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 The Advancing Aspect of "Nohsahak " Studies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as Seen Through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3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