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역량 개념 도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함양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다문화 역량의 개념에 대한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다문...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함양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다문화 역량의 개념에 대한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다문화교육 분야의 연구자와 교사, 정책 전문가들의 견해를 수렴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오늘날 우리 사회에 필요한 다문화 역량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역량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능력으로 개념화되었다. 이때 다문화 역량은 이해, 존중, 소통, 협력, 공존에 대한 추구에서부터 불평등과 권력관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 사회정의,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것까지 폭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하여 타인과의 관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성까지 그 영역이 확장적으로 구성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다문화 역량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2개의 토대역량(자기 이해 역량, 상황 이해 역량)과 4개의 핵심역량(비판적 사고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다문화 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역량 중심 다문화교육의 내용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multicultural competency has emerged as a growing topic, receiving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hieve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y. Against this backdrop...

      While multicultural competency has emerged as a growing topic, receiving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hieve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y. Against this backdrop, using a three-round Delphi questionnaire with 24 participants drawn from the communities of leading and acknowledged experts of multicultural educators, we sought to formulate a conceptual framework of multicultural competency. This study presented the findings from our Delphi study where the experts were asked to contribute their opinions abou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competency. First, the finding showed that multicultural competency can be conceptualized as an universal and integrative ability necessary for living together with thos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encapsulating wide learning components (understanding, respect, communication, cooperation, coexistence, critical awareness on inequality and power relations, social justice, and democracy) and extensive dimensions (reflection on self-identity,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ommunity citizenship). Second, a unified framework of multicultural competency emerged from our Delphi study and included a set of two foundational competencies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and context-awareness competency) and four core competencies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2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3 김미진,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21-45, 2019

      4 문정원, "유아교사 상호문화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71-298, 2020

      5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6 백남진,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7-46, 2014

      7 Nieto, S,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북코리아 2016

      8 정해식,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9 이재열, "사회의 질, 경쟁, 그리고 행복" 아시아연구소 4 (4): 3-29, 2015

      10 이근호,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2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3 김미진,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21-45, 2019

      4 문정원, "유아교사 상호문화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71-298, 2020

      5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6 백남진,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7-46, 2014

      7 Nieto, S,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북코리아 2016

      8 정해식,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9 이재열, "사회의 질, 경쟁, 그리고 행복" 아시아연구소 4 (4): 3-29, 2015

      10 이근호,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1 이경선,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중요도"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55-170, 2012

      12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13 엄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도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29-54, 2014

      14 장미혜,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5 한현우, "다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63-81, 2011

      16 Sleeter, C.,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가지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17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18 이병준, "다문화 역량이란 무엇인가" 37 (37): 1-11, 2007

      19 구정화,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목표 체계 구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27, 2011

      20 이혜원,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31, 2019

      21 이슬기, "국내 다문화 역량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60) : 283-305, 2021

      22 추병완, "간문화 역량 발달을 위한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30) : 61-84, 2013

      23 Stuart, R. B., "Twelve Practical Suggestions for Achieving Multicultural Competence" 35 (35): 3-9, 2004

      24 Chen, G. 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3 : 1-15, 2000

      25 Turoff, M., "The Design of a Policy Delphi" 2 (2): 149-171, 1970

      26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27 McLagan, P. A.,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tency Study: A Model-building Challenge" 36 (36): 18-24, 1982

      28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29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A Series of Concept Notes"

      30 양지선, "OECD Education 2030에서 제안된 핵심역량의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반영 특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113-135, 2019

      31 Fletcher, S., "NVQs, Standards and Competence: A Practical Guide for Employers, Managers, and Trainers" Kogan Page 1991

      32 Sue, D. W.,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A Call to the Profession" 70 : 477-486, 1992

      33 Hansen, N. D., "Multicultural Competence: Criteria and Case Examples" 31 (31): 652-660, 2000

      34 Deardorff, D. K.,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 Student Outcome of Internationalization" 10 (10): 240-266, 2006

      35 McPhatter, A. R.,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76 (76): 255-278, 2007

      36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1993

      37 Green, P. C.,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Jossey-Bass 1999

      38 Cartwright, B. Y., "Assessing Multicultural Competence:Perceived versus Demonstrated Performance" 86 (86): 318-322, 2008

      39 King, P. M., "An Assessment of Multicultural Competence" 40 (40): 305-319, 2003

      40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563-575, 1976

      41 Boyatzis, R.E,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1982

      42 교육부,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1

      43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