’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에서 우리 사회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지식과 능력을 지닌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업량 유연화’ 중 교과 융합 프로젝트로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의 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교육과정 통합이 초등학교 저학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과연 중등 교육의 마지막 단계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실현되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였고, 통합적 지식이 완성되는 형태인 ‘보고서 쓰기’에 착안하게 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Ⅱ>, <확률과 통계> 과목 간 교육과정 통합을 운영함으로써 이것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보고서의 질이 제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보고서를 쓰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적시에 지도할 수 있었고, 학습자는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보고서를 직접 작성하고 보완해가면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구성하는 법을 학습할 수 있어 양질의 보고서가 작성될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통합에 참여한 세 과목, 즉 <화법과 작문>, <생명과학Ⅱ>, <확률과 통계>에서 교과 학습이 심화되었다. 특히 자료 조사를 통해 관련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하거나 몰랐던 내용들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게 됨으로써 교과 내용에 대한 심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국어 활용 능력 및 정보 처리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는 물론 적절한 어휘 및 문장, 다양한 문법 요소를 활용한 표현 등에서 올바른 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자료들을 조사하면서 자료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정보처리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보고서 쓰기에 대해 학습자들의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일정 기간 동안 반복되는 보고서 쓰기 지도를 통해 학습자들이 보고서라는 형식을 정확히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에게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표현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 간, 타 교과 교사간의 소통이 활성화되었다. 학습자 주도의 보고서 쓰기를 통해 학생은 교사에게 수시로 질문을 하여 자신의 학습 활동에 대한 점검을 하였고, 교사는 조언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교과 교육의 분화로 인해 분리되었던 타 교과 교사들 사이에 소통이 생겨나 교육적 시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섯째, 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학습자의 부담을 경감하였다. 교과 간 통합의 요소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교과별로 중복된 내용과 기능을 줄임으로써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학습의 전이를 통해 그 효과까지 증대하였다. 일곱째, 실생활에 대한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은 교과 교육의 문제 및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연구가 고등학교 차원에서는 상당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학문적 심화가 진행된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간 통합의 형태로 교육과정이 운영된다면 실제적 효과는 매우 클 것이라 예상된다. 새로운 시대가 창의 융합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 간 울타리를 허물고 광장으로 함께 나아가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형태를 제시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focusing on Writing Reports - Focusing on <Speech and Composition>, <Life Science II>,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 Eun-Hee Kim Department of Korean Lan...

      A Study on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focusing on Writing Reports
      - Focusing on <Speech and Composition>,
      <Life Science II>,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


      Eun-Hee Kim
      Department of Korean Lang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core keyword of the future society demanded by the 21st century is 'creative convergence'. In the post-COVID-19 era, our society is demanding creative talent with knowledge and ability to lead the future society. Accordingl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raining'.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curriculum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as a curriculum convergence project in the 'flexibility of class volum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research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ought about how it would be educationally meaningful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last stage of secondary education, and focused on 'report writing', a form in which integrated knowledge was completed. Focusing on writing reports for high school seniors, we analyzed how this works by operating curriculum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such as <Speech and Writing>, <Life Science II>,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teachers and learner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the report was improved. Teachers were able to learn specifically and timely about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writing reports, and learners were able to learn how to accurately express and organize their opinions by writing and supplementing reports that fit their interests. Second, subject learning was intensified in the three subjects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that is, <Speech and Writing>, <Life Science II>,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expressing related contents through data surveys, the contents of the subject could be deepened by accurately recognizing the contents that were misunderstood or unknown. Third, learners' ability to use Korean and process information has improved. Learners have improved their ability to use correct Korean language in spelling, spacing, proper vocabulary and sentences, and expressions using various grammar elements, and they also have improved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to analyze and utilize data while investigating materials needed to write reports. Fourth, learners' confidence in writing reports has improved. Under the repeated guidance of report wr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learners understood the format of reports accurately, and they gained confidence in collecting, analyzing, and expressing necessary data. Fif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teachers in other subjects was activated. Through learner-led report writing, studen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to teachers to check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d as advisors.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of other subjects, which had been separated due to the differentiation of subject education, has created educational synergy. Sixth, the burden on learners was reduced by sav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curriculum. By efficiently organizing elements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o reduce overlapping content and functions for each subject, the burden on learners was reduced, and the learning effect was increased through the transfer of learning. Seventh, learners’ understanding of real life has improved.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between subjects show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that can solve problems related to real life as well as subject education.
      It is true that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is quite insufficient at the high school level. However, if the curriculum is operated in the form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actual effect is expected to be very great. At a time when the new era is calling for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t will be the task of all of us to break down the fence between subjects and move together to the square to present a new type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new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 목 차 -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6
      •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9
      • Ⅱ. 이론적 배경 15
      • 1. 교육과정 내 국어와 타 교과 학습 연계 요구 15
      • 2. 교육과정 통합 20
      •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과 필요성 20
      • 2) 교육과정 통합의 유형 23
      • 3. 범교과적 쓰기로서의 보고서 25
      • 1) 범교과적 쓰기 25
      • 2) 보고서 쓰기 30
      • Ⅲ.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32
      • 1. 교과별 교육과정 연계점 분석 32
      • 1)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 32
      • 2) <생명과학Ⅱ> 교육과정 35
      • 3)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 37
      • 2.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계획 40
      • 3.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45
      • Ⅳ.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 결과 50
      • 1. 학생의 설문 결과 50
      • 2. 타 교과 교사 면담과 연구자의 자기 보고 결과 52
      • 3.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실행에 대한 종합 결과 57
      • 1) 프로그램의 내용 측면 57
      • 2) 학생의 학습 측면 60
      • 3) 교사와 학생, 교사와 교사 간 상호작용 측면 64
      • Ⅴ. 결론 67
      • 【참고문헌】 70
      • 【부록1】학습 활동지 74
      • 【부록2】학생용 설문지 105
      • 【부록3】타 교과 교사 질문지 108
      • 【부록4】자기 보고 질문지 112
      • 【부록5】보고서 결과물(초고, 완성본) 116
      • 【부록6】성찰일지 122
      • 【부록7】교과협의회 일지 124
      • 【부록8】학생 설문 결과 126
      • 【Abstract】 1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